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새로운 정찰 및 전령용 이동체 가능성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이 시험 중인 군용 전동 자전거 ⓒ Australian Army
오래 전부터 정찰은 가장 기본적인 정보 획득 수단이었다. 물론 정찰기나 정찰 위성을 띄워서 정찰하는 방법도 있지만, 육군의 소부대전투에서는 보병이나 기병, 기계화 부대가 정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기계화 부대에서 정찰에 사용하는 탈것을 고르는 기준은 꽤 까다롭다. 전차나 장갑차는 일단 장갑 방호력은 있지만 너무 크고 시끄러워서 적에게 쉽게 들킨다. 또한 갈 수 없는 지형도 많다. 때문에 오래 전부터 모터사이클이 이상적인 기계화 정찰 수단으로 쓰여 왔다.
모터사이클은 빠르고, 극복 가능한 지형이 훨씬 더 많다. 하지만 이것 역시 엔진 소음이 크고, 배기도 나와서 적에게 들킬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에서는 정찰 목적으로 전동 자전거를 현재 시험 중이다. 전동 자전거는 소음이 훨씬 적은 전기 모터를 사용하고, 이론상 야전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등 장점이 많다.
이들의 전동 자전거는 최고속도 시속 88km, 항속거리 99km에 달한다. 정찰 작전 시에는 30여 분 내에 50km 거리를 주파할 수 있다. 그리고 정찰이 복귀하면 야전에서 충전이 가능하며, 임무 도중 전력이 완전히 소진될 경우 병사가 페달을 밟아서 움직일 수도 있다. 전령용으로도 운용할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육군은 이 전동 자전거로 정찰 및 연락 임무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걸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과거 2014년 미국 DARPA도 군용 저소음 전동 자전거 개발을 시도했다. 이때 DARPA는 소음 수준을 55데시벨 이하로 정했다. 가정 내에서의 대화 소음보다는 좀 크고, 30m 떨어진 에어컨디셔너의 소음보다는 작다.
오스트레일리아 국방부는 현재 시험 중인 전동 자전거의 모델도, 소음 기준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분명 기존의 가솔린 모터사이클보다는 훨씬 조용할 것이다. 그리고 전투가 진행되는 야외의 주변 소음보다도 더 조용할 가능성이 높다.
오스트레일리아 군이 이 제품을 정식 채용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 하지만 태평양에서 군사적 분쟁이 벌어질 경우를 대비해 군 현대화를 진행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는, 과거의 전훈을 통해 군용 자전거의 유용성을 충분히 알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도 일본군은 경량 인력식 자전거를 운용해 험한 지형에서 병력을 신속히 이동, 싱가포를 점령했기 때문이다.
21세기인 지금도 자전거는 가볍고 빠르며 유연한 운용이 가능한 이동체로 군사적 가치가 높다. 또한, 미래 전쟁에서 더욱 높은 지속가능성과 은밀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284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광도(밝기)가 급격히 떨어졌던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α별인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가 별의 표면인 광구(光球)의 일부가 대형 폭발로 날아가는 '표면질량분출'(SME)을 겪고 서서히 회복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텔게우스의 SME는 태양의 바깥 대기에서 플라스마를 대량 방출하는 '코로나질량분출'(CME)의 약 4천억 배에 달하는 관측 사상 전례가 없는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체료제인 '로미타피드'가 항암 효과까지 있음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해 이런 성과를 냈다.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증을 찾는 약물 재창출은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지만, 모든 약물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움이 있다.
화성 지질탐사선 '인사이트'(InSight)호가 착륙한 적도 인근 지하에 기대와 달리 물의 흔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 지구물리학자 바샨 라이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사이트호가 '화진'(Marsquake)을 통해 수집한 지진파 자료를 분석해 얻은 결과를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국내 질병 사망 1위는 암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심혈관 질환이 압도적인 1위다. 국내에서도 평균 수명이 늘고 생활 습관이 서구화하면서 심혈관 질환 환자가 상당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심혈관 질환은 대략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 고혈압, 부정맥, 선천성 심장병 등 6가지다. 과학자들은 심혈관 질환을 일종의 노화 질환으로 본다. 보통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도 커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2∼3개월 후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 16일 지스트에 따르면 지스트 윤진호 교수, 전남대 정지훈 교수, 서울대 김상우 교수,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기후 예측 모델에서 생산되는 기후전망 정보 통계를 활용해 장기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채식 다이어트가 고관절 골절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관절 골절은 허벅지 뼈(대퇴골)의 위쪽 끝(골두)이나 목 부분(경부)에서 발생하는 골절로 주로 노인들의 낙상이 원인으로 회복이 매우 어렵다. 영국 리즈(Leeds) 대학 식품과학·영양학 대학의 제임스 웹스터 영양역학 교수 연구팀이 35~69세 여성 2만6천318명을 대상으로 거의 20년에 걸쳐 진행된 '여성 코호트 연구'(Women's Cohort Study)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와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1일 보도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음식물 쓰레기 등이 썩으면서 내뿜는 온실가스인 메탄이 지금까지 매립지 규모와 부패율 등을 토대로 추정해온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우주연구소 대기과학자 요아네스 마사커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도 뭄바이를 비롯한 4개 도시의 첨단위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2019년 쓰레기 매립지의 메탄 배출량이 이전 추정치의 1.4∼2.6배에 달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