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자 내부에 3차원 홀로그램·구조색·형광 패턴 등 보안 정보 조합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이 다중 위조 방지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지석 교수 연구팀이 미세 공액고분자(반도체처럼 전도성이 있는 고분자) 입자 내부에 위조 식별 정보를 다중으로 숨겨 놓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미세 입자에 3차원 홀로그램과 구조색, 형광 특성 등의 보안 정보를 다양한 형태와 조합으로 구현해 위조가 불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개발된 공액고분자 입자는 보는 방향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는 특성(구조색)이 있다.
또 물에 담그면 구조색이 사라지면서 입자 내부에 저장된 3차원 홀로그램이 나타나고, 빛을 비추면 3차원 홀로그램 형광 패턴이 생긴다.
특히 착시 현상을 이용하는 기존 홀로그램과 달리, 보는 각도에서 모두 형태가 다른 ‘풀 패러랙스'(full-parallax) 특성이 있는 3차원 홀로그램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현재 5만원권 지폐에는 은선, 숨겨진 그림 등 독립된 위조 방지 장치가 숨어 있는데, 개발된 입자를 이용하면 여러 위조 방지 장치를 하나의 글자에 집약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은 격자무늬나 빗살무늬와 같은 ‘마스크 필터’ 사이로 빛을 통과하게 해 광경화 공액고분자에 가해지는 빛의 양을 군데군데 조절하는 것이 핵심이다.
빛의 양에 따라 고분자 굳기와 굴절률 등이 달라져 구조색과 홀로그램 문양이 나타난다.
구조색과 홀로그램 문양은 마스크 종류를 바꿔 조절한다.
또 입자 제조에 쓰인 기술은 고정밀·자동화 공정이기 때문에 쉽게 응용도 가능하다.
이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머리카락 굵기의 입자 내부에 명화가 고해상도로 프린팅된 위조 방지 그래픽스티커와 태건트(taggant·식별 정보가 포함된 위조 방지 첨가제)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며 “보안 산업 분야 원천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머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4일(현지 시각) 자로 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17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