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는 지구상에서 가장 특이한 생물 중 하나다. 심장이 3개에다 8개나 되는 다리가 머리에 붙어 있으며, 생식기가 발에 있다. 더욱 신기한 것은 인간과 전혀 다른 의식과 감각 체계다.
문어는 5억 개 이상의 신경세포를 지니고 있다. 척추동물인 개와 비슷한 수의 신경세포를 가진 셈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신경세포가 뇌에 있는 개와 달리 문어는 신경세포의 2/3 이상을 다리와 몸에 지니고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특이한 생물 중의 하나인 문어는 인간과 전혀 다른 감각 체계를 지니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때문에 문어는 뇌의 통제 없이도 8개의 다리가 각기 환경의 변화에 맞춰 조화롭고 영리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8개의 다리에는 각각 주변을 느끼고 맛보고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수백 개의 빨판이 달려 있다.
이처럼 이상하게 구성된 신경계로 인해 과학자들은 문어의 다리가 스스로 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중앙의 뇌로부터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고 의심해왔다. 따라서 일부 과학자들은 문어를 두고 머리와 8개의 다리를 합쳐서 총 9개의 뇌를 지닌 생물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런데 문어의 뇌와 다리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연결되어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학교(OIST)의 타마르 구트닉(Tamar Gutnick) 박사팀은 문어에게 미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자신의 다리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한쪽 다리를 삽입하는 것과 음식을 보상받는 것을 연관시키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다리와 뇌가 완전히 독립되지는 않아
하지만 그 같은 학습 과정은 뇌의 중심부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뇌가 올바른 미로 경로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정보는 다리에서만 감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구트닉 박사는 “문어의 다리가 뇌와 완전히 독립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며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 사이에 정보 흐름이 있다”고 밝혔다. 즉, 문어는 9개의 뇌를 가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뇌와 매우 영리한 8개의 팔을 지닌 동물로 밝혀진 셈이다.
연구진은 문어가 지닌 각각의 다리가 두 가지 유형의 감각 정보, 즉 사지의 위치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고유수용기감각과 질감을 느끼는 촉각 정보를 뇌에 제공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실험했다.
인간은 고유수용기감각이 뛰어난 편이다. 때문에 우리는 이 감각을 이용해 발을 보지 않고 걸을 수 있으며 눈을 감은 채 손가락으로 코를 만질 수도 있다. 그러나 문어가 이 같은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다리가 감지하는 것만으로 보이지 않는 자신의 다리에게 문어가 지시를 내릴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Y자 모양의 불투명한 미로를 만든 다음 두 가지 출구 중 하나에 음식을 두었다.
실험 결과 문어는 미로를 천천히 탐색하기보다는 즉시 다리를 빨리 밀어 넣어 음식을 찾기 시작했다. 이때 다리를 올바른 곳에 넣으면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틀린 곳에 넣으면 그물로 막혀 있어 음식을 먹을 수 없게 했다.
문어의 뇌는 여전히 블랙박스
총 6마리의 지중해 문어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그중 5마리는 음식을 얻기 위해 미로 속에서 다리를 밀거나 뺄 때 어디로 해야 할지를 학습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문어가 그들의 팔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감각을 분명히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왜냐하면 문어들은 음식 보상이 있는 곳의 방향에 대해 학습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구트닉 박사는 “인간의 수준까지는 아닐지 모르지만, 문어들도 어느 정도 고유수용기 감각이 있다”고 밝혔다.
Y자형 미로 실험을 한 결과 문어의 학습 과정은 뇌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미로 선택에 필요한 정보는 다리에서만 감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Dr. Tamar Gutnick
이어서 연구진은 문어들이 각각의 다리를 사용할 때 미로의 질감을 감지해 올바른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지도 실험했다. 즉, 한쪽 튜브는 거친 반면 다른 쪽 튜브는 매끈한 Y자 모양의 미로를 문어에게 제시한 것. 이때 미로의 거친 면이나 매끄러운 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문어에게 음식 보상이 주어졌다.
실험 결과 이번에도 역시 실험에 참가한 6마리의 문어 중 5마리가 올바른 질감이 왼쪽 튜브에 있는지 혹은 오른쪽 튜브에 있는지와 상관없이 미로를 성공적으로 탐색했으며, 어떤 질감이 음식을 보상하는지를 학습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음식과 질감과의 정확한 연관성을 학습한 문어의 경우 이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다리를 사용해서도 미로를 성공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각각의 다리가 어떤 작업을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기존의 생각이 틀렸음을 의미한다. 즉, 학습은 뇌에서 발생하며, 그 정보가 각각의 다리에 제공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 정보가 뇌의 어디에 저장되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문어의 뇌는 인간과 매우 다르며, 앞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 더 많다”며 “문어의 뇌는 여전히 블랙박스이다”라고 주장했다.
(512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 감응 색 변화 염료를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체온 변화를 맨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필름 타입 색 변화 멤브레인보다 체온 범위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인류가 만든 우주망원경 중 최강을 자부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내달 12일 첫 이미지 공개를 앞두고 29일(현지시간)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웹 망원경을 운영할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주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는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CN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프로그램 책임자로 이 이미지 중 일부를 본 토마스 주부큰 부국장은 웹 망원경이 공개할 첫 이미지가 과학자들에게 감격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췌장암이 이렇게 위험한 건 무엇보다 다른 부위로 걷잡을 수 없게 전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췌장암의 전이 속도를 늦추거나 전이 자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분자 경로'가 발견됐다. 문제를 일으키는 건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산화 손상을 복구하는 일명 '지우개 효소'(eraser enzyme)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높다. 이는 폐경 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뇌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 퇴행 질환 센터 인구 보건 과학 실장 모니크 브레텔러 박사 연구팀이 남녀 3천410명(평균연령 54세, 여성 58%)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