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가장 가까운 동물인 침팬지, 고릴라 등 영장류의 미래가 불확실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영장류를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사냥, 덫, 삼림벌채 등의 인간 활동을 줄어들지 않은 채 전 세계 약 500종의 영장류 중 절반 정도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주목해봐야 할 것은 영장류 몸 안에 사는 기생충이다. 미 듀크대 연구팀은 최근 논문을 통해 “영장류와 함께 멸종하고 있는 기생충이 영장류보다 두 배 이상 더 많을 수 있다.”며, 생물 다양성이 줄어들고 있는 데 대해 큰 우려를 표명했다.
213종의 영장류 중 108종이 멸종위기에 직면한 가운데 영장류 몸 안에 서식하고 있는 기생충도 함께 멸종해 서로 연관관계에 있는 생태계 네트워크를 손상해 생태계 불안정을 가속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은 가장 작은 영장류인 필립빈 안경원숭이. ⓒWikipedia
멸종위기 직면한 기생충에도 관심 기울여야
이전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물 몸에 서식하고 기생동물의 약 85~95%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다.
세계 자원과 자연보호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멸종을 경고하는 ‘레드 리스트(Led List)’에 기생동물을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은 그동안 일부 생물학자들로부터 우려를 사왔다.
이번에 발표한 논문 제1저자인 듀크 여우원숭이 센터(Duke Lemur Center)의 제임스 에레라(James Herrera) 교수가 대표적인 경우다. 그는 “기생충의 멸종을 우려하는 이런 노력이 이상한 일처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있어 특히 기생충은 ‘보존하기보다는 근절하고 싶은 것’으로 몸 내부에서 꿈틀거리는 모습이 징그러울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교수는 “기생충이 항상 눈에 띄는 증상을 일으키거나 숙주를 아프게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어떤 기생충의 경우 신체가 다른 감염을 막는 데 도움이 되거나 자가면역 질환을 억제하는 것과 같은 놀라운 일을 하는 경우도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영장류의 멸종이 이런 다양한 기생충의 멸종을 동반하고 있다.”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는 이들 기생동물에 관심을 가져 달라고 요청했다.
관련 논문은 20일 ‘왕립학회 자연과학 회보 B(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에 게재됐다. 제목은 ‘영장류와 기생충의 공존 예측(Predictions of primate–parasite coextinction)’이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기생충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면서 “그동안 간과돼왔던 기생동물 관련, 미래 생물다양성 손실은 숙주와 기생충 간의 관계를 포함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건강한 생태학적 환경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원숭이, 유인원, 여우원숭이, 갈라고 등 213종의 영장류와 영장류 몸 안에 서식하고 있는 763종의 기생충이 관련된 상호작용 네트워크(interaction network)를 분석했다.
영장류 114종 멸종하면 기생충 176종 멸종
그런 다음 멸종위기에 처한 영장류 114종을 제거한 후 영장류 멸종이 자연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상황을 예측했다.
그 결과를 연구팀이 개발한 ‘상호작용 네트워크’ 시스템에 따라 시뮬레이션한 결과 영장류에 서식하던 기생충 176종이 멸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영장류 기생충 가운데 23%에 달하는 것이다.
더 우려되는 것은 176종의 기생충이 멸종한 다음 남아 있는 영장류 사이에서 벌어질 상황이다. 생존한 영장류들의 몸 안에서는 기생충과의 상호작용이 줄어들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숙주인 영장류의 멸종이 숙주와 기생충 간의 네트워크를 교란시미고, 잠재적으로는 기생충의 2차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에레라 교수는 “영장류 숙주가 사라지면 그것과 연결된 기생충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며, “하나의 멸종이 또 다른 멸종을 낳는 치명적인 폭포(deadly cascade)가 시작된다.”고 설명했다.
에레라 교수는 고전적인 어린이들의 게임 커플렁크(KerPlunk)와 비슷하다고 말했다. 십자형 막대기 위에 놓여 있는 구슬로 채워진 투명한 튜브 속에서 막대기를 제거해가면서 막대기에 걸린 구슬을 수집하는 게임이다. 여기서 막대기는 영장류, 구슬은 기생충과 유사하다는 것.
막대기가 많이 남아 있을 때는 구슬 역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지만, 막대기가 하나둘 사라지면서 남아 있는 구슬들은 폭포수처럼 무너져내리는데 막대기(영장류)가 사라지면서 구슬(기생충) 역시 이처럼 무너져내린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현재 213종의 영장류 중 108종이 멸종위기 상황에 처해 있는데 108종이 멸종한다면 추가로 250종의 기생충이 멸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멸종 위기는 마다가스카르 섬과 같은 고립된 곳에서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마다가스카르에서 계속 줄어들고 있는 숲, 불법 사냥 및 애완동물 거래 등으로 여우원숭이 종의 95%가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는데 여우원숭이 몸에 서식하는 기생충의 60% 이상이 위협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많은 기생충이 숙주를 떠나 다른 숙주에 정착할 수 있는지는 예측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말라리아, HIV로 인한 AIDS, 황열병과 같은 인간의 가장 악명 높은 질병 중 일부는 다른 영장류에서 시작돼 사람들에게 퍼져 나간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372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