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의 단골 세레머니는 ‘메달 깨물기’로 꼽을 수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 시상의 모습에서 메달 깨물기는 규정상 금지됐다. 지난해 2020 도쿄 올림픽 당시 일본 소프트볼 고토미우 선수의 금메달을 허락 없이 깨무는 돌발 행동을 한 일본의 가와무라 다카시 나고야 시장이 비난을 받았던 바가 있다. 이처럼 올림픽에서 메달을 깨무는 행위가 세레머니로 잡았던 이유는 무엇일까.
‘전성과 연성’
바로 금의 특성 중 ‘전성과 연성’이 그 이유이다. 전성이란 압축력에 대하여 물체가 부서지거나 구부러짐이 일어나지 않고, 물체가 얇게 영구변형이 일어나는 성질을 뜻한다.
연성이란 탄성한계를 넘는 힘을 가함으로써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늘어나는 성질을 뜻한다. 즉 쉽게 변형할 수 있지만, 파괴하기는 어려운 금의 특성을 활용해 시상 시 기념으로 치아의 자국을 남기기 위한 세레머니가 이뤄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올림픽의 금메달은 진짜 금으로 이뤄져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금메달 속 포함된 ‘금’의 진실
결과론적으로 올림픽에서의 금메달에는 금이 포함되지만, 비율상 은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지구촌 최대 스포츠인 올림픽에서의 메달은 종목마다 1, 2, 3위를 한 수상자에게 각각 금메달, 은메달 그리고 동메달이 수여된다. 이는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때부터 시행됐다. 이때는 순금으로 자그마한 메달이 수여됐지만, 메달을 팔거나 비싼 재룟값으로 운영비 문제가 불거져 1920 안트베르펀 올림픽 때부터는 도금 메달을 수여하고 있다.
규정상 현재 금메달은 99.9% 이상이 순은을 이루고 있고, 도금 시 최소 6g 이상의 순금을 사용한다.
1677년 과학자 크리스토퍼 글레이저는 저서 「완벽한 화학자」에서 금에 대해 “그것은 모든 금속 중에서 가장 완벽한 것이기에 금속의 왕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그것은 태양이라고도 불리는데, 환한 빛으로 우리 세계를 밝히는 큰 세계의 태양과 매우 닮았기 때문이며, 우리의 작은 세계의 태양인 심장과도 닮았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금의 위상과 가치는 꽤 오래전부터 높게 여겨지고 있다. ‘메달 깨물기’ 세레머니에서도 설명했듯, 금의 특성이 지닌 활용성과 희소성 등의 가치는 여전히 유일무이하다.
은메달과 동메달 속에는?
그렇다면, 은메달의 은과 동메달의 동은 어떠할까.
은메달은 완전한 은으로만 이뤄진다. 올림픽에서 은메달은 순은으로만 만들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은은 금보다 변하기 쉽고, 성질 면에서 다른 금속보다 가치가 떨어지는 덜 완벽한 금속으로 꼽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은을 완벽한 금속으로 간주하는 이유는 금의 완벽함과 가까운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동메달은 구리와 주석의 합금인 청동으로 만들 것을 올림픽에서 규정한다. 또한, 동메달은 복싱과 유도, 태권도, 레슬링과 같은 일부 토너먼트 스포츠에서 공동 3위를 인정해, 동메달을 두 개 수여하기도 한다.
이번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우리나라는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차지했다. 메달 총 개수 9개로 종합순위 14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목표였던 종합순위 15위 이내를 거머쥐며 대한민국을 빛냈다. 금, 은, 동메달의 원소와 메달의 개수보다 선수들의 값진 경기가 메달 이상의 가치를 선물했다.
(443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울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파진흥협회 ‘비면허 주파수 활용 해상통신 서비스 실증’ 공모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울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해양 기자재 판로개척을 위한 이 사업은 울산의 전기추진체계 지능형 선박인 울산태화호를 활용한다. 해상에서는 광대역 해상통신 서비스를 실증하고 선박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지능형 안전 서비스 실증을 하게 된다. 4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며 세부 과제별 주관기관인
/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기업 참여를 늘리고자 규모와 위험이 큰 초기 기초연구에 대한 정부 지원 연구개발비를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오후 서울 광화문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48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2023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 개선 기본지침’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기본지침은 국가연구개발 제도개선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 역할을 한다. 지침에는 양자 등 새로운
/ 허위·불성실 정보보호 공시를 당국이 검증하거나 수정을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정보보호산업진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정보보호 공시제는 기업 등이 정보보호에 투자하는 비용과 인력 등 현황을 공개하는 제도로 의무 공시가 도입된 지난해 이행률은 99.5%였다. 개정안 통과로 정보보호 공시 내용을 검증하고 공시 내용이 사실과 다른
/ 2030 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벚꽃놀이 장소는 서울숲, 도산공원, 뚝섬유원지로 파악됐다. SK텔레콤은 AI(인공지능)가 전처리한 모바일 데이터를 학습해 통계화한 유동 인구를 측정·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SKT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지오비전퍼즐’을 기반으로, 지난해 벚꽃 시즌(2022년 4월 9~17일) 서울과 수도권내 관광명소 방문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번 조사는 벚꽃 시즌
/ “드론을 활용하면 80만평이나 되는 공사 현장도 한눈에 볼 수 있고, 촬영 영상을 3차원 입체 도면으로 만들면 정확한 공정관리도 가능합니다.” 지난 29일 오전 7시 40분 부산도시공사 4층 강당에서 드론 전문가인 송근목 씨엘파트너 대표가 ‘건설 현장의 드론 활용 방안과 드론관제시스템’을 주제로 특강을 했다. 부산도시공사의 스마트기술 학습모임(스마트 BOOK 모닝) 회원인 임직원 30여
/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술의 효율을 국내 연구진이 20배로 높였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현주 교수와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높은 효율로 이산화탄소로부터 바이오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과 미생물 기반 바이오 전환을 연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기화학 전환반응이 일어나는 전해조에서 이산화탄소가 탄소 1개로 이뤄진 포름산으로
/ 통신사, 방송사 등 기간통신사업자에 한정됐던 정부의 재난 예방·훈련·대응·복구 관리가 이용자 1천만 명 이상 플랫폼 사업자나 매출·운영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인 데이터센터 등으로 확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 10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네이버 서비스 장애 후속 조치로 이런 내용을 담은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을 30일 발표했다. 방송통신발전기본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