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카드로 신분과 신용을 인식하던 시대가 지나가고 있다. 이제는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는 모바일 카드가 대세이다. 모바일 카드 다음은 생체인식 단계로 넘어간다.
지문 인식과 홍채 인식 등 다양한 생체 인식 방법이 있지만 앞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생체 인식분야는 얼굴 인식 분야이다. ‘쉬운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얼굴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기계 앞에서 한번 멈춰서야 했다. 여러명이 우르르 지나가면 인식 불가. 멈추지 않고 지나가도 인식하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여러명이 한꺼번에 지나가도 정확하게 인식이 된다. 화장을 진하게 해도, 모자를 쓰거나 안경을 써도 심지어 쌍둥이인 경우에도 정확하게 대상을 인지해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사회, 바야흐로 눈에 ‘보이지 않는 투명한 인터페이스, 인비져블 UI(Invisible UI)’ 시대가 도래했다.
올해를 선도할 모바일 앱 트렌드를 찾아라
16일 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kipfa) 주최로 서울 역삼동 포스코 P&S타워에서 열린 ‘2017 스마트 앱 트렌드 컨퍼런스(2017 Smart APP Trend Conference)에서는 모바일 전문가들이 올해를 선두할 새로운 모바일 앱 트렌드를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모바일이 선두해나갈 분야 중 가장 혁신적인 분야는 단연 금융서비스였다. 결제와 지불의 역할을 하던 현물 화폐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발달하게 되면서 ‘돈’이 눈에 보이지 않게 거래되고 있다. 돈은 데이타 숫자로 흔적을 남긴다. 이제 화폐는 기록으로만 남을 전망이다.
한국비트코인 거래소 (주)코빗(KORBIT) 유영석 대표는 “돈이야 말로 ‘기술'”이라고 단언했다. 인류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화폐를 사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기존 화폐를 사용할 때 보다 더 빨리 송금해주고 더 낮은 처리 비용을 요구한다. 그는 올해 블록체인을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이 확대되고 관련 기술이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멤버쉽’은 고객의 충성도를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고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견고한 마케팅 툴이다. 라이트브레인엠 김명일 팀장은 성공적인 모바일 멤버쉽 서비스를 위해서는 “회사별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따라 가시적 혜택을 주는 동시에 감성적인 GUI로 고객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와 같은 노하우를 토대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난해 5월 런칭한 맥심커피의 멤버쉽 서비스는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6천여개의 자발적인 바이럴이 확산되었다. ‘좋아요’를 누른 사용자는 15만여명에 달했다.
티팟스튜디오 박민지 대표는 어린이용 모바일 창업 게임을 개발해 선보였다. 게임이지만 경제 교육을 겸할 수 있어 학교 수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 김은영/ ScienceTimes
기술은 숨고 혜택을 드러나게, ‘캄테크’
보안 분야도 스마트 앱으로 옮겨가고 있다. 에스원 김정기 선임연구원은 “기술과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안정감 있게 사용자들에게 보이지는 않지만 안심할 수 있는 시큐리티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보안서비스의 목표”라면서 기술은 숨고 서비스는 드러나는 ‘조용한 기술, 캄테크(Calm -Tech)’를 강조했다.
LG전자가 출시한 ‘스마트씽큐 센서(SmartThinQ™ Sensor)’는 캄테크를 적용한 제품이다. 센서를 전자제품에 부착하면 일반 가전제품을 사물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기기로 바꿔준다. ⓒ LG전자
캄테크(Calm -Tech)는 사용자가 쉽게 자각하지 못하게 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 현실과 가상이 자연스럽게 융합되고 확장되도록 도와야 한다. 캄테크는 궁극적으로 투명한 유저 인터페이스인 인비저블 (Invisible UI)로 연결된다. 인비쥬얼 UI는 사용자와 서비스간의 매개(Interface)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일일히 개입하거나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첨단 알고리즘은 사람의 얼굴을 자동으로 인식해낸다. 과거와는 달리 기계와 접촉(멈춰 기계가 인식하길 기다림)할 필요도 없다.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지나가도 문제되지 않는다. 변장을 하거나 화장을 하고 머리 스타일이 달라져도 상관 없다. 심지어 쌍둥이도 정확하게 구별해 인증해낸다.
첨단 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많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자각을 못하는 사이에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좋기만 할까? 만약 얼굴인식 인증으로 식권을 지불하기로 했는데 내가 돈을 낸 것인지 내 앞에 있는 사람도 함께 계산이 된 것인지 사용자가 알 수 없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김 연구원은 “기술이 너무 발달해서 고객이 자각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불확실성이 사용자의 불안감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딜레마를 시사했다. 그는 “앞으로 서비스를 개발할 때에는 사용자의 사용 맥락을 고려한 적절한 개입 요소를 만들 필요가 있다”며 “기술 속에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인지할 수 있는 균형적인 서비스 제공이 되야 한다”고 조언했다.
(2618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