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도시 계획 전문가인 메누 타와리(Meenu Tewari) 교수는 인도 서부 수라트 시에 있는 한 방직회사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녀는 그러나 뜻밖의 상황에 직면했다. 그곳에는 직원을 볼 수 없었고 기계만 남아 있었다. 실종된 직원은 멀리 있지 않았다. 그들은 뜨거운 날씨를 피해 가까운 차양 아래 그늘에서 쉬고 있었다.
타와리 교수는 최근 ‘사이언스 뉴스’ 지에 “기절할 정도의 고온 탓에 작업자들이 열에 달구어진 기계 근처에 다가가는 것을 거절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회사에서는 온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간에 휴식을 주고 있었다.
최근 지구촌 곳곳에서 폭염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고온 지역을 중심으로 체온(습구온도)이 35°C를 넘어가면 인체 건강, 심리에 적신호가 켜질 것이라는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
페르시아만, 남아시아 황폐해지고 있어
생리학적으로 인체는 열과 습도를 결합해 측정한 35℃ 이상의 습구온도(Wet-bulb temperature)에 견디지 못하게 돼 있다.
더위가 사람의 몸에 지나친 부담을 주면 전반적인 환경 대처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업무적으로 수행해야 할 다양한 작업 과정에서도 수행도가 크게 저하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도를 넘어선 고온이 사람의 공격성을 증가시키고, 인지 능력을 저하케 하며, 결과적으로 기업 생산성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것. 인도 방직공장을 방문한 타와리 교수의 증언이 이를 잘 설명하고 있다.
이달 초 ‘사이언스 어드밴스’ 지에 게재된 논문 ‘Deadly heat waves projected in the densely populated agricultural regions of South Asia’에서는 최근 고온 현상이 ‘우려할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스위스취리히연방공과대학(ETH Zurich)의 기후과학자인 크리스토프 르(Christoph Schär) 박사는 “고온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인도‧파키스탄 지역 농어‧촌에 사는 많은 사람이 에어컨 등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더욱 가난해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연구 공동저자인 로스앤젤레스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의 환경 엔지니어 제레미 팔(Jeremy Pal) 교수는 “특히 아시아에서 심한 폭염이 얼마나 널리 퍼져 있는지 확인하고 매우 놀랐다.”며, “특히 미래 온난화가 페르시아 만 지역을 극도로 황폐하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인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남아시아 지역도 페르시아 만 지역에 못지않게 피해가 심각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관련 국가, 지역협의체 등에서 지역 주민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빠른 대처 방안을 마련해줄 것으로 요청했다.
로율라 메리카운트 대학의 제레미 팔 교수는 지난 2015년 10월 ‘자연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 저널에 ‘Future temperature in southwest Asia projected to exceed a threshold for human adaptability’란 제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온도 올라갈수록 적개심 더 강해져
35℃ 이상의 습구온도가 인체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는 것. 인체는 땀의 증발을 통해 체온을 35°C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 임계치는 통풍이 잘되는 실외 조건에서 건강한 인간의 생존 한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들은 35℃보다 다소 낮은 상태에서 건강을 유지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공통으로 우려하고 있는 것은 상승하고 있는 지구 온도와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체 습구온도가 35℃를 넘어설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제레미 팔 교수의 논문은 육체적인 문제에 국한하고 있지만 저명한 사회심리학자 크레이그 앤더슨(Craig Anderson) 박사는 지난 2000년 자신의 연구결과를 통해 고온으로 인한 심리적 악영향을 기술하고 있었다.
그의 연구팀은 대학생들에게 대화에 참여하는 부부의 비디오 테이프 4개를 보여주었다. 하나는 중립적인 내용이었고 나머지 세 개는 듀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연구팀은 이 비디오를 보는 동안 실내 온도를 14°~36°C로 조절할 수 있도록 했다.
그리고 부부에 대한 적개심 수준을 변화시켰다. 가지 다른 온도 중 하나로 온도 조절 장치가 설정된 방에 앉아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연구원들은 학생들에게 커플의 적개심 수준을 측정한 결과 더워질수록 더 적대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의 연구 결과는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에 실렸는데 이를 통해 ‘사람은 더워지면 사물을 더 불쾌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정설이 됐다.
실제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로스앤젤레스의 범죄 데이터를 조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온이 섭씨 18.333333℃(65℉)에서 21.111111℃(70℉)를 넘을 때 폭력 범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지금처럼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210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4.25℃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레미 팔 교수는 “그렇게 되면 남아시아 인구의 4%가 35°C를 초과하는 치명적인 습구 온도를 경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전체 인구의 약 75%는 대부분 인간에게 위험한 31°C 이상의 습한 온도를 경험할 것”이라며, 2015년 체결한 파리 기후협정에서 약속한 것처럼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리협정을 준수할 경우 ‘31°C 이상의 습한 온도를 경험할’ 지구 인구가 75%에서 55%로 내려갈 수 있다는 것. 최근 폭염 사태를 접한 상황에서 최근 연구 결과들은 인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연이어 제시하고 있다.
(191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