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제산업국 업무계획 발표…2030년까지 5대 먹거리 산업 육성
세종과 대전이 공동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세종시는 12일 이런 내용을 담은 올해 경제산업국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하나의 광역 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세종·대전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두 도시가 동반 성장을 통해 충청권 거점도시로 나아가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세종 4·5생활권 혹은 연서면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등과 대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인 신동·둔곡지구를 하나로 묶어 첨단 외국인 투자기업 등 유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미래 신성장 기술인 자율주행차 서비스도 본격적으로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다.
시내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도로와 정부세종청사 인근 일반 도로에서 시민을 대상으로 체험형 자율차 시범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율차 운행을 관제하고 자율차 데이터와 도로 인프라 데이터를 제공할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를 집현리에 설립한다.
로봇이 음식을 배달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보안 순찰까지 맡는 자율주행 실외로봇 서비스가 중앙공원에 도입된다.
네이버가 집현리에 추진하는 ‘하이퍼 스케일'(최소 10만대 이상의 서버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 데이터센터는 상반기 중 착공할 계획이다.
지역화폐 여민전은 지난해보다 33% 증가한 2400억원을 발행한다.
중장년층의 생애 경력 설계와 취·창업을 돕기 위한 행복 신중년 지원센터를 내년 개소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조례를 제정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 인구 80만 경제 자족도시를 목표로 스마트그린 융합부품·소재산업, 미래차 모빌리티, 바이오 헬스, 실감형 콘텐츠 산업, 스마트시티 산업 등 5대 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키울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바이오 헬스 분야에서 대전 대덕, 충북 청주 오송·오창과 연계한 ‘DOS’ 바이오밸리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서면 스마트 국가산단에는 친환경 스마트그린 융합부품·소재산업을 육성한다.
박형민 경제산업국장은 “스마트 국가산단을 정부의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와 연계해 미래형 스마트그린 산단 모델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5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