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마비가 일어난 뒤 손상된 심장 근육을 복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새 유전자가 발견됐다.
호주 시드니 빅터 창 심장연구소(Victor Chang Cardiac Research Institute) 과학자들은 제브라피시를 이용한 실험 연구에서, 유전자 하나가 심장마비를 일으킨 심장 근육 세포의 분열과 증식을 활성화해 완전히 재생시킴으로써 손상된 심장근육을 치유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9일 자에 발표됐다.
학계에는 그동안 제브라피시가 자신의 심장을 스스로 치유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졌으나, 이같은 놀라운 일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었다.
인간 유전자의 70% 정도를 공유해 연구 대상으로 많이 활용되는 제브라피시(Danio rerio). 제브라피시는 유생 단계에서 심장 및 측선 유모 세포(lateral line hair cells)를 재생하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WikiCommons / Azul
연구팀은 치밀한 탐색 연구 끝에 이전에 적혈구에서만 확인된 Klf1이라는 중요한 유전자를 심장 관련 분야에서 찾아내는 성과를 올렸다. 아울러 이 유전자가 손상된 심장을 치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심장 근육 복원하는 ‘비밀 스위치’
연구를 이끈 가즈 기쿠치(Kazu Kikuchi) 박사는 이 연구 결과에 매우 놀랐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연구에서 심장이 손상된 뒤 심장 근육 세포가 분열, 증식할 수 있게 하는 비밀 스위치를 확인했다”라고 밝히고, “이 스위치는 필요할 때 켜지고 심장이 완전히 치유되면 꺼진다”고 설명했다.
인간은 손상되고 흉터가 생긴 심장 근육을 체내에서 스스로 고칠 수 없다. 따라서 사람에게 이 같은 치료가 적용된다면 심장 질환 치료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쿠치 박사는 “인간 유전자의 70% 이상을 공유하는 제브라피시는 실제로 많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신약 개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좌우의 관상동맥(LCA 및 RCA로 표시)을 표시한 그림. 이 그림 1번에서는 왼쪽 관상동맥(LCA) 가지가 막혀, 흔히 심장마비라고 부르는 심근 경색증(2번)이 발생했다. © WikiCommons / J. Heuser JHeuser
이 유전자는 일부 근육이 손상된 심장에서 나머지 손상되지 않은 심장 근육 세포들을 미성숙한 상태로 만들어 대사 배선(metabolic wiring)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방식을 통해 세포가 분열돼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는 것이다.
연구팀이 제브라피시에서 이 유전자를 제거하자 제브라피시는 심장마비와 같은 심장 손상을 입은 뒤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유전자가 중요한 자가 치유 도구라는 것을 가리킨다.
Klf1 유전자, 심장 손상 이후에만 켜져
미국 하버드의대 등에 재직하다 호주로 돌아와 이 연구소 분자 심장학 및 생물ㆍ물리 분과장을 담당하고 있는 밥 그레이엄(Bob Graham) 교수는, 호주 가반 의학연구소(Garvan Institute of Medical Research)와 공동으로 수행한 이 세계 최초의 발견을 활용해 심장마비 및 기타 심장 질환 치료를 혁신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기쿠치 박사가 빅터 창 심장연구소 실험동물실의 물고기들을 바라보고 있다. © Victor Chang Cardiac Research Institute
그레이엄 교수는 “심장마비 같은 사건이 발생한 뒤 행동에 돌입해 세포가 손상된 심장 근육을 치유하도록 적극 지원을 하는 매우 중요한 단백질을 우리 연구팀이 찾아낼 수 있었다”라며, “이는 놀라운 발견이었다”고 술회했다.
그는 “이 유전자는 인간의 심장에서 스위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우리는 그 기능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인간의 심장 재생 능력을 활성화하고 신체 곳곳에 혈액을 공급하는 능력을 향상하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기대를 표했다.
연구팀이 발견한 중요한 점은, Klf1 유전자가 심장의 초기 발달에서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고, 이 유전자의 재생 특성은 심장 손상 이후에만 켜진다는 사실이다.
그레이엄 교수는 “이는 심장 손상 뒤에 일어나는 재생이 초기 심장 발달에서 일어나는 일과 동일하지 않은 완전히 다른 경로를 포함한다는 명백한 증거이며, 이 문제는 지난 여러 해 동안 논쟁이 돼 왔었다”고 밝혔다.
(568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