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도시 위기 해결 방안으로 급부상

도시문제 해결 위한 정책 혁신 방안 모색

급속한 도시화로 많은 문제들이 생겨나면서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거기에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과 기후변화로 인한 각종 자연재해까지 더해져 더욱 심각한 도시의 위기가 초래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재난에 대한 회복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성장, 기후변화 대응 등으로 많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다. 특히 문제 해결을 위한 빅데이터의 활용은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고 새로운 인사이트를 추출하는데 높은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이 많은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

이를 어반 사이언스(Urban Sciences)와 어반 인포메틱스((Urban informatics)에서 다루고 있다. 도시과학은 현대 도시가 직면하고 있는 복잡, 다양한 문제를 다학제적인 접근을 통해 연구하는 분야고, 어반 인포메틱스는 수학이나 암호학,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도시 문제를 개선하는 학문 분야다.

도시 위기 시대의 빅데이터와 도시혁신은?

이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콘스탄틴 콘토코스타(Constantine Kontokosta) 뉴욕대 교수가 3일 2020 서울빅데이터포럼에서 ‘도시 위기 시대의 빅데이터와 도시혁신’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도시과학의 목표를 “고화질 대용량의 데이터와 다학제 간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론을 통해서 도시의 역동성과 복잡성을 이해하고 데이터 중심의 의사결정을 함으로써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공중보건 문제,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콘토코스타 교수는 미국국립과학재단의 311프로젝트를 실제 연구 사례로 소개했다. 이는 시민들이 전화를 통해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젝트로, 200만 건이 넘는 데이터가 모였고 뉴욕시는 리포팅 패턴을 연구해서 주민들의 우려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했다.

콘스탄틴 콘토코스타(Constantine Kontokosta) 뉴욕대 교수가 3일 2020 서울빅데이터포럼에서 ‘도시 위기 시대의 빅데이터와 도시혁신’을 주제로 온라인 강연했다. ⓒ 포럼 영상 캡처

또 도시의 난방 중단 문제를 보여주는 데이터를 통해서는 어떤 리소스와 자원을 집중 투자해서 더 빨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했다. 콘토코스타 교수는 “인공지능을 사용해서 노숙자와 관련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도시의 녹지가 어느 지역에 더 많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것이 공기의 질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AI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도시과학의 예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와이파이나 GPS 위치 추적기 등 지리적 위치 시스템을 통해 많은 정보들이 축적된다며 이를 통해 자연재해의 영향을 예측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토코스타 교수는 2017년 있었던 허리케인 하비를 예로 들었다.

하비는 굉장히 강력한 허리케인으로, 당시에 큰 홍수를 유발했다. 콘토코스타 교수는 “이런 재해에 대해 휴스턴 지역의 여러 동네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모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후에 중장기적으로 조금 더 회복성 높은, 탄력 있는 도시로 재생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세울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기술의 발전이 새로운 도시정책 변화 이끌어

콘토코스타 교수는 최근에 코로나19와 관련해서 “미국의 도시들을 보면 코로나19의 영향에 차이가 많다. 소수민족이나 저소득층이 코로나19의 노출 밀도가 높다”며 SNS 정보나 원격 센싱을 통해서 취합된 데이터들을 통합해서 분석함으로써 시 당국의 코로나19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새로운 기술 변화와 함께 새로운 도시 관리와 계획에 있어서 정책 방향도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 과거에 불가능했던 여러 정보들을 토대로 도시 관리와 도시 정책 수립이 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콘토코스타 교수는 “지금 우리는 전 도시의 모든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대단히 많은 정보를 빠르게 제공받고 있으며 굉장한 데이터의 특혜를 누리고 있다”며 “이런 과학기술의 발전을 우리의 도시정책에도 반영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어떻게 통합해서 우리의 이익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할지 하는 것이 도시정책의 혁신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콘스탄틴 콘토코스타 뉴욕대 교수와 얀 디어크 슈뫼커 교토대 교수가 이희정 서울시립대 교수를 좌장으로 ‘도시 위기의 시대, 빅데이터와 도시혁신에 대해 대담을 나눴다. ⓒ포럼 영상 캡처

포럼에 함께하며 ‘빅데이터를 통한 도시 레저, 관광 활동 예측’ 모델을 설명한 얀 디어크 슈뫼커 (Jan Dirk Schmöcker) 교토대 교수는 “빅데이터가 있어서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도록 해서 다양한 시나리오 구축이 가능하다”며 “빅데이터를 통해서 경제, 인구 등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종류의 미래 불확실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그에 맞는 도시정책의 혁신도 가능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3903)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