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FAC 동향리포트] Vol.30-2 새로운 과학적 가치 발견 위한 필수요건
ⓒ게티이미지뱅크
[주요 동향]
미 국립과학재단(NSF)은 A3D3연구소(Accelerated AI Algorithms for Data-Driven Discovery Institute)에 향후 5년간 보조금 1,500만 달러를 지원할 방침이다. 워싱턴 대학 주도하에 9개 대학이 힘을 합친 A3D3연구소는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AI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다. 그 궁극적 목표는 ‘모든 과학 분야에서 AI를 실시간으로 적용하는데 필수적인 제도적 지식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 최신 연구에 꼭 필요한 일이다. 예를 들어 다중신호 천문학(Multi-messenger astrophysics)은 중력파 탐지기, 중성미자 탐지기, 망원경 등을 활용해 관측한 자료를 통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신성, 항성 충돌, 블랙홀과 같은 우주 현상을 식별 및 연구하는 분야다. A3D3연구원들이 개발 중인 AI알고리즘은, 천문학자들이 우주 현상을 보다 신속하게 식별하고 완전한 정보를 구축하도록 돕는다.
고에너지 입자물리학(high-energy particle physics)은 암흑 물질 입자(candidate dark matter particles)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입자를 발견하는 학문이다. 이를 위해선 고에너지 실험에서 발생하는 초당 4천만 건의 충돌을 분석하는 등 방대한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이다.
신경 과학(neuroscience)에서도 AI의 속도와 분석력은 유용하다. 두뇌가 운동기능을 제어하고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실시간 뇌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시험과 치료법이 가능해진다. 이 밖에도 과학 연구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A3D3연구소는 대학원생과 학부생 모두를 포함하는 AI기반 연구 기회를 보다 늘리고자 한다. 이는 관련 인재를 육성하고, 지속가능한 AI기반 연구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현황 분석]
최근 NSF는 데이터 혁명 연구소(Harnessing Data Revolution Institute) 5곳 신설에 7,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목표는 데이터 활용, 관리, 분석 기술 및 관련 인프라를 개발해 데이터 과학 혁신을 주도하는 것이다. A3D3연구소 역시 이런 움직임의 일환이다.
데이터 혁명 연구소는 다방면에서 과학연구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생물학에 활용하고, 최신 분석모델을 이용해 극지방 데이터를 분석한다.
[시사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연구형태가 데이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국내 학계도 서울대, 전남대 등에서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을 설립하는 등 착실히 대응에 나서고 있다.
A3D3연구소가 특별한 것은 AI를 데이터 사이언스에 적극 활용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한 새로운 과학적 가치발견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 글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발행하는 ‘동향리포트’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
(56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4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