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창조 현장(213)
맨 섬(Isle of Man)은 영국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사이 아이리시 해 중간 지점에 있는 섬을 말한다. 면적은 572㎢, 인구는 8만5000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주도(主都)는 더글러스(Douglas)다
이곳에 있는 도로에서는 대부분 속도 규제를 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많은 자동차 속도광들이 이곳을 찾고 있다. 최근 들어 영국 정부와 이곳 자치정부는 섬 전체를 ‘디지털 화폐 천국(paradise for digital currencies)’으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10일(현지 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 지는 이 지역에서 핀테크 기업들이 자유롭고 안전하게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맨 섬 자치정부가 법령 제정 작업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새로 제정할 법안의 주요 골자는 온라인 화폐를 권장하고, 관련 스타트업들을 지원하는 것 등이다.
맨 섬을 디지털화폐 정책지구로 선정
영국은 디지털 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을 제도권으로 끌어들인 나라다. 비트코인 환전소 개설을 허용하고 EU 회원국들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거래를 허용해왔는데 지난 1월 6일 큰 사고가 발생했다.
섬 전체를 ‘디지털 화폐 천국’으로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 영국 맨 섬(Isle of Man)’ 자치정부의 홈페이지. 안전하고 자유스럽게 디지털 화폐(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법령 제정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http://www.visitisleofman.com/
지난 1월6일 비트코인 거래소 ‘비트스탬프(Bitstamp)’가 해킹 공격을 받아 34만 파운드가 순식간에 사라진 것이다. 비트스탬프는 거래량 기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거래소였다. 파문이 클 수밖에 없었다.
원인 분석에 나선 영국 정부는 이런 사고가 난 원인을 관리 소홀이라고 보았다. 일반 화폐처럼 중앙은행에서 철저한 통화관리를 해야 하는데 그런 기관과 제도가 없는 상황에서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것.
그리고 지금 맨 섬에서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섬 자치 정부가 내놓은 법안을 보면 어떤 상황에서도 디지털 화폐를 마음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이 다수 포함돼 있다. 강력한 창업 지원 조항도 포함돼 있다.
영국 정부가 맨 섬을 디지털화폐 정책지구로 선정한 이유가 있다. 기후가 온화하고 경치가 아름다워 많은 관광객이 몰리고 있는 지역이지만 창업이 활발한 지역이기도 하다. 170여개 스타트업들이 활동하고 있는데 그중에 20여개가 금융관련 벤처사업을 하고 있는 중이다.
독자 전산망이 가능한 섬 지역인데다 많은 관광객이 몰려 전자결제가 필요한 상황이고, 더구나 핀테크 창업자들이 다수 모여 있어 ‘디지털 화폐 천국’으로 만들기에 적소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창업자들에게 파격적인 세제 우대 정책
맨 섬 자치정부에서 전자상거래를 담당하고 있는 피터 그린힐(Peter Greenhill) 씨는 “지난 2010년 재개정한 범죄수익 환수법(Proceed of Crime Act 2010)에 준용해 현재 섬 의회와 함께 안전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범죄수익 환수법이란 범죄행위를 통해 이익을 본 금액을 환수하기 위해 재산환수청을 통해 범죄수익을 몰수 또는 환수하는 법안이다. 강력한 제재를 통해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비트코인에 대한 비난을 불식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해석된다.
창업자들을 위해 우대 조치도 포함시켰다고 말했다. 수익세는 물론 법인세, 자본이득세(capital gain tax), 심지어 개인적인 인세(persoanal tax)에 이르기까지 파격적인 세금 우대 정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디지털화폐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더 특별한 우대조치를 적용하는 조항을 마련 중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많은 창업자들이 이곳에서 핀테크 사업을 해오고 있지만 법령 시행 후에는 더 많은 창업자들이 맨 섬을 찾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많은 금융기관이 런던에 집중돼 있어 영국을 금융산업의 중심지라 부른다. 핀테크에 대한 관심도 남다르다. 2010년초 영국 정부는 런던 시내 금융 중심지에 ‘레벨39(Level39)’라는 별도의 핀테크 클러스터를 지정, 운영하기 시작했다.
민간 부문에서는 대형 금융기관들이 나서 핀테크 관련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바클레이즈, 마스터카드, 로이드뱅크 등 대형 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pan-European accelerator Startup Bootcamp’이 대표적인 사례다.
특히 바클레이즈 은행은 매년 300여개 핀테크 스타트업들을 초청해 지원행사를 하고 있다. 자체적으로는 핀테크 기술을 적용한 앱 ‘핑잇(Pingit)’을 내놓기도 했다. 전화번호와 QR코드를 통해 손쉽게 송금, 결제가 가능한 솔루션이다.
핀테크 창업에 열심인 영국이 지금 맨 섬에 세계 최고 수준의 비트코인 세상을 만들고 있다. 그동안 범죄용이라는 낙인을 어떻게 씯어내고, 안전하고 자유스러운 디지털화폐 세상을 만들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받고 있다.
(973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은 혈액·소변을 이용해 암과 같은 질병을 현장에서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소변·혈액 생체시료에는 건강 상태를 알려주는 바이오마커(생체 지표)가 포함돼 있어 이를 분석하면 질병 여부를 알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질병과 관련이 있는 바이오마커를 분리·정제해야 하나 현재는 대형 의료시설이나 실험실에서 샘플을 분석해야 해 시간·비용이 많이 든다.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AI) 이 선정됐다. 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을 앞두고 국민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10대 발명 기술'을 18일 발표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이어 2위는 로봇, 3위는 미래차가 차지했으며 수소(4위), 에너지(5위) 등이 뒤를 이었다.
라오스 고대 동굴서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 소녀에게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어금니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안데르탈인의 사촌 격인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드문데다 동남아 열대 지역 거주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호주 플린더스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 고인류학자 파브리세 데메테르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라오스 북동부 안남산맥의 석회암 동굴 '탐 은구 하오(Tam Ngu Hao) 2'에서 발굴한 어금니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