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뉴질랜드 출신의 시각 예술가 렌 라이(Len Lye, 1901~1980)는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1888~1976), 바이킹 에겔링(Viking Eggeling, 1880~1925), 오스카 피싱거(Oskar Fischinger, 1900~1967) 등과 함께 1920년대부터 전위영화(Avant-garde Cinema)와 추상영화(Abstract Film) 분야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투살라바 Ⓒ Len Lye
렌 라이는 노동자 계층의 가정에서 태어나 어렵게 예술을 공부한 후, 주로 영국과 미국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청년 시절 웰링턴 국립도서관을 드나들며 미래파(futurism), 보티시즘(vorticism) 등 여러 현대예술 운동에 대한 서적을 탐독하였고, 캔터베리 뮤지엄의 소수민족 예술을 진지하게 연구하였는데, 이는 이후 그의 예술 작품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아방가르드 예술가 렌 라이의 첫 번째 애니메이션 ‘투살라바(Tusalava, 1929)’는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Maori)족의 토착미술과 전통문양에서 영감을 받아, 4년 동안 그린 4000여 장의 드로잉으로 구성된 실험 영상 작품으로, 기존의 애니메이션과는 다르게 독창적인 비구상적 운동 이미지와 상징적인 토템(totem) 이미지들이 등장한다. ‘투살라바’는 ‘만물은 원형으로 돌아간다’는 뜻의 사모아(Samoa)어이다.
컬러 박스 Ⓒ Len Lye
렌 라이가 영국으로 이주한 후, 1935년 제작한 ‘컬러 박스(A Colour Box)’는 필름 위에 직접 그림을 그려서 제작한 그의 첫 번째 다이렉트 애니메이션 작품으로, 사운드 트랙은 레드 니콜스(Red Nichols)의 ‘호놀룰루 블루스(Honolulu Blues)’와 레쿠오나 쿠바 보이즈(Lecuona Cuban Boys)의 룸바 음악이 사용되어, 화려하고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색상과 사운드의 절묘한 결합을 보여주었다.
색의 비행 Ⓒ Len Lye
렌 라이는 연이어 1938년 또 다른 다이렉트 애니메이션 ‘색의 비행(Colour Flight)’을 만들었다. 임페리얼 어에웨이즈(Imperial Airways, 영국항공의 전신)의 후원을 받아 제작한 이 작품에 대하여 당시 시사 주간지 타임(Time)지는 수작업 1인 영화 제작자인 렌 라이에 대하여 ‘월트 디즈니에 대한 영국의 대안’이라고 하였다.
이 밖에도 그의 주요 실험 애니메이션 작품으로는 ‘Rhythm(1957)’, ‘Free Radicals(1958)’, ‘Particles in Space(1980)’ 등이 있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렌 라이는 키네틱 아트 분야에서도 ‘Grass(1961)’, ‘Fire Bush(1961)’, ‘Bell Wand(1965)’, ‘Witch Dance(1965)’, ‘Moon Bead(1968)’, ‘Fountain III(1976)’, ‘Flip and Two Twisters(1977)’ 등과 같은 작품을 제작하면서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다.
렌 라이는 키네틱 조각을 만들 때, 스스로 ‘낙서(doodling)’라고 부는 행위에서부터 출발했는데, 낙서는 재료를 만지고 흔들거나 휘어보면서, 재료에서부터 파생되는 운동을 몸으로 느껴보는 행위를 의미한다.
Wind Wand / Ⓒ Len Lye
특히 ‘바람 지팡이(Wind Wand)’ 연작은 렌 라이의 대표적인 키네틱 조각 작품으로, 그가 사망한 후 1999년 고벳 브루스터 아트 갤러리(Govett Brewster Art Gallery)의 지원으로 뉴질랜드 뉴플리머스(New Plymouth) 해안 도로에 높이 45미터의 초대형 ‘바람 지팡이’ 작품이 세워졌다.
렌 라이는 드로잉, 회화, 사진, 영화, 키네틱 조각, 시와 산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미지와 오브제의 실험적 운동을 탐구하였고, 자신의 작업을 ‘기계화 예술’ 혹은 ‘움직임의 형상(figure of motion)’이라고 하였다.
한편 렌 라이는 세계 3대 인명사전 가운데 하나인 ‘마르퀴스 후스 후 인 아메리카(Marquis Who’s Who in America)’에 미술가가라는 표현 대신에 ‘모션 컴포저(Motion Composer)’라고 등재되어 있다.
(72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