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기술로 인해 미래의 일자리 지형이 바뀌고 있다. 아이들은 기계와 경쟁하며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
이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도 변화의 물결이 일고 있다. 교육에 기술을 더하고 기계와 공존하는 방법을 익히며 일자리 환경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지난 16일에서 18일까지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민국 교육박람회에서도 이러한 변화의 바람이 전면에 드러났다.
진화하는 기계에 맞춰 교육 방법도 달라져야
‘교육이 미래다(The Future is Education)’를 주제로 열린 박람회 현장에는 교육과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교육 관련 기술 및 서비스들이 대거 등장했다.
이 중 AI가 교육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컸다. AI와 로봇은 일자리 경쟁자이자 인간의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줄 촉매제였다. 교육 관련 업체들은 AI와 로봇을 활용해 새로운 교육 서비스들을 만들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 업체 아이스크림 에듀는 AI 프로그램을 자사 대표 상품인 스마트 홈 러닝 서비스에 공격적으로 도입했다. 아이스크림 에듀는 인공지능으로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해주는 ‘AI 생활기록부’와 올 상반기에 출시할 신규 서비스로 듣고 말하는 인공지능 ‘홈런 AI 영어’, 보고 생각하는 인공지능 ‘XR 스쿨’ 등을 선보였다.
현재 서비스 중인 ‘AI 생활기록부’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도입해 자체적으로 매일 수집되는 900만 건 이상의 학생 행동 이벤트를 정밀하게 분석해 학습 수행률과 정답률, 문제 풀이 시간이나 정답 및 오답 문항의 특성, 학습자의 학습 습관까지 분석해준다.
로봇에 AI 프로그램을 융합한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들도 눈길을 끌었다. 에듀테크 스타트업 큐브로이드는 음성인식과 이미지 인식 기반의 인공지능 로봇 ‘아티보’를 선보였다.
AI 코딩 로봇 ‘아티보’는 카메라를 사용해 사람의 얼굴이나 디지털 이미지를 식별하고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음성인식 기능을 통해 간단한 블록형 스크래치 코드로 여러 가지 명령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
신재광 큐브로이드 대표는 “‘아티보’는 웹 기반의 블록형 코딩 플랫폼을 제공해 누구나 쉽게 인공지능을 경험하고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사람만의 고유 능력, ‘상상력’과 ‘재미’를 찾아야
인간은 본래 ‘노는 것이 본성’이다. 요한 하위징아(Johan Huizinga, 1872~1945)는 1938년에 출간한 ‘호모 루덴스(Homo Ludens)’에서 인간을 ‘‘호모 루덴스’라고 칭하고 인간의 본질을 유희라고 파악했다.
기계가 사람이 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일을 대신하는 미래에 인간은 기계가 할 수 없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우리의 교육 방법도 이에 발맞춰 준비해야 한다. 사람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 능력, ‘상상력’과 ‘놀이’, ‘재미’를 추구하는 것이 미래의 교육 방법이다.
현장에서는 재미있게 놀이를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선보였다. 특히 코딩 교육에 ‘놀이’ 요소를 추가해 재미와 학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한 제품들이 많았다.
스마트 블록 개발 기업 ㈜럭스로보는 자사의 대표 상품인 모듈 블록 ‘모디’를 전면에 내세웠다. ‘모디(MODI)’는 13종의 모듈로 구성된 스마트 블록으로 자유롭게 분리하고 추가할 수 있어 누구나 쉽게 장난감처럼 블록을 연결하면서 코딩을 익힐 수 있다.
교육완구 업체 ㈜토이트론은 모션센서, 카드, 스크래치, 코딩앱 등 다섯 가지 방식으로 코딩도 하고 게임도 즐길 수 있는 최신 코딩 로봇 ‘코딩카 제로원’을 선보였다. 제로원은 PC 사용이 필요 없는 언플러그드 모드와 블루투스 모드가 동시에 탑재되어 각자 자신의 코딩 레벨에 맞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와 AI를 이해하기 위해 학습과 놀이를 결합한 교육 방식이 이번 교육박람회의 한 가지 트렌드 현상이라면 다른 축에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놀이’와 ‘상상력’을 일깨워주는 인간 본성에 대한 교육 방식이 관람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B홀에 마련된 ‘재미 퍼커션 아트’ 부스에는 팀발레스, 콩가, 봉고, 젬베, 카혼 등 낯선 악기를 신나게 두들기는 아이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재즈, 라틴 음악, 연주 및 음악극을 공연하는 전문 예술 단체 ‘재미 퍼커션 아트’는 아이들과 함께 역동적이고 리드미컬한 라틴 악기로 연주하고 서로 아이디어를 내면서 리듬 창작 활동을 하도록 도왔다. 이들은 기계는 할 수 없는 인간 본연의 잠재되어 있는 아이들의 예술적 감수성을 일깨웠다.
올해 박람회 주빈국인 핀란드가 보여준 교육 시스템에도 인간 본연의 감성과 상상력, 유희를 일깨워주는 교육 방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핀란드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바람과 눈 속에서 실컷 놀고 들어오는 것이 좋은 공부라고 생각한다. 국토의 70%가 숲인 핀란드는 숲에서 많은 교육이 이루어진다. 아이들은 숲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자연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관찰하고 하늘을 보며 지구 밖 세상을 꿈꾼다.
이론과 조기 교육으로 무장한 아이들보다 숲에서 충전하고 상상력을 키운 아이들이 앞으로 기계와 함께 살아갈 세상에서 더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 믿는 것이 핀란드의 미래 교육 철학이었다.
(215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