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푸는 과학 궁금증] 전자레인지의 발명 스토리와 작동 원리
요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외식보다는 집 안에서 배달된 가정 간편식을 데워 먹는 사람들이 과거보다 많이 늘었다. 그런데 배달된 가정 간편식을 데울 때 전자레인지만큼 편리한 도구는 없다.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담은 용기를 가열하지 않고 열도 없이 음식만 데우는 특별한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전자레인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1945년 레이더를 주로 생산하는 미국 군수기업 레이시온의 사원 퍼시 스펜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레이더를 연구하던 기술자였다.
그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인 마그네트론을 개발하고 있었는데, 작동하는 마그네트론 옆에 있다가 주머니에 있던 초콜릿이 녹은 것을 발견하였다.
스펜서는 마그네트론이 발생시킨 마이크로파가 범인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몇 가지 음식 재료들을 이용해 실험하였다.
먼저 작동하는 마그네트론 바로 앞에 옥수수 알갱이를 놓았는데, 조금 시간이 지나자 옥수수 알갱이가 터지면서 팝콘이 되었다. 다음엔 계란을 놓았는데 조금 시간이 지나자 계란이 터져 버렸다.
주머니 속에서 녹은 초콜릿에서 전자레인지의 발명이 시작되었다. ⓒ 윤상석
퍼시 스펜서는 연구를 계속하여 마그네트론이 발생시킨 마이크로파가 음식 속 수분의 온도를 올린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을 이용하여 음식을 데우는 장치를 고안해 내고 특허를 출원하였다.
퍼시 스펜서가 몸담고 있던 회사인 레이시온사는 퍼시 스펜서의 특허를 사들이고 1947년에 처음으로 전자레인지를 만들어 시장에 내놓았다. 이렇게 해서 전자레인지가 세상에 탄생하였다.
전자레인지는 어떤 원리로 음식을 데울까?
마이크로파는 1mm에서 1m까지의 파장을 지닌 전자기파로 파장이 라디오파보다 짧고 적외선보다 길다.
전자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약 12cm이고 1초 동안 약 24억 5000만 회 진동한다. 이런 마이크로파를 만난 식품 속 물 분자의 양전하를 띤 산소 원자와 음전하를 띤 수소 원자가 전기장 방향에 나란히 움직인다.
그런데 마이크로파는 진동하면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므로 진동에 따라 각각 물 분자가 반대 방향의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웃한 물 분자들과 서로 밀고 당기며 충돌하는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이런 물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하게 되고, 결국 식품의 온도가 올라간다.
마이크로파는 진동하면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이 변하므로 진동에 따라 각각 물 분자가 반대 방향의 힘을 받아 회전하게 된다. ⓒ 윤상석
반면에 유리나 도자기, 플라스틱 등 음식을 담은 용기는 마이크로파가 대부분 투과하기 때문에 가열되지 않는다.
하지만 마이크로파는 금속에 반사된다. 그래서 전자레인지 내부는 마이크로파를 가두기 위해 금속으로 덮여 있다. 음식을 금속 용기에 담거나 은박지로 감싸도 마이크로파가 반사되어 음식이 가열되지 않는다.
그런데 마이크로파가 음식에 흡수되지 않고 계속 금속에 반사되어 전자레인지 내부에 계속 쌓이면 전자레인지에 큰 부담을 주어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은박지처럼 끝이 있는 금속에 마이크로파가 닿으면 전자가 끝에서 나와 불꽃이 튈 수 있다.
전자레인지로 요리할 때 주의할 점
마이크로파로 가열하면 식품의 수분이 증발한다. 따라서 소시지나 계란 등 껍질이 있는 식품을 전자레인지로 데우면 내부에 고인 수증기로 인해 갑자기 껍질이 폭발하듯 파열할 수 있다. 이런 식품을 조리할 때는 미리 껍질에 구멍을 내어야 한다.
또한, 수분이 증발하면서 식품이 건조해지는데, 이 때문에 고구마와 빵처럼 물기가 적은 음식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뻣뻣하게 말라버려서 맛이 없다. 식품이 수분을 남긴 채 데우고 싶을 때는 식품에 물을 약간 뿌리거나 물을 적신 페이퍼 타월로 덮고 용기를 뚜껑이나 랩 등으로 씌우는 게 좋다.
반면에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눅눅해진 팝콘이나 땅콩, 김 등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면 갓 구워낸 것처럼 바삭바삭하게 된다.
한편,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데울 때 골고루 가열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전자레인지 안에서 마이크로파가 강한 곳과 약한 곳이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음식이 골고루 마이크로파를 받도록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회전판 위에 올려놓고 회전시킨다.
그리고 식품 성분 차이 때문에 골고루 가열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염분이 많은 식품은 소금 이온 때문에 마이크로파를 강하게 흡수한다. 그래서 여러 가지 음식을 같이 전자레인지로 데울 때, 다른 식품들보다 염분이 많은 음식이 유난히 뜨거워질 수 있다.
또한, 조금 녹은 냉동식품은 표면의 물 분자만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겉만 가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얼음의 물 분자들이 서로를 잡고 있어 마이크로파가 닿아도 회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녹아 있는 부분만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집중적으로 가열된 것이다.
전자레인지의 구조 ⓒ 윤상석
(1610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