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코맥 매카시(Cormac McCarthy)의 소설 ‘로드(문학동네 펴냄)’는 폐허로 변해버린 세계에서 생존을 위해 길을 떠난 한 남자와 소년의 이야기다.
‘로드(The Road)’는 소설의 제목 그대로 모든 일이 ‘길(road)’ 위에서 시작해서 ‘길(road)’에서 끝이 난다. 이들은 남쪽으로 이동한다. 남쪽은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공간이다. 하지만 그들이 남쪽으로 가는 길은 멀고 험난하기만 하다.
이들은 과연 무사히 남쪽에 갈 수 있을까. 소설 ‘로드’는 인간의 잔인함과 사랑을 동시에 보여준다. 생존을 위해 살육을 하는 인간과 선의를 가지고 서로 보듬어 안아주는 인간의 상반된 모습을 통해 우리가 가야할 ‘길’을 묻는다.
불을 운반하는 자, 남쪽으로 이동하다
남자가 깜깜한 숲에서 잠이 깼다. 그는 손을 뻗어 옆에 소년이 잘 자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남자와 소년은 아버지와 아들이다. 이 두 사람은 매일 길 위에서 자고 아침을 맞는다.
이미 세상은 낮에도 태양이 보이지 않는 더러운 잿빛으로 변한 지 오래다. 지구에는 대재앙이 일어났다. 세상은 온통 재로 덮여 길을 분간할 수 없었다. 색이 있는 모든 것은 죽어 비틀어 나동그라졌다.
황폐하고, 고요하고, 신조차 없는 땅. 계절도 날짜도 알 수 없다. 남자는 날짜를 확인하지 않은 지 몇 년이 지났다. 남자는 무엇이든 움직이는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려 애썼다. 무엇이든 움직이는 것, 무엇이든 희미하게나마 색깔이 있는 것을 찾았다.
“우리는 불을 운반하는 사람들이야.”
남자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도 유머감각을 잃지 않았다. 두려움을 가질 아들을 위해 남자는 자신들이 ‘불을 운반하는 소중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보다 안전한 곳을 찾기 위해 남쪽으로 걸어갔다.
만약 이들처럼 모든 것을 잃고 길에서 살아야 한다면 생존을 위해 무엇을 챙겨 떠나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물이다. 최소한의 음식도 필요하다. 약간의 의약품도 생명을 유지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들에게는 ‘방수포’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됐다. 길 위에서 잠을 자는 그들에게 빛바랜 파란 방수포는 매우 소중한 것이다. 파란 방수포는 바닥의 찬기를 막아 그들에게 잠자리를 제공해준다. 마른 콘플레이크를 먹을 때 식탁보 대신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물품은 다른 생존자들을 만나면 빼앗길 수 있기 때문에 소중하게 간직해야 했다. 남자는 파란 방수포를 곱게 접어 카트에 넣고 카트를 밀었다. 카트 옆에는 오토바이 거울을 매달았다. 다른 생존자들이나 들짐승 등이 쫓아오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목숨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면 무거운 카트는 포기하고 달아나야 한다. 그래서 두 남자는 배낭을 멨다. 배낭 안에는 부피가 작지만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물품이 들어있었다.
마지막 장에서 느끼는 전율은 바로 ‘희망’
지구를 이렇게 만든 것은 핵전쟁 때문인지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의 여파인지 알 수는 없다. 그저 지금 지구는 몹쓸 병에 걸렸고 그래서 사람들도 대부분 죽어 사라진 지 오래다.
길 위에는 남자와 소년이 있을 뿐이다. 아니, 사실 남자와 소년만 있었으면 좋았을 걸 그랬다.
온통 폐허가 된 길 위에도 생존자는 있었다. 물건을 빼앗는 생존자들은 그래도 괜찮았다. 두려운 존재들은 ‘사냥꾼’이었다. 사냥꾼들은 다른 생존자들은 포획했다. 그리고 그들을 자신의 ‘음식’으로 활용했다.
이러한 처절한 현실 앞에 남자가 택한 결론은 ‘총’이었다. 남자에게는 총이 있었다. 가장 위태로운 순간에 아들과 자신에게 겨눌 소중한 총이었다. 남자는 인간 사냥꾼에게 잡히기 전에 아들에게 입안에 총구를 넣어 방아쇠를 당기는 방법을 다시 숙지시킨다.
총이라는 무기가 적이 아닌 나와 내 가족에게 사용될 정도의 처절한 환경이다. 죽는 것보다 잡히는 것이 더 두렵고 무서운 상황의 세계다. 이러한 처참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행동할 수 있을까.
이들이 걷는 길 위는 불행과 재난으로 가득했다. 하지만 다행히 소설의 끝은 달랐다. ‘서광’이라고 표현하고 싶은 희망이 있다. 같은 인간에게 거는 마지막 희망. 그 실 날 같은 희망이 소설 내내 느껴지는 좌절과 어둠을 걷어내기에 충분하다. 소년이 길을 떠나게 되는 마지막 장은 이 소설을 읽어야 할 가치며 이유다.
(45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8∼22일 '2022 대한민국 과학축제'가 서울 성수동 에스팩토리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축제의 주제는 '페스티벌 어스(Festival Earth)'로,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과학기술을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주제전시와 과학강연, 과학기술 성과전시 등으로 구성됐다. 19일 오후에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이 반도체를 주제로 특별 강연을 한다.
장(腸)에 사는 세균은 종종 장의 벽(gut barrier)을 넘어서 다른 기관을 침범하기도 한다. 이런 장 세균이 면역계를 자극하면 해당 기관에 심한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염증 질환에서 이런 현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장의 미생물 총에서 어떤 세균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밝혀내고자 했다. 이런 세균을 정확히 확인해 제거하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시더스-시나이(Cedars-Sinai) 메디컬 센터 과학자들이 획기적인 항체 반응 검사법을 개발했다.
눌어붙지 않는 프라이팬이나 일회용 컵의 방수코팅제 등으로 일상 용품 속에 깊이 침투해 있는 '과불화화합물'(PFAS)은 환경과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돼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로 불린다. 초고온에서 소각해도 연기에 섞여 대기로 유출되고 물로도 희석이 안 되는 데다 땅에 묻어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침출되는 등 뾰족한 처리 방법 없이 심각한 건강상의 위협을 제기해왔는데, 이를 저비용으로 쉽게 분해하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받고있다.
인류가 만든 탐사선 중 태양계를 벗어나 가장 멀리, 가장 오래 비행 중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보이저 1, 2호가 이달 말과 내달 초 각각 우주탐사 만 45년을 넘어선다. 보이저호 '쌍둥이' 중 1977년 8월 20일에 먼저 발사된 보이저2호는 목성, 토성에 이어 천왕성과 해왕성까지 근접 탐사한 뒤 현재 지구에서 약 195억㎞ 떨어진 곳에서 시속 5만5천㎞로 비행하고 있다. 보이저1호는 시스템상의 문제로 보이저2호가 출발하고 보름여 뒤인 9월 5일 발사됐지만 더 빠른 궤도를 채택해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현재 약 234억8천만㎞ 밖에서 시속 6만1천㎞로 성간우주를 헤쳐가고 있다.
서아프리카 연안에서 약 6천600만 년 전 공룡시대를 마감한 때와 비슷한 시점에 형성된 소행성 충돌구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영국 헤리엇와트대학교 지구과학 부교수 우이스딘 니컬슨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아프리카 연안의 탄성파 자료에서 약 8.5㎞에 달하는 소행성 충돌구를 찾아낸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악기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미 대륙판이 분리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탄성파 반사 속도로 지질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우연히 충돌구를 확인했다.
2024년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 프로젝트 탈퇴를 선언한 러시아가 독자적으로 건설할 우주정거장의 실물 모형을 공개했다고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이날 모스크바 외곽에서 열린 한 군사 산업 전시회에서 새로운 우주정거장 모형을 선보였다. 러시아 국영매체는 이 모형을 '로스'(Ross)라고 불렀다. 새로운 우주정거장은 2단계로 발사될 예정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남극 앞바다의 기후 변화가 태평양 수온과 열대 지역 비구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했다. 16일 UNIST에 따르면 도시환경공학과 강사라 교수 연구팀은 기후 모델(Climate Mode) 실험으로 남극 앞바다의 냉각이 적도 태평양의 수온을 낮춘다는 내용을 입증했다. 특히 남극 앞바다의 온도와 열대강우(비구름) 사이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밝혔다. 남극 앞바다가 차가워지면 열대 동태평양의 수온이 낮아지고, 그 영향으로 열대강우가 북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