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창조 현장(177)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CES 2015’가 현지시간으로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나흘 일정으로 막을 올린다. CES조직위원회에 따르면 홈오토메이션과 3D 프린팅, 자동차, 전자 등 20여개 분야에서 3500여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관람객 수는 140개국 15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국내 대기업과 핸디소프트 등 40여개 중소기업이 참가하고 있다. PC월드 지는 이번 전시회가 ‘스마트 홈(Smart Home)’ 기술 경연장이 되고 있다고 5일 보도했다.
스마트홈이란 집안에 있는 모든 장치들을 연결‧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TV‧에어컨‧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비롯, 수도‧전기‧냉난방 등 에너지관련 기기, 도어록‧감시카메라 등 보안장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셋톱박스 하나로 스마트홈 모두 통제
수년 전까지만 해도 ‘스마트 홈’ 설치를 위해 돈이 많이 들었다. 보안에 관심이 있는 일부 부유층의 주된 관심사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상황이 크게 바뀌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설치 비용이 크게 다운되고 있는 중이다.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CES 2015’가 열린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마트홈, 고화질 TV, 웨어러블 기기 등이 다수 선보일 예정이다. ⓒ http://www.ce.org/Blog
에코스타(EchoStar)는 ’덥드 세이지(Dubbed Sage)‘란 셋톱박스를 선보였다. 이 시스템을 설치하면 조명, 잠금장치, 보안카메라, 온도계 등 다양한 기능의 센서 들을 일괄 통제할 수 있다. 구매자들은 이 시스템을 DIY 방식으로 자체 조립할 수 있다.
‘벨킨 웨모(Belkin WeMo) 홈 오토메이션 라인’, ‘넷기어(Netgear)’도 주목받고 있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이다. 이들 시스템들은 스마트폰 앱과 연결돼 있다. 스마트폰으로 가정에 있는 모든 기기들을 통제하고 관리할 수 있다.
IT미디어인 씨넷(CNET)은 이번 CES를 통해 다수의 콘셉트가 선보인다고 밝혔다. BMW에서는 스마트 레이저 헤드라이트와 OLED 기반의 꼬리등이 달린 차를 전시할 계획. 레이저는 LED 등 기존 헤드라이트와 비교해 매우 위험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기존 LED에 비해 효율성이 매우 높고 사람 시신경에도 해를 주지 않는다는 BMW측 설명이다. 주목할 점은 외부 센서를 통해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도로 상태에 적합한 빛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심지에서는 헤드라이트가 적은 빛을 내도록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이 적둉됐다. 후미등에 적용된 OLED 광원 역시 원하는 대로 색을 조절할 수 있다. 레이저 헤드라이트와 마찬가지로 주행 환경에 따라 빛을 낼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CES의 꽃은 TV다. 1998년 브라운관 방식의 HD(고화질) TV에 이어 2002년 PDP(플라즈마) TV가 CES에서 처음 등장했다. 2005년에는 인터넷(IP) TV가 등장해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TV 개발은 한국 업체가 주도하고 있는 중이다.
웨어러블 기기 상용화 앞두고 긴장
2009년 삼성전자는 두께가 기존 TV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LED(발광다이오드) TV를 선보였다. 2013년에는 세계 최초로 ‘커브드 UHD TV’를 내놨다. LG전자도 지난해 화면을 휘었다가 펼 수 있는 플렉시블(가변형) TV를 선보였다.
올해 들어서는 초고해상도 TV인 4K(UHD) TV에 이어 화질을 3배 가까이 향상시킨 8K TV가 선보인다. IT 매체인 디지타임즈(DigiTimes)는 LG전자가 55인치와 65인치 퀀텀닷TV를 포함해 55인치 8K TV를 공개할 예정으로 있으며, 소니도 8K TV를 전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지난해 CES에 이어 이번 전시회에서도 웨어러블 분야가 큰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관계자들은 ‘CES 2015’에서 다양한 웨어러블 제품들이 어떤 모습으로 시장을 개척할지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특히 올해 선보일 예정인 ‘애플워치’가 소비자들을 어떻게 상대할 것인지 궁금해 하고 있다. 그동안 웨어러블 기기는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해왔다. 기술은 있는데 소비자들 마음에 다가갈 감성이 부족했었다.
PC월드는 이번 CES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가 소비자 시장에서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메디컬, 통신 등 기존 범위를 넘어선 새로운 유형의 웨어러블 기기들도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센소리아 피트니스 양말(Sensoria Fitness Socks)’ 역시 주목받는 제품 중의 하나다. 세계 최초의 스마트 양말인 이 제품은 착용자가 움직이는 속도, 소비 칼로리, 거리 등의 운동 기준을 측정할 수 있다. 나이키의 ‘퓨얼 밴드(Fuel Band)’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 다른 웨어러블 기기인 ‘씽크(Thync)’는 사용자의 감정을 조절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선보인다. 신경신호(neurosignaling)를 감지해 에너지가 넘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웨어리블이다.
지난해 열린 ‘CES 2014’에는 140개국 이상에서 온 3673개 기업이 참가했었다. CEO, CIO, CTO, CFO 등의 임원과 회장이 4만여 명, 이밖에 미디어 종사자 6600여명 등 16만 여명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도 많은 인파가 몰릴 전망이다.
(766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인공 세포 안에 유전질환 치료 물질을 담은 채 인체에 침투한 뒤 치료 물질을 인체 세포에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용 인공 바이러스 벡터(AVV)가 개발됐다. 미국 워싱턴DC 미국가톨릭대 베니갈라 라오 교수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표면을 지질(lipid)로 감싼 박테리오파지 T4를 이용해 만든 인공 바이러스 벡터(T4-AAV)로 유전자 치료 물질을 인간 세포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바이러스는 자손을 빠르게 복제하고 조립할 수 있는 효율적인 생물학적 기계라며 치료 물질을 전달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인공 바이러스 벡터를 만들어 인체에 침투시키면 질병 치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비만은 다양한 정신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내과 전문의 미하엘 로이트너 교수 연구팀이 전국 입원 치료 환자의 데이터세트(1997~2014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31일 보도했다. 전체적으로 비만 진단 후에는 모든 연령대에서 우울증, 니코틴 중독, 정신병증(psychosis), 불안장애, 식이장애(eating disorder),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등 광범위한 정신장애 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로 정상 일대 날씨 변동이 극심해지면서 에베레스트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로도 기록될 전망이라고 3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보도했다. 히말라야 등정 관련 기록을 정리하는 '히말라야 데이터베이스'와 네팔 당국에 따르면 올해 봄철 등반 시즌에 에베레스트 원정에 나선 산악인 가운데 17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날씨 변덕이 심해진 것이 사망자가 늘어난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아동·청소년 대다수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고 학교로 돌아가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일게이트의 공익·교육사업 법인 퓨처랩은 '월드 라지스트 레슨'(WLL)과 함께한 '도래한 미래, 우리가 바라는 교육' 캠페인 일환으로 시행한 설문 결과를 31일 공개했다. 따르면 한국 학생의 65%(세계 학생 77%)는 코로나19로 인한 휴교 이후 '학교로 돌아가는 것이 행복한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초고성능 양자컴퓨터 시대에 쓰일 수 있는 '3D 광양자 메모리' 원천 기술을 국내·외 공동연구진이 개발했다. 1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UNIST 화학과 서영덕 교수팀과 미국 컬럼비아대, 미국 버클리 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 한국기초과학연구원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무제한 지속 가능한 '나노결정 양방향 광스위치' 현상과 원리를 발견해 3D 광양자 메모리 분야 세계 최고 정밀도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논문은 이날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