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코로나19로 인해 설 연휴 기간 가정에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온라인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에 따라 비대면 과학문화 콘텐츠를 통합 제공하는 집콕 과학문화생활 특별 페이지 ‘싸캉스’ 를 과학문화 대표 누리집 사이언스올에서 10일부터 14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집에서 설연휴를 보내야하는 국민들에게 다양한 과학학습·문화 콘텐츠를 통합 제공함으로써 가정에서 학습을 지원하고 즐기면서 다가갈 수 있는 과학문화콘텐츠를 제공하여 국민의 과학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함이다.
이번 사이언스올 설특집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과학학습·문화 콘텐츠는 설을 맞아 특별히 처음 선보이는 신규 콘텐츠로 유아용 애니메이션부터 과학공연, 강연, 과학 크리에이터 영상까지 다양하다.
설 특집 과학학습·문화 콘텐츠 종합 제공페이지는 크게 3개 파트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호기심으로 다가가는 과학으로 유아부터 청소년까지 연령층을 대상으로 과학 학습 애니메이션, 과학 체험 등 다양한 과학학습 콘텐츠 30여종을 제공한다.
두 번째는 문화로 배우는 과학으로 과학 뮤지컬 ‘테세우스의 배’, 과학 연극 ‘비행선으로 떠나는 과학여행’ 등 온라인 공연과 ‘방구석 생명공학 캠프’,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 Virtual 투어’ 등 비대면으로 즐기는 다양한 종류의 과학문화 콘텐츠를 한 곳에 모아 제공한다.
세 번째는 물음표로 해결하는 과학으로 평소 궁금했던 내용, 신기한 과학현상 등을 인기 과학 크리에이터가 알기 쉽게 이야기 해주는 영상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지난 한 해 사람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은 인기 과학문화프로그램(과학 교양, 예능, 웹드라마 등) 정주행 프로젝트도 실시한다.
사이언스 TV에서 300만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대한민국 소부작 강국으로 가다(4부작)’ 시리즈부터 레이디 제인과 함께한 과학 예능 ‘미드나잇 사이캠프’, 싱어송라이터 안예은과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콜라보 음악예능 ‘듣고보니 과학’까지 다채로운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이번 설을 맞아 전국 5대 국립 과학관에서 온라인으로 운영하는 설맞이 특별 전시, 행사 프로그램을 소개할 예정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관람이 어려웠던 국립과학관(중앙, 과천, 광주, 대구, 부산과학관)의 대표 기획전시(7개 특별전)를 온라인으로 관람할 수 있는 VR 전시관부터 국립 대구과학관의 방구석 민속놀이, 국립 부산과학관의 설맞이 복주머니를 찾아라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안내할 계획이다.
한국과학창의재단 조율래 이사장은 “설날, 코로나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에 머물러야하는 국민들이 과학문화 콘텐츠를 즐기며 조금이나마 아쉬운 마음을 달래길 바란다”며 “사이언스올에서 제공하는 과학학습·문화 콘텐츠를 통해 국민들이 과학에 쉽게 다가가고, 과학을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한다” 라고 밝혔다.
한편, 온라인으로 즐기는 설명절 집콕 과학문화생활 특별페이지 ‘싸캉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과학문화 누리집 사이언스올(www.scienceall.com)에서 확인 할 수 있다.
(8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 인공태양 케이스타(KSTAR)를 활용한 실험에서 핵융합 난제인 '플라스마 자기섬' 발생을 해결할 실마리가 발견됐다.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유배지 흑산도에서 저술한 어류학서 '자산어보'와 허준의 의서 '동의보감', 전남 신안 압해도에서 발견된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등 7건이 국가과학유산으로 등록됐다.
광주, 전남, 전북이 신재생 에너지를 중심으로 초광역권 에너지 경제 공동체를 구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유망 기업의 성장을 돕는 '2021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ICT GROWTH)'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정상적인 타우(tau) 단백질은 뇌에 전혀 해롭지 않다.
한국탄소융합기술원이 탄소 산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국가기관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으로 3월 새롭게 출범한다.
정부가 내년까지 백신접종, 진료 기록을 비롯한 건강 관련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