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이탈리아 브레시아(Brescia)의 산타 줄리아 박물관(Museo di Santa Giulia)에는 약 1200년 전에 제작된 독특한 모양의 풍향계 ‘람베르토의 수탉(Gallo di Ramperto)’이 실물로 전시되어 있다. 820년 무렵 제작 당시 성도 파우스티노와 지오비타 교회(Chiesa dei Santi Faustino e Giovita)의 종탑 꼭대기에 설치되었던 이 풍향계는 가톨릭 주교 람베르토(Ramperto, 815~844)가 총괄하여 제작되었다.
풍향계의 원리를 사용한 바람개비 오토마타, 윌리긱(Whirligig)은 아주 오래전부터 만들어져온 민속예술이다. 바람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운동력으로 인형이나 조형물을 움직이게 하는 윌리긱은 수메르(Sumer) 고대 문명 시기인 기원전 1600~1800년에 처음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의 키네틱 아티스트 볼리스 심슨(Vollis Simpson, 1919~2013)은 이러한 민속예술로서의 윌리긱과 풍향계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대표적인 작가이다. 노스 캐롤라이나(North Carolina) 윌슨 카운티(Wilson County)에서 태어난 볼리스 심슨은 원래 농업 엔지니어였으며, 30여 년 넘게 기계 공장을 운영하였다.
60대 초반 은퇴한 후, 볼리스 심슨은 수십 년 동안 수집해온 다양한 소재의 기계 부품과 각종 오브제를 활용하여 자신의 농장에서 본격적으로 윌리긱 작품 제작을 시작했고, 그의 뛰어난 철공과 목공 기술은 빛을 발휘하여, 몇 년이 지나자 그의 농장은 윌리긱 작품으로 가득 차기 시작했다.
윌리긱 아트의 대가(大家) 볼리스 심슨의 작품 중에서 1995년 아메리칸 비져너리 아트 뮤지엄(American Visionary Art Museum)의 의뢰로 제작한 높이 17미터, 폭 14미터의 대형 윌리긱 작품 ‘생명, 자유, 행복 추구(Life, Liber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는 그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이다.
또한 볼리스 심슨은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을 위한 대형 윌리긱 4점을 제작하기도 했으며, 30여 년 동안 제작한 그의 동심(童心)에 가득 찬 수십여 점의 윌리긱 작품들은 2013년에 노스캐롤라이나 공식 민속 예술(North Carolina’s official folk art)로 선정되었다.
볼리스 심슨의 윌리긱 작품들은 윌슨 시민들로부터 커다란 관심을 받았으며, 공식적인 광고도 없이 수많은 방문객들이 모여 들었고, 그의 농장은 윌슨 카운티 최고의 관광지가 되었다. 볼리스 심슨은 스스로 예술가라고 부른 적은 없지만, 뉴욕타임스는 그의 작품을 ‘고물로 이루어진 움직이는 웅장한 예술’이라고 격찬하였고, 2010년 윌슨에 볼리스 심슨 윌리긱 테마파크를 조성하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2014년 윌슨 시, 노스캐롤라이나 예술위원회(North Carolina Arts Council), 미국 국립예술기금 위원회(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Art Space America, Kresge Foundation 등이 참여한 파트너십에 의해 볼리스 심슨의 10~15미터 크기의 대형 윌리긱 작품 30여 점이 설치된 야외공원 ‘볼리스 심슨 윌리긱 파크(The Vollis Simpson Whirligig Park)’가 정식 개관하였다.
세계 최대 규모의 자연친화적 키네틱 예술공원 ‘볼리스 심슨 윌리긱 파크’는 예술과 과학의 교차점에서 테마파크로서의 매혹적인 예술체험과 교육 및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과학예술 중심의 지역 사회 개발과 발전에 일조하고 있다. <관련 동영상>
또한 매년 11월 윌슨 시에서는 시민과 관광객들이 직접 윌리긱을 만들고 체험하는 참여형·시민주도형 지역 공동체 예술축제인 ‘노스 캐롤라이나 윌리긱 페스티벌(North Carolina Whirligig Festival)’이 개최되고 있다. NC 윌리긱 축제는 노스 캐롤라이나 공식 지정 민속예술인 윌리긱을 메인 콘텐츠로 하여, 다양한 지역 공예품 전시 및 음악 공연이 함께 한다.
NC 윌리긱 축제가 열리는 ‘Historic Downtown Wilson’은 급성장하고 있는 예술 공동체 지역으로 보이킨 극장(Boykin Theater), BB&T 빌딩의 예술위원회 갤러리(Arts Council Gallery), 올리버 네스투스 프리먼하우스 아프리카계 미국인 역사박물관(Oliver Nestus Freeman Roundhouse African American History Museum), 상상역 과학 & 역사박물관(Imagination Station Science & History Museum) 등의 문화예술 기관이 있다.
(42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포함된 '사건 지평선 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은 15일 거대 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질량이 태양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블랙홀)이 강력한 제트를 분출하는 관측 결과를 공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는 읍·면·동 농어촌 지역에 5G 서비스를 조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농어촌 5G 공동이용 계획'을 15일 발표했다.
AI 음악 생성 기술 콘텐츠 제작사 '엔터아츠'의 음반 레이블 'A.I.M'은 가수 하연의 디지털 싱글 'idkwtd'(I don't know what to do) 음원과 뮤직비디오를 글로벌 NFT 마켓인 '민터블'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물리학과 김대식 특훈교수 연구팀이 0㎚(나노미터·10억분의 1m)부터 시작하는 초미세 틈(제로 갭·zero gap) 구조의 광학 소자 제조 공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다양한 미래 체험이 가능한 '4차산업 체험문화 공간 놀이터'가 15일 전북 정읍학생복지회관 3층에 둥지를 틀었다.
국내 연구진이 냉각소자가 필요한 기존 열영상센서와 달리 냉각소자 없이도 100℃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열영상센서를 개발, 스마트폰으로 체온을 측정하고 자율주행자동차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우리나라가 제안한 정차(停車) 중 고출력 무선 충전 기술의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국제표준화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