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원은 지난 1일 NASA(미항공우주국)의 지속적인 외계 생명체 탐사 여부를 심의하기 위한 예산정책위원회를 열었다. 위원회에는 총 4명의 과학자들이 참석했으며, 이 중 한 명은 NASA 소속이었다.
3일 ‘space.com’에 따르면 NASA 과학임무 부문에서 국장보를 맡고 있는 토마스 주부첸(Thomas Zurbuchen) 박사는 “외계 생명체 탐사는 자연에 대한 이해는 물론 우리 스스로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MIT의 행성학자 새러 시거(Sara Seager) 교수는 “과거 달 탐사가 과학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던 것처럼 지금의 외계 생명체 탐사도 과학을 발전시킬 것”이라며 “특히 자라나는 세대로 하여금 과학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4년 ‘케플러 우주선’을 통해 발견한 두 번째 지구 후보 “Kepler-452b’의 모습(왼쪽 작은 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추정이 이어지지만 증명이 되지 않아 예산 배정을 놓고 정치권과 마찰이 이어지고 있다. ⓒNASA
“차세대 망원경 통해 놀라운 사실 밝힐 수 있어”
시거 교수는 외계 생명체 탐사를 수행하기 위해 순수과학 분야에서 다수의 연구가 진행돼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전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차원의 연구를 통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신기술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원래 GPS는 인공위성 궤도를 추적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다. 이를 미 국방부에서 군사용 기술로 개발해 폭격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적용했고, 민간 부문에서는 자동차 내비게이션과 같은 민간 항법 장치로 활용하고 있다.
스미소니언 미 국립항공우주박물관의 엘렌 스토판(Ellen Stofan) 관장은 “외계인 탐사를 통해 그동안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될 수 있다”며 “이 과정을 통해 사회는 물론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지난 수십 년 간 화성을 비롯해 목성의 위성 중의 하나인 유로파(Europa),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Titan), 엔켈라두스(Enceladus) 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데 성공하고 있다”며 NASA의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
시거 교수는 “외계에 생명체가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아직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우리가 이를 탐사하고 있는 첫 번째 세대”라며 “차세대 행성 사냥꾼 TESS, 차세대 우주망원경 JWST 등을 통해 놀라운 사실이 밝혀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지구 쌍둥이(Earth twin)’라 불리는 행성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태양계와 유사한 환경에서 지구와 같은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에 현재 진행 중인 행성 탐사가 계속 이어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위원회에 참석한 상원의원들은 외계 생명체 존재에 대해 거듭 의문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게리 피터스(Gary Peters) 상원의원은 ‘일부 과학자들이 추정하고 있는’ 외계 문명의 존재에 대해 논리적인 설명을 해줄 것을 거듭 요구했다.
아직까지 뚜렷한 증거 못 찾아, 끈질긴 씨름
상원의원들이 외계 생명체 탐사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연구에 투입되는 막대한 예산이다. 특히 테스트가 진행 중인 차세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space.com’은 “상원의원들이 예산을 심의하면서 탐사 계획 그 자체보다 과도한 예산을 책정해야 하는데 대한 공포심을 갖고 있는 것 같았다”며 향후 외계 탐사 프로젝트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이렇게 외계 생명체 탐사를 놓고 마찰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먼 우주에서 오는 전파신호를 추적해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는 다국적 프로젝트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Life)’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SETI연구소는 지난 2000년부터 스코틀랜드 앤드류스 대학, 미국 캘리포니아 주 SETI 마운틴 뷰 연구소 등을 통해 수행된 ‘리오 스케일(Rio Scale)’ 프로젝트 결과를 최근 ‘국제우주생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biology)’에 발표했다.
SETI연구소 공동 창립자인 질 타터(Jill Tarter) 박사는 보고서를 통해 “SETI 프로젝트가 시작된 후 지난 17년 간 연구 참여자들이 외계에서 전해온 전파신호를 정확히 해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외계 생명체와 관련 가짜뉴스가 판을 치는 세상에서 순수한 의미의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리오 2.0’ 등의 첨단 판독 기능을 도입했다”라며“ 데이터를 더 신속하게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타터 박사는 또 SNS, 블로그, 영상 등을 통해 대중과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는 “가짜 뉴스로 가득 찬 요즘 신뢰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이 확보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ETI는 200 광년 거리 안에 있는 1000개 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별들이 보내오는 1000~2000MHz의 전파를 1Hz단위로 쪼개는 방식을 통해 20억 개의 채널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외계 생명체를 목표로 한 과학자들의 이 같은 노력은 인간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고 사람이 살고 있는 우주환경을 보다 포괄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외계에서 왔을 만한 신호는 검색되지 않고 있다.
관계자들은 외계 생명체를 확인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결실을 거둘 경우, 지구 역사를 바꿔놓는 획기적인 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외계 생명체에 대한 추정자료에 머물러 있는 중이다. 외계 생명체 존재 여부를 놓고 과학자의 끈질긴 씨름이 이어지고 있다.
(1345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