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인기 팟캐스트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Joe Rogan Experience)’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했다.
마야의 도시국가 팔렌케 마야 제국의 12대 왕이었던 키니치 하나브의 방패(K’inich Janaab’ Pakal, 사진 참조)에 대한 이야기였다.
그는 기원후 683년 사망할 당시 그의 석관에 특이한 문양이 조각돼 있는 덮개를 남겨놓았다. 그리고 이 덮개 안에는 하늘을 날고 있는 사람의 모습과 함께 무엇인지 설명하기 힘든 형상들이 뒤섞여 있었다.
마야의 도시국가 팔렌케 마야 제국의 12대 왕이었던 키니치 하나브의 방패. 사후 그의 석관 덮개에새겨진 문양으로 외계인이 마야를 방문했다는 주장의 근거가 되고 있지만 고고학계에서 크게 반발하고 있다. ⓒancient.eu
“외계인의 마야문명 기원설은 상상”
10일 ‘사이언스’ 지에 따르면 이 문양을 놓고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람은 스위스의 고고학자였던 에리히 폰 데니켄(Erich Anton Paul von Däniken)이다.
그는 “이 석관 덮개의 문양이 무엇인가를 타고 하늘을 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며, “UFO 착륙 장면을 묘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곧 반발에 부딪혔다.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은 이 문양을 가로로 보았을 때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세로로 놓았을 때는 전혀 다른 해석이 나온다며 데니켄의 주장을 일축했다.
그러나 대중성을 노리는 일부 책자들과 TV 쇼는 그렇지 않았다. 이 방패에 대해 거론하면서 마야 문명과 우주선을 연결해 새로운 이야기들을 양산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외계인 착륙설이다.
지난 2월 많은 청취자를 확보하고 있는 인기 팟캐스트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도 키니치 하나브의 방패를 거론하기 시작했다.
방송을 진행한 조 로건(Joe Rogan)은 외계인들이 아메리카에 착륙해 마야문명을 이루었다는 주장에 대해 극히 회의적이었다. 궁금증을 풀기 위해 그가 처음 한 일은 주류 고고학자들의 조언을 듣는 일이었다.
첫 번째 조언자는 미국 래드포드 대학의 고고학자 데이비드 앤더슨(David Anderson) 교수였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석판의 문양이 지하세계로 내려가고 있는 키니치 하나브 왕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아래쪽 프로펠러가 불을 뿜어내는 것 같은 문양은 지하세계의 모습을 의인화한 것이고, 우주선과 같은 모습은 마야인 들이 자주 표현하고 있는 세계수(world tree), 즉 세계 중심에 서 있는 나무를 표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래드포드 교수의 글이 소개되자 곧 ‘좋아요(likes)’를 누른 사람의 수가 1000여 명에 달했다. 그의 글을 지지하는 발언도 잇따랐다.
주류 고고학계 ‘의사고고학’ 추방 선포
앤더슨 교수를 비롯 그를 지지하는 고고학자들은 마야 문명을 UFO와 연결하려는 일부 고고학자들의 시도를 ‘의사고고학(pseudoarchaeology)’이라 칭했다. 외형상 고고학으로 보이지만 실상은 고고학을 흉내 내는 가짜 고고학이란 의미다.
이들은 UFO와 관련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과거 인류 문명 유산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고고학적 연구 결과와 관계없는 신화도 아닌 이야기들이 마치 진짜인 것처럼 세계를 떠돌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중에는 외계인이 이집트인들과 마야인들에게 피라미드 만드는 법을 가르쳐주었으며, 전설상의 도시 아틀란티스를 탈출한 피난민들이 세계 곳곳에 뛰어난 문명을 전수해주었다는 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포함돼 있다.
앤더슨 교수는 10~14일까지 열리는 미 고고학회(SAA) 심포지엄에 참석했다. 앤더슨 교수는 그 자리에서 지난 수십년 간 떠돌고 있는 기이한 이야기들에 대해 설명하고, 고고학계가 어떻게 대처해나가야 할지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주류 고고학계가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은 최근 ‘의사고고학’이 대중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면서 고고학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8년 채프먼대학이 실시한 조사(Survey of American Fears) 결과에 따르면 미국인 중 41%가 오래 전에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했다는 사실을, 57%는 아틀란티스와 같은 상상 속의 고대 문명이 존재했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지난 2016년 같은 질문에 대해 각각 27%, 40%의 응답률이 있었던 것과 비교해 각각 14%, 17% 늘어난 것이다.
앤더슨 교수는 이런 어처구니없는 결과가 나타나는 데 대해 시청률에만 열중하는 대중매체에 그 책임을 돌리고 있다. 그는 “특히 ‘고대 외계인(Ancient Aliens)’이라는 케이블 TV 쇼는 13년째 인기를 이어가면서 비고고학적인 낭설을 퍼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백인 우월론자들 역시 의사고고학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들은 유럽인이 아메리카를 점령한 것이 아니라 오래전부터 살고 있었던 원주민이었다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캐나다 동부에 있는 한 섬이 스칸디나비아 바이킹이 지도를 통해 거론했던 빈랜드(Vinland)였으며, 유럽 후기 구석기 시대 중엽의 ‘솔류트레 문화(Solutrean)’를 이 지역에서 창출했다는 이야기를 퍼뜨리고 있다.
텍사스 대학의 고고학자 스테파니 멀더(Stephennie Mulder) 교수는 “의사고고학 확산이 고고학의 미래가 달려 있는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멀더 교수는 이번 SAA 심포지엄에서 ‘Aliens, Atlantis, and Aryanism: ‘Fake News’ in Archaeology and Heritage‘란 주제로 고고학과 관련된 가짜 뉴스에 대해 그동안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1064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광도(밝기)가 급격히 떨어졌던 오리온자리의 가장 밝은 α별인 적색초거성 '베텔게우스'가 별의 표면인 광구(光球)의 일부가 대형 폭발로 날아가는 '표면질량분출'(SME)을 겪고 서서히 회복 중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베텔게우스의 SME는 태양의 바깥 대기에서 플라스마를 대량 방출하는 '코로나질량분출'(CME)의 약 4천억 배에 달하는 관측 사상 전례가 없는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체료제인 '로미타피드'가 항암 효과까지 있음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해 이런 성과를 냈다.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증을 찾는 약물 재창출은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지만, 모든 약물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움이 있다.
화성 지질탐사선 '인사이트'(InSight)호가 착륙한 적도 인근 지하에 기대와 달리 물의 흔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 지구물리학자 바샨 라이트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사이트호가 '화진'(Marsquake)을 통해 수집한 지진파 자료를 분석해 얻은 결과를 '지구물리학 연구 회보'(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했다.
국내 질병 사망 1위는 암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심혈관 질환이 압도적인 1위다. 국내에서도 평균 수명이 늘고 생활 습관이 서구화하면서 심혈관 질환 환자가 상당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심혈관 질환은 대략 심근경색, 협심증, 동맥경화, 고혈압, 부정맥, 선천성 심장병 등 6가지다. 과학자들은 심혈관 질환을 일종의 노화 질환으로 본다. 보통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위험도 커지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2∼3개월 후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 16일 지스트에 따르면 지스트 윤진호 교수, 전남대 정지훈 교수, 서울대 김상우 교수,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진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기후 예측 모델에서 생산되는 기후전망 정보 통계를 활용해 장기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채식 다이어트가 고관절 골절 위험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관절 골절은 허벅지 뼈(대퇴골)의 위쪽 끝(골두)이나 목 부분(경부)에서 발생하는 골절로 주로 노인들의 낙상이 원인으로 회복이 매우 어렵다. 영국 리즈(Leeds) 대학 식품과학·영양학 대학의 제임스 웹스터 영양역학 교수 연구팀이 35~69세 여성 2만6천318명을 대상으로 거의 20년에 걸쳐 진행된 '여성 코호트 연구'(Women's Cohort Study)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와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11일 보도했다.
쓰레기 매립지에서 음식물 쓰레기 등이 썩으면서 내뿜는 온실가스인 메탄이 지금까지 매립지 규모와 부패율 등을 토대로 추정해온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우주연구소 대기과학자 요아네스 마사커스가 이끄는 연구팀은 인도 뭄바이를 비롯한 4개 도시의 첨단위성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8∼2019년 쓰레기 매립지의 메탄 배출량이 이전 추정치의 1.4∼2.6배에 달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