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상용 SUV에 기반해 개발시간과 비용 단축한 미군의 새로운 발
ISV ⓒ미 육군
“힘을 제압하는 것은 속도”라는 말도 있듯이, 전투에서 신속한 기동은 화력을 능가하는 힘을 발휘할 때도 많다. 미 육군은 최소 단위의 부대인 분대(현재 미군의 편제로는 9명)에 높은 기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분대원 전원이 탑승하고 거친 지형을 기동할 수 있는 보병 분대 차량(Infantry Squad Vehicle: 이하 ISV)을 GM 디펜스와 함께 개발 중이다. 이 차량은 지난 11월 8일, 미국 국방부 차관 캐서린 힉스의 시승 영상이 트위터에 공개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좌석 배치는 제1열과 2열에 전방을 향해 각각 2명과 3명이 앉고, 제3열은 후방을 향해 2명, 좌측과 우측을 향해 각 1명씩이 앉는 방식이다. 이로써 탑승자 전원이 360도 전방위를 다 볼 수 있다. 운전석 바람막이를 제외하고는 창문이 없고, 문도 없다. 때문에 빠르게 승하차할 수 있다.
이 차량에는 심지어 장갑판이나 총탑도 없다. 오직 기동력에만 초점을 맞춘 설계다. 물론 총탑과 소화기 거치대를 추가하고, 대신 좌석을 4개 줄인 모델도 있기는 하나, 이 모델은 아직 미 육군에서 채용할 계획이 없다.
미 육군은 ISV를 2024년 말까지는 649대, 총 2,065대를 조달할 계획이다. 앞서도 잠시 비쳤듯이 높은 방호력을 갖춘 장갑 험비나 MRAP(Mine Resistant Ambush Protected vehicle, 내지뢰매복방호차량) 등과는 정반대의 개념과 형태로 만들어진 데에는 미 육군의 전술 교리 변화가 큰 역할을 했다. 올 1월 발간된 미 육군 교범에서는 보병 여단 전투단의 역할을 “복잡한 지형에서의 하차 작전”으로 정의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복잡한 지형이란, 도심지 및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제한적 지형 및 환경 조건이 있는 지리적 영역을 말한다.
제한적 지형이란 소택지 옆의 작은 마을이 될 수도, 돌밭 가장자리의 산업 단지가 될 수도, 숲 속으로 파여진 참호망 등이 될 수도 있다. 즉 기존의 MRAP이나 스트라이커 장갑차로는 접근하기 어렵고, 도보 또는 오프로드 차량으로만 접근 가능한 험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ISV는 이러한 지형에 1개 분대를 싣고, 도보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정차 후 보병이 하차, 은엄폐하여 전투할 수 있게 해 주는 차량이다. 즉, 승차 전투는 전혀 고려되지 않은 순전한 기동 장비다.
육군은 ISV에 높은 전략 기동성도 요구했다. 즉 항공기로 운반하기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블랙호크 헬리콥터 및 치누크 헬리콥터의 기체 밖에 매달아 수송할 수 있어야 하며, C-130 및 C-17 수송기로부터 낙하산 투하가 가능해야 한다. 또한 차량이 착지한 다음, 별도로 강하한 탑승자들이 바로 시동을 걸어 목적지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ISV는 최대 1.44톤의 인원과 물자를 탑재할 수 있다.
특이할만한 점은 이 차량의 부품은 민간용 픽업 트럭인 셰비 콜로라도 ZR2 차량의 순정 부품과 70%가 공유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중 20%는 민수 시장에서 유통되는 동 차종의 튜닝 부품, 10%는 군용 목적으로 특별 제작된 부품들이다. 이는 높은 개발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노린 것이다.
(992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