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Non-programme missions (15) Alphasat위성
레이저 위성 통신 기술 개발
‘우주 경쟁’은 냉전 당시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 개발 경쟁을 일컫는데, 이 과정에서 인공위성을 통한 우주 공간 탐사가 본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도 연간 최소 100개가 넘는 숫자의 인공위성이 발사되고 있으며 2020년 11월 말 현재 유엔 우주사무국(UNOOSA)에 따르면 1만 대가 넘는 인공위성이 지구를 돌고 있다고 한다. 최근 들어 각종 소형위성들이 다량 발사되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앞으로 훨씬 더 많은 인공위성들이 지구를 돌게 될 것이라고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유럽의 인공위성 Sentinel-1의 상상도 © ESA
문제는 빠른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인공위성 숫자로 인해서 위성이 지구로 보내는 데이터의 양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위성에 탑재된 고해상도 카메라와 최신 기술로 이루어진 계측기 등은 더 많은 정보를 담게 되고 이로 인해서 수많은 데이터를 짧은 시간에 지구로 전송하기란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데이터 전송에 레이저 광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레이저 위성 통신은 레이저 통신 터미널 (LCT: Laser Communication Terminal)과 대략 3~3,000THz의 적외선 대역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위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엄청나게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과학자들은 레이저 통신을 인공 위성에 접목하기 시작하면서 먼 거리에서도 고속 통신이 가능해짐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서 위성 간 통신 시대가 열리기 시작하였다.
Alphasat 위성의 레이저 통신 터미널 (LCT:Laser Communication Terminal) © Alphasat/ESA
레이저 빔을 이용한 첫 번째 유럽의 레이저 통신 위성
최근 레이저 통신을 위성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주로 ESA(유럽우주국)나 NASA(미항공우주국) 등의 선진국들의 우주 연구기구에서 행해지고 있다. 특히나 최근 유럽은 최대 7.2 Gbit/s 정도의 실시간 고속통신을 구현 목표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2013년 Alphasat 위성의 조립 모습 © Alphasat/ESA
유럽 데이터 중계 시스템 (EDRS: European Data Relay Syste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Alphasat 위성(혹은 INMARSAT-4A F4나 INMARSAT-XL로도 불림)은 알려진 영국의 통신 회사 INMARSAT과 유럽 우주국이 협력 운영하는 대형 정지 궤도 위성이다. 위성은 통상적으로 탑재체(혹은 페이로더라고 부름 Payload)와 버스(Bus)로 구성되는데 위성의 버스는 Alphabus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EADS Atrium과 Thales AleniaSpace에서 제작되었다.
2013년부터 고도 약 35,000km에 위치하여 아프리카, 유럽, 그리고 중동 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 일부 지역에 이동 통신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Alphasat위성은 발사 당시 질량이 6.649kg이며 최소 작동 기간은 15년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2021년 현재도 정상적으로 작동 중이며 이는 현재 유럽에서 가장 정교한 통신 위성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Alphasat위성의 상상도 © Alphasat/ESA
Alphasat 위성에 탑재된 페이로드
본 위성은 Alphabus의 최초 우주선이며 상업적인 탑재체들을 제외하고도 여러 가지 실험적인 통신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Alphasat 위성의 본체 모습. 레이저 통신 터미널의 모습도 보인다. © Alphasat/ESA
Alphasat위성에 탑재된 주요 페이로드들은 구체적으로 총 4가지인데 TesatSpacecom에서 개발한 Ka 대역 페이로드를 기반으로 고속 데이터 전송(1.8Gbit/s 사용자 데이터 전송률)을 시연하기 위한 레이저 통신 터미널 TDP1, TAS-I와 Space Engineering에서 개발한 Q/V대역 통신 트랜스폰더로 미래의 상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TDP5, Jenoptik에서 개발한 능동 픽셀 감지기인 TDP6, 그리고 Effacec에서 개발한 페이로드로서 방사선 환경이 전자 부품 및 센서 등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TDP8등이 있다.
TDP1의 중계 상상도 © TDP1/Alphasat/ESA
Alphasat위성의 과학적인 목표와 결과
Alphasat 위성의 가장 큰 장점이라면 초당 수조 건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에 결과의 실시간 전송 및 이용에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해준다. 참고로 2014년 Alphasat위성은 Sentinel-1A 위성으로부터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데이터 및 레이더 영상을 전송받아서 독일에 위치한 Ka-대역 지상국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송하여 화제가 된 바 있다.
Alphasat위성과 Sentinel-1A위성간 중계 링크 © DLR/Alphasat/ESA
기본적으로 Alphasat 위성은 더욱 확장된 INMARSAT의 글로벌 모바일 네트워크를 위해서 설계된 위성이다. 유럽 우주국 사무국장인 장 자크 도르다인 박사(Dr. Jean-Jacques Dordain)는 본 위성의 개발을 위하여 유럽 우주국은 물론이며 여러 국가 기구 그리고 거대한 민간기업들이 참여한 만큼 유럽 우주국이 어떻게 유럽의 경쟁력과 성장을 촉진 시키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위 미션은 유럽 우주국과 민간 파트너쉽을 강화할 좋은 기회가 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현재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는 민간 기업의 우주 산업 참여에도 큰 동기부여가 되어 주고 있다.
(8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