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 + 융합 현장] ‘2014 글로벌 벤처창업 컨퍼런스’ 현장
27일 서울 코엑스 ‘2014 창조경제박람회’ 부대 행사로 열린 ‘2014 글로벌 벤처창업 컨퍼런스’에 26개국에서 온 창업가들이 모였다.
이들은 자국에서 수 차례 창업에 참여한 바 있으며, 지금은 창업을 돕는 액셀러레이터 등을 운영하며 창업 선배 역할을 하고 있는 인물들. 창조경제박람회를 통해 모임을 갖고 각국 상황을 소개하며 다양한 정보를 공유했다.
컨퍼런스 형식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서 창업 정책과 출입국 비자 문제, 스타트업의 성공 사례, 창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시장에서의 반응 등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왔다.
“영국은 창업하기 좋은 최고의 나라”
그중에서도 영국의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 브리튼(StartUp Britain)’의 스카이 로버트슨(Skye Robertson) 대표의 주제 발표가 큰 주목을 받았다. 그녀는 로버트슨 대표는 영국을 ‘창업하기 좋은 최고의 나라 중의 하나’라고 평했다.
27일 서울 코엑스 ‘2014 창조경제박람회’ 부대 행사로 열린 ‘2014 글로벌 벤처창업 컨퍼런스’. 한국 등 27개국에서 온 창업가 들이 모여 열띤 토론을 벌였다.
ⓒ ScienceTimes
“아이템이 좋을 경우 정부가 나서 12개월이 안 된 기업에 대해 2만5000파운드(한화 약 4억3000만원)까지 대출을 해 준다”고 말했다. “초기 투자인데도 거액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그럴 경우 민간 투자사들이 개인금융 방식으로 또 지원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최근 테크시티에서는 유학생의 창업자금을 지원하면서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에서 유학을 하려면 5만 달러의 예치금이 필요한데 이 예치금을 면제해주고 있다는 것. 이 특혜에 따라 많은 유학생들이 부담 없이 적은 비용으로 창업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심을 끈 것은 영국 특유의 창업 분류 기준이다. ‘마이크로프루너(MicroPreneurs)’라는 것이 있다. 취미로 케이크를 만들어 파는 것 처럼 소규모 형태로 시작해 사업이 잘 되면 점처 사업을 키워가는 방식이다.
학생이 겸업할 수도 있으며, 직장인이 겸업을 하다고 수입이 좋아지면 전업할 수 있는 부담없는 창업 방식이다.
‘홈프루너(HomePreneurs)’라는 것도 있다. 영국에서 200만 명 정도가 집 안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이중 재능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설명이다. 영국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창업을 권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팝 업스(Pop-Ups)’라는 것도 있다. 장사가 안 돼 도심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데도 비어있는 상점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온라인 사업을 하던 창업자가 ‘팝 업스’ 방식을 활용하면 그동안의 약점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 브라질 등도 최근 창업 열기 고조
‘핀테크(FinTech)’는 금융 관련 창업을 말한다. 영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업 가운데 약 30%가 ‘핀테크’라고 말했다. 영국에 대형 금융시장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금융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사업화한 것들이다.
이밖에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스타트업 관련 업종 중의 하나다. 많은 사람들이 소액 투자자(seeder)로 참여하면서 정부에서 ‘크라우드펀딩’ 사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는데 따른 결과다.
인도는 13억 인구 중 약 80%가 실업 상태에 있는 빈곤 국가다. 그러나 최근 창업 열기가 인도인들의 실업 상태를 해결해주고 있다.
인도의 액셀러레이터인 ‘스타트업 인디아(Startup India)’의 야틴 타쿠르(Yatin K. Thakur)’ 대표는 “지난 2012년까지만 해도 스타트업을 도울 수 있는 제도와 기구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2013년 들어 새롭게 액셀러레이터가 등장하고, 엔젤투자가 생겨나면서 창업 사례가 급속히 늘었다는 것. 올해 들어서는 정부가 나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창업 펀드를 조성하는 등 인도 전체가 창업 열기에 휩싸여 있다고 말했다.
브라질의 액셀러레이터인 ‘스타트업 브라질(StartUp Brizil)’의 휄리페 마토스(Felipe Matos) 수석 이사는 “브라질에서 지금 창업 열기가 고조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창업이 내수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고 말했다.
창업을 시도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대학 졸업생 중 52%가 창업을 원한다고 응답했는데, 올해 조사에서는 65%로 늘어났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없이 무작정 창업에 뛰어드는 사례도 많아 액셀러레이터들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26명의 해외 스타트업 전문가들과 함께 한국의 스타트업 ‘넵튠’의 정욱 대표, ‘헤세드 정보기술(주)’의 손병기 대표 등이 참석했다. 패널토론은 ‘미래글로벌 창업지원센터’의 오덕환 센터장이 맡았다.
‘2014 글로벌 벤처창업 컨퍼런스’는 미래창조과학부, 중소기업청이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벤처기업협회, 전자신문이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2735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