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작은 동그라미 하나가 두 개로 갈라지고 꿈틀거리면서 생물로 변한다. 이들은 서로 먹고 먹히며 모습을 바꿔가면서 진화해나간다. 이윽고 사람의 형상에 도달해서도 칼과 창을 휘두르고, 총과 대포를 쏘며 서로 대립하고 투쟁한다. 결국 군대와 문명 세계는 거대한 폭발로 이어진다.
작은 구슬들의 프레임 바이 프레임 움직임과 촬영 작업으로 환상적인 형태 변형, 즉 메타모포시스(metamorphosis)를 보여주는 5분 35초 길이의 단편 애니메이션 ‘구슬 게임(Bead Game)’은 인도 출신으로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National Film Board of Canada)에서 활동한 아트 애니메이션의 대표적인 작가 이슈 파텔(Ishu Patel)의 1977년 작품으로 아카데미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에 노미네이트됐던 작품이다. <관련 동영상>
Bead Game Ⓒ Ishu Patel
‘Bead Game’은 인도 정부가 핵폭탄 실험을 한다는 사건에서 착안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수많은 색깔의 구슬들이 뭉치고 흩어짐을 반복하며, 생물체를 형성하고 진화하면서 인간에 이르기까지 생명 진화와 전쟁의 역사를 이미지의 변형과 인도 특유의 타악기 사운드와의 결합을 통해 환상적이고 충격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정교한 펜촉으로 작은 구슬들을 하나씩 일일이 움직이고 흩트리면서 새로운 형상과 색채를 창조한 ‘Bead Game’의 애니메이션 기법과 표현은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는 혁신적인 것이었으며, 영화의 엔딩 부분에서 이 모든 파국적인 결말을 막아낼 수 있는 것은 결국 인간이라는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영상 속에서 구슬은 마치 ‘빛’처럼 보인다.
빛과 색채의 연금술사로 불리는 이슈 파텔은 1942년 인도 태생으로 바라다 대학교(The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스위스에서 디자인 공부를 한 후 사진 작가와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였으며, 1971년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에 들어가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아트 애니메이션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After Life Ⓒ Ishu Patel
이슈 파텔은 인도의 신화와 철학을 바탕으로 줄곧 문명에 대한 비판적인 메시지를 작품에 담아왔는데, 특히 힌두교의 윤회설에 기반한 신비주의적 내세관과 동양적인 이미지와 색채의 조화, 종이·유리·점토, 그리고 빛을 활용한 실험적인 기법을 통해 매 작품마다 자신만의 독창적인 애니메이션의 세계를 구축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인도 전설을 토대로 신과 인간, 그리고 지구와 우주의 기원을 표현한 1971년 첫 번째 작품 ‘죽음의 기원(How Death Came to Earth)’을 시작으로,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도형들을 애니메이션으로 표현한 ‘Perspectrum(1974), ’점토를 투과하는 빛의 촬영으로 영혼의 여행을 신비롭게 표현한 ‘After Life(1978)’를 만들었다.
Paradise Ⓒ Ishu Patel
연이어 이슈 파텔은 피지배자와 권리 개념을 풍자적으로 그려낸 ‘Top Priority(1981)’, 까마귀와 공작새의 이야기를 통해 허상과 진실의 세계를 표현해 아카데미 최우수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후보작으로 올랐던 ‘Paradise(1984)’, 인간의 탐욕과에 대한 비판적 메시지를 담은 ‘Divine Fate(1993)’ 등 지금까지 20여 편의 단편 아트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으며,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몬트리올 영화제, 바르셀로나 영화제, 안시 애니메이션 영화제 그랑프리 등 수많은 영화제에서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관련 동영상>
Divine Fate Ⓒ Ishu Patel
그리고 이슈 파텔은 예루살렘 베살렐 예술디자인 아카데미(Bezalel Academy of Art and Design, Jerusalem)와 토론토 애니메이션 이미지 소사이어티(The Animation Image Society of Toronto), 중국 베이징 애니메이션 커뮤니케이션 대학교(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Beijing), 중국 남서부 국립대학교 애니메이션 스쿨(School of Animation, Southwest Minzu University) 등에서 애니메이션 워크숍과 마스터 클래스를 맡아 진행하기도 했다.
창조적이고 예술적인 마인드가 애니메이션의 근본임을 강조하고, 자신의 작품을 통해 이를 진솔하게 증명하고 있는 아트 애니메이션의 대가 이슈 파텔의 대표작 6편이 담긴 ‘이슈 파텔 애니메이션 베스트 컬렉션’이라는 DVD가 국내에 출시되었으며, 2016년에는 사진집 ‘Ishu Patel Asian Lives A Closer Look’이 출간되었다.
(110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