어떤 의사가 있었다. 인간의 신체에 대한 억누를 수 없는 호기심과 인간의 질병을 연구해서 치료하고 싶다는 열망이 지나치게 높았다. 인체 해부가 법적으로 정착되기 전, 그는 아버지와 누이가 죽으면, 오전에는 그 몸에 칼을 대서 온 몸을 해부하고는 오후에 매장을 했다.
그의 이름은 윌리엄 하비(William Harvey 1578~1657), 생리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영국인이었다.
어느 분야나 선구자들은 오해와 편견에 시달리면서 의심을 받아왔다. 오늘날 인간의 몸에 칼을 대는 해부나 수술 역시 마찬가지이다. 19세기 영국에서는 인권보호 움직임이 강해지면서 해부 연구에 필요한 시신을 얻기가 힘들어졌다. 그렇다고 시신을 해부해야 하겠다는 의사와 의대생의 열망을 막기는 버거웠다.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를 뛰어넘기 위해 의사들은 자구책을 마련했다. 전문 도굴꾼을 고용하거나 시신 장물아비가 되어서 묻힌 지 얼마 안 된 무덤에 올라가 곡괭이질을 해 댔다. 돈이 없으면 직접 곡괭이를 메고 아침 이슬을 맞기도 했다. 만만한 학생들에게 ‘실습교재’를 구해오도록 하거나, 실습교재의 대가로 장학금을 지급하기도 했다.
해부용 시신으로 팔아넘기려 연쇄살인
그러다가 국가적으로 무슨 제도를 만들지 않을 수 없는 사건이 드디어 터졌다. 1828년 에든버러에서 여관 주인이 투숙객을 살해해서 시신을 의사에게 팔아넘긴 웨스트포트 연쇄사건이다. 연쇄살인범인 윌리엄 버크(William Burke)는 사형을 선고받고, 그 시신은 해부형을 당하는 처벌을 받았다. 버크의 골격은 지금도 에든버러 의대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역사책에는 없는 20가지 의학 이야기’ 중 ‘해부학 역사’ 부분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병원에서 의사들이 살을 찢고 뼈를 자르고 꿰매는 수술이나 각종 질병 진단의 근원이 되는 해부학이 어떤 경로를 거쳐 발전했는지를 가르쳐준다.
이 책을 쓴 박지욱은 현직 의사로서 부산에서 태어나 동아대 의대를 졸업하고 현재 박지욱신경과의원 원장, 제주장애인요양원 촉탁의사로 일하고 있다. 한미수필문학상(2006, 2007년)을 수상하고 다양한 신문잡지에 기고하는 칼럼니스트이다.
연쇄살인사건 발생 30년이 지난 1858년, 외과의사 겸 해부학자인 헨리 그레이(Henry Gray 1827~1861)가 쓰고 동료의사인 카터(Henry Carter 1831~1897)가 그린 해부학 책 ‘그레이 아나토미’ (Gray’s Anatomy)는 지금도 의대생들이 사용하는 책이다.
자신이 치료하던 환자가 죽기만 기다려, 질병의 원인을 알기 위해 시신에 손을 대려는 의사들의 집념은 웃어야 할지 화를 내야 할지 모르게 한다. 존 헌터(John Hunter 1728~1793)는 자신이 관심을 갖던 250cm의 거인이 병으로 알아 눕자, 호시탐탐 시신을 노렸다. 이 음습한 열망을 알아차린 거인은 남은 재산을 털어 친구에게 “내가 죽으면 의사들이 손을 못 대도록 납관에 넣어 편히 잠들게 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헌터는 장의사를 매수해서 기어코 골격 표본을 만들었다.
존 할로(John Harlow 1819~1907)는 이마에 관통상을 입고 살아남은 한 청년의 뇌를 얻기 위해 죽은 지 5년 지난 묘지를 발굴해 두개골을 꺼냈다.
이런 무시무시한 전통(!)이 살아있으니 아인슈타인이 죽자 프린스턴 대학병원의 병리학자 토머스 하비(Thomas Harvey 1912~2007)가 아인슈타인의 뇌를 꺼내 여러 조각으로 잘라 병리학자들에게 나눠줬어도 무슨 비난을 받았다는 소식은 여지껏 들려오지 않는다.
물론 이런 으스스한 이야기는 의학이야기의 일부일 뿐이다. 결핵을 퇴치해서 인류를 공포에서 해방시킨 감동적인 스토리의 전후맥락도 소개됐다.
환자들의 부당한 거래 얄타회담
결핵은 고대 이집트 미라에도 앓았다는 증거가 남아있으니 적어도 4000년 이상 된 질병이지만, 치료법이 발견된 것은 그리 오래지 않다. 결핵은 동서양의 수많은 사람들을 공포 속에서 죽게 했다. 유전병이라고 알려지기도 하고, 젊고 아리따운 여자가 얼굴이 하얗게 질리면서 죽어가다 보니 고통을 미화하는 헛된 상상력의 근원이 되기도 했다.
독일 미생물학자 겸 의사인 코흐(Robert Koch 1843~1910)가 결핵균을 발견했지만, 치료법은 한참 지난 1921년 알베르 칼메트(Albert Calmette 1863~1933)가 찾아냈다. 프랑스 릴(Lille) 파스퇴르 연구소에 부임한 세균학자인 칼메트는 시민 22만 명 중 무려 15%가 결핵환자인 비참한 상황에 가슴이 아파서 1차대전의 그 어려운 환경가운데서도 수의사 까미유 게랭(Camille Guerin 1872~1961)의 도움을 받아 결핵을 예방하는 ‘칼메트-게랭의 소결핵균’, 줄여서 BCG 접종을 발견했다.
예방접종이 통하지 않는 결핵균을 처리하는 치료제로는 1944년 스트렙토마이신이 사용됐고, 이 약이 듣지 않은 환자에게는 파스에 이어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피라지나마이드, 에탐부톨 등이 잇따라 나와서 거의 치료되고 있다.
다른 18가지이야기는 병원에 십자가를 달게 된 배경, 이발소의 삼색등과 외과의사, 고혈압이야기, 소아마비 정복기 등이다.
그 중 한 이야기, ‘얄타회담의 숨은 배후’는 한반도의 남북 분단을 결정한 얄타회담에 참가했던 세 명의 지도자, 루스벨트·처칠·스탈린에 관한 내용이다. 세 사람은 회담 당시 건강이 모두 좋지 않았다. 후에 세 명은 모두 뇌질환으로 사망했다. ‘강대국간의 부당거래’였던 얄타회담의 배후는 질병이었다고 저자인 박지욱은 주장했다.
(1017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