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가재굴 속 뼈 20점, 국제유전자은행 바다사자 유전자와 약 99% 일치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남획으로 멸종됐던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울릉도에도 살았던 사실이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졌다. 해양수산부는 울릉도에서 발굴한 기각류 추정 뼈가 멸종된 강치의 것임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강치 이미지 ⓒ 해양수산부/ 연합뉴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의 남획으로 멸종됐던 독도 바다사자(강치)가 울릉도에도 살았던 사실이 유전자 분석으로 밝혀졌다.
해양수산부는 울릉도에서 발굴한 기각류 추정 뼈가 멸종된 강치의 것임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기각류는 지느러미 형태의 다리를 가진 해양포유류를 일컫는 용어로, 이번 발견은 강치가 울릉도에도 서식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한다.
해양환경공단과 부산대학교는 지난 9월 환동해 기각류 서식 실태조사를 하면서 과거 강치가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울릉도 가재굴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를 20점 이상 발굴했다.
이 중 일부에 대해 부경대학교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국제유전자정보은행(NCBI)에 2007년 등록됐던 바다사자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최대 99.39%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가 독도에서 바다사자 뼈로 추정되는 동물 뼈 5점을 채취하고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강치의 뼈로 밝혀진 바 있다.
강치는 가늘고 긴 몸에 짧은 귀와 꼬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며 암컷은 1.6m, 수컷은 2.5m 정도로 자란다. 수컷의 몸무게는 최대 560㎏에 이르렀던 것으로 전해진다.
동해와 일본 북해도에 주로 서식했으며 한국에서는 울릉도와 독도가 최대 번식지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본에 의해 1903년부터 1941년까지 독도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남획됐다. 특히 남획 초기인 1904년에는 약 3천200마리가 희생된 것으로 파악됐다.
강치가 국내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되었을 때는 1976년 독도로, 이후에는 국내 서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강치를 절멸종으로 분류했다.
이재영 해수부 해양생태과장은 “울릉도에 독도 바다사자가 서식했다는 사실은 그간 문헌상으로만 기록되어 있었는데 이번 발견은 이를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바다사자 복원을 위한 조사와 연구를 지속해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2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