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계절에 따라 옷을 바꿔 입는 것이 보통이다. 동복을 여름에 입을 수 없듯이 하복 또한 겨울에 입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번거로움이 사라질 지도 모르겠다. 과학자들이 온도변화가 가능한 직물을 개발했다.
12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이 합성직물은 양면을 특수 처리해 뒤집어 입을 때마다 뜨거워지기도 하고, 차가와지기도 한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신소재를 적용해 외부 온도변화에 따라 모양이 변하거나, 색상이 바뀌는 합성 직물을 개발해왔다.
그러나 온도가 변하는 직물을 개발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직물을 개발한 스탠포드대 연구팀은 이 직물을 상용화하는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상업화에 성공을 거둘 경우 4계절 공통적으로 입을 수 있는 의류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계절에 따라 옷을 바꿔입는 번거로움이 사라질지도 모르겠다. 스탠포드대 연구팀이 특수 처리해 개발한 물질을 원료로 체온 조절이 가능한 4계절용 직물을 개발했다. 사진은 시중에서 판매 중인 직물. ⓒjoann.com
옷 하나로 난방, 냉방 모두 가능해
또한 계절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옷을 선택해야 하는 소비자들의 고민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온대·한대·열대지방 등 세계 전역에서 의류구입비를 크게 절감해 의류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에너지 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난방과 냉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은 엄청나다. 미국의 경우 가정에서 난방과 냉방을 위해 소비하고 있는 에너지 소비량이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40%에 달할 정도다.
그러나 자체적으로 난방과 냉방이 가능한 의류가 보급될 경우 에너지 사용량 역시 크게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에너지 산업은 물론 주택건설 등 다른 관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스탠포드대 물질과학자인 이 쿠이(Yi Cui) 교수 연구팀은 현재 수은 같은(mercury-like) 옷을 개발했으며 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는 중이다. 온도조절이 가능한 이 신기한 합성직물의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보온이 가능한 쪽은 특수 물질을 절연 처리해 인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보온할 수 있도록 했다. 시원한 쪽은 거친 면으로 구성돼 있다. 특수 제작된 섬유가 피부로부터 발산된 열을 그때그때 흡수할 수 있는 구조다.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은 적외선 조절 기능 때문이다. 사람은 인체로부터 적외선을 발산하고 있다. 적외선을 모두 발산할 약 40~60%의 체온을 떨어뜨린다. 이 적외선을 차단할 경우 체온을 보존할 수 있다. 적외선 조절에 따라 체온 조절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적외선 투사를 조절하기 위핸 폴리에틸렌(PE)을 원료로 45미크론(micron, 1mm~0.5μ) 두께의 신물질을 만들었다. 이 물질은 매우 작은 나노 크기의 구멍들로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다.
섭씨 6.5~13도까지 온도 변화 가능
많은 구멍들로 구성돼 있지만 빛은 통과하지 못한다. 그러나 적외선은 투사가 가능하다. 이 적외선 투사 기능을 적용해 외부 환경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온도 조절이 가능한 신기한 직물을 만들었다.
직물 내부는 기능이 다른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한쪽은 블랙 카본(Black Carbon)으로 표면 처리했는데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또 다른 한쪽은 아주 얇은 구리(銅) 박막으로 표면 처리돼 적외선을 발산할 수 있다.
이 두 기능을 지닌 두 부분이 두 겹으로 밀착돼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직물로 만든 옷을 뒤집어 입을 때마다 피부와 밀착돼 있는 부위가 달라 앞과 뒤가 다른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
인체에서 나온 적외선을 발산할 경우 온도가 떨어지면서 시원한 느낌을 갖게 된다. 적외선을 차단할 경우 보온이 가능해지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이 직물을 통해 다른 옷들과 비교해 섭씨 6.5도의 온도 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세계적인 국제과학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지 10일자로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A dual-mode textile for human body radiative heating and cooling’ 이다.
이전에 온도를 자동조절하는 서모스탯(thermostat)이 개발돼 건축 등에 사용된 바 있다. 서모스탯이란 전기난로 ·전기담요 등에 넣은 자동 스위치로 온도가 올라가면 열리고, 내려가면 닫혀 지는 기능을 말한다.
스탠포드 연구팀은 서모스탯과 유사한 기능을 직물 속에 적용했다. 이 직물이 대량 생산될 경우 계절에 관계없이 입을 수 있는 옷 생산이 가능해진다. 관계자들은 현재 6.5도의 온도 변화가 가능하지만 향후 13도까지 온도 변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MIT의 기계공학자인 에블린 왕(Evelyn Wang) 교수는 “스탠포드 연구팀이 놀라운 연구결과를 내놨다.”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멋지고 매우 단순한 구조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직물을 개발했다.”며 연구 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현재 쿠이 교수 연구팀은 이 직물의 상용화 작업을 진행하면서 벤처기업 설립을 준비 중이다. 수년 내에 제품을 의류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연구팀은 이 직물의 원료인 폴리에틸렌이 매우 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어 가격 경쟁력을 손쉽게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쿠이 교수는 “이 직물이 출현하면서 기존의 섬유 및 의류업계에 한 차례 도약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내구성, 안정성 등을 추가해 세계인들이 모두 사용이 가능한 첨단 직물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866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