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문어 빨판의 구조와 원리를 이용한 ‘스마트 접착 패드’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스마트 패드는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패드로 이번에 개발된 것은 온도로 접착력을 통제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현협 울산과기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팀은 문어 빨판의 구조와 접착 원리를 모사해 이 패드를 만들었다.
문어 빨판이 어떤 표면에 달라붙으면 외부와 단절된 공간이 생기고 문어는 근육을 움직여 빨판 벽 두께를 조절하면서 접착력을 조절한다.
빨판 벽이 얇으면 공간 내 압력이 낮아져 잘 달라붙고, 반대 경우는 잘 떨어진다.
연구팀은 고분자 탄성체(polydimethylsiloxane)에 움푹 파인 구멍을 뚫고, 여기에 열반응성 하이드로젤(pNIPAM)을 붙인 뒤 코팅했다.
즉, 구멍 뚫린 고분자 탄성체가 빨판 모양이고, 열에 반응하는 하이드로젤이 빨판 벽 역할을 하도록 만든 것이다.
이 하이드로젤 빨판 벽은 섭씨 32도보다 높은 온도에선 얇아져서 잘 달라붙고 이보다 낮은 온도에선 두꺼워져 잘 떨어지는 것이다.
연구팀은 “기존 스마트 패드보다 접착력은 6배가량 높고 내구성도 뛰어나다”며 “인공피부 등 의료용 패치, 각종 로봇의 손 등에 쓰일 수 있다”고 소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공학 분야 세계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온라인 속보로 게재됐다.
(146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정부는 10월 누리호 발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
정부가 연구개발(R&D) 사업이 끝난 뒤에도 연구진의 성과를 관리할 수 있도록 연감을 제작하고 성과 추적조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개인기초연구사업 중 중견연구·신진연구·생애첫연구·재도약연구 등에 2천647개 과제를 새로 선정, 3월부터 연구할 수 있게 3천657억원을 지원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주차 로봇'에 대한 실증이 시작된다.
스마트 교차로·사물인터넷 서비스망·공유와이파이 플랫폼 구축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함께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산업 간 융합을 통해 개발된 혁신 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D·N·A 대중소 파트너십 동반진출' 사업을 시작한다.
광주 자치구 보건소에 인공지능(AI) 의료 시스템이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