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들의 오디세이] 이름들의 오디세이(41)
5월 20일 경 밤 하늘에는 목성이 아주 밝게 빛났다. 여러 언론사에는 달 아래 UFO가 나타났다는 제보가 쇄도한 밤이었다.
태양계의 맏아들 격인 목성은 밤하늘에서 아주 밝은 별이다. 금성이나 화성이 가장 밝을 때 목성보다 더 빛나기도 하지만, 일몰 직후나 일출 직전에만 잠깐 ‘반짝’할 뿐이다. 하지만 목성은 밤새도록 하늘에서 빛을 내니 고대 그리스-로마인들이 신들의 제왕인 제우스-주피터의 이름을 붙인 이유를 알 것 같다.
목성은 동아시아에서도 중요한 별이었다. 동양에서는 목성을 ‘세성’이라 불렀는데, 아주 밝은 별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목성의 공전 주기가 11.86년으로 중국의 기년(紀年) 주기(띠)와 일치하는데, 우리 모두가 지니는 ‘띠’가 12개인 것은 목성의 운행과 관련지을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세월’과 관련된 세(歲)를 써 ‘세성(歲星)’으로 부른 것이다.
목성하면 떠오르는 사람 중 한명은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다.
1610년 1월 망원경으로 목성을 관측하던 갈릴레오는 목성 주변에서 빛을 3개 발견했다. 이들은 모두 일직선상에 있었고, 목성의 이쪽 끝에서 저쪽 끝을 왕복하면서 자리바꿈을 하고 있었다. 1월 말에는 빛 하나를 더 발견했다. 도대체 무슨 빛일까?
갈릴레오는 달이 지구 주변을 공전하는 것처럼, 목성에도 4개의 달이 있어 공전하는 것이4개의 빛으로 관측되었다고 보았다. 이 네 천체들은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천체이자, 태양계 내부에서 지구를 중심으로 돌지 않는 천체가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가 되었다.
갈릴레오는 발견한 4개의 별을 자신의 고용주에게 헌정하여 ‘메디치의 별(MediceaSidera)’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지금은 발견자인 갈릴레오를 기리기 위해 ‘갈릴레오의 위성(Galilean moons)’으로 부른다. 각 위성들에게 별칭이 없었을 때에는 목성 제1위성(Jupiter I), 목성 제2위성(Jupiter II), 목성 제3위성(Jupiter III), 목성 제4위성(Jupiter IV)으로 불렸다.
얼마 후 갈릴레오의 발견 사실을 미처 몰랐던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인 마리우스(Simon Marius)도 4개의 위성을 발견했다. 그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제우스(주피터이자 목성에 해당)의 여인들의 이름을 따서 목성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이오(Io), 유로파(Europa), 가니메데(Ganymede), 칼리스토(Callisto)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오는 강의 요정이었는데 강압에 의해 제우스의 여인이 되고 말았다. 질투심 많은 헤라가 이 사실을 알게 되면 이오를 가만두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제우스는 이오를 하얀 소로 둔갑시켜 헤라의 눈을 피하게 했다. 하지만 헤라는 하얀 소를 수상히 여겨 백목거인(百目巨人, 눈이 100개인 거인족) 아르고스(Argus)를 시켜 소를 감시한다. 아르고스는 눈이 100개 나 되어서 잠들지 않는 눈으로 이오를 철저히 감시를 했다.
이오가 아르고스 때문에 꼼짝달싹도 못하자 이번에는 제우스가 친히 행차했다. 그는 아르고스를 꼬드겨 100개의 눈을 모두 잠재운 후 죽여버렸다. 헤라는 남편의 손에 죽은 아르고스를 기리기 위해 그의 눈 하나를 그녀의 반려조인 공작의 꼬리에 붙여 놓았다. 공작새 중 일부 학명에 아르고스가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사연이 있다.
하지만 여전히 헤라는 이오에 대한 의심을 풀지 않았다. 이번에는 아르고스를 대신해 날파리를 보내 이오를 괴롭혔다. 이오는 끈질기게 몸에 들러붙는 날파리를 피해 도망을 다녔는데 심지어는 바다로 뛰어들어 달아나기도 했다. 덕분에 몇몇 지명에 그녀의 흔적이 남게 되었다.
그 중 이스탄불 해협으로도 불리는 유럽과 아시아 사이의 바다 보스포루스(Bosporus)는 고대 그리스어로 ‘소가 건나가다’라는 뜻이 있다. 또한 그리스와 남부 이탈리아 사이에 있는 이오니아 해(Ionian Sea)는 ‘이오가 건너갔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유로파는 제우스가 납치한 페니키아 공주의 이름이다. 유로파는 소로 변한 제우스에게 유괴되어 지중해를 건너 크레타 섬으로 끌려갔다. 그녀의 이름이 지금의 유럽 대륙의 이름으로 남아있다.
님프였던 칼리스토는 이오처럼 제우스가 헤라를 속이려고 혹은 헤라에게 밉보여 곰이 되고 말았다. 곰이 된 그녀는 어느 날 사냥 나온 아들 아르카스(Arcas)와 마주친다. 곰이 둔갑한 어머니임을 알 턱이 없는 아들은 곰을 죽이기 위해 활을 겨누었고, 이를 본 제우스가 이 둘을 하늘에 올려 큰곰자리(Ursa Major)와 작은곰자리(UrsaMinor)로 만들어버렸다. 칼리스토는 목성의 위성에 이름이 붙기 전에 이미 큰곰자리로 밤하늘에 떠있던 셈이다.
가니메데 역시 제우스에게 피랍된 인물로 트로이의 ‘왕자’였다. 그는 용모가 아주 준수했는데, 제우스의 눈에 들어버렸고, 독수리로 변한 제우스가 그를 낚아채 하늘로 올라가버렸다.
이 네 위성 중 유로파는 달보다 작지만 나머지는 달보다 크다. 심지어 가니메데는 수성보다도 더 커서 태양계에서 크기로 치면 8위에 해당한다.
각각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개성있게 생겼다. 이오는 화려한 붉은색으로 빛나고, 유로파는 표면에 ‘붉은 핏줄’이 어지럽게 널려 있고, 가니메데는 오래된 그리스 화병처럼 알 수 없는 그림과 무늬가 보이고, 칼리스토는 마치 지구의 야경을 보는 듯하다.
이 위성들의 공전궤도는 아주 특이하다. 지구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공전주기가 27.32일인데 비해 이오는 목성 주변을 한 바퀴 도는데 1.77일, 유로파는 그 두 배인 3.55일, 가니메데는 유로파의 두 배인 7.16일이 걸린다. 다시 말하면 가니메데가 목성 주변을 한 바퀴 돌 때, 유로파는 2회, 이오는 4회를 돈다는 말이다.
(339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유방암은 흔한 암 유형 가운데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는 사람이 약 230만 명에 달한다. 유방암도 초기에 찾아내면 대체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다른 부위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훨씬 더 치료하기 어렵다. 암의 전이는, 원발 암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CTCs)가 혈류를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성 탐사 후발주자인 중국이 미국보다 2년 앞서 화성 암석시료를 지구로 가져올 것이라고 중국 우주탐사 관계자가 밝혔다. UPI 통신과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의 화성탐사 미션 '톈원(天問)1'을 설계한 쑨쯔어저우 연구원은 지난 20일 난징대학 개교 120주년 세미나에 참석해 우주선 두 대를 활용해 화성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톈원3호'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가 주류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미래혁신기술 15개를 도출했다. 선정된 기술은 완전자율 비행체·주행차, 맞춤형 백신, 수소에너지, 초개인화된 인공지능(AI), 생체칩, 복합재난 대응시스템, 양자암호통신기술 등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3일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 등을 심의·보고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100㎚(나노미터) 두께 단일 소자에서 인간 뇌의 뉴런과 시냅스를 동시에 모사하는 뉴로모픽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세포이고, 시냅스는 뉴런 간 접합 부위를 뜻한다. 1천억개 뉴런과 100조개 시냅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간 뇌는 그 기능과 구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자율주행차 실증 구간이 기존 7개 지구에서 14개 지구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통해 서울 강남과 청계천, 강원도 강릉 등 7개 신규지구 선정과 광주광역시 등 기존 3개 지구 확장에 대한 평가를 마쳤다면서 24일에 시범운행지구를 확정·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숨소리 빼곤 다 거짓말'이라는 비유적 표현이 있는데, 인간이 내쉬는 날숨도 개인마다 달라 지문이나 홍채 등처럼 생체인증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재료화학공학연구소 과학자들이 도쿄대학과 함께 날숨에 섞여 있는 화합물을 분석해 개인을 식별, 인증할 수 있는 인공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과학 저널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Chemical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연조직 육종(soft-tissue sarcoma)은 근육, 결합조직, 지방, 혈관, 신경, 힘줄, 관절 활막(joint lining) 등에 생기는 암이다. 신체 부위별로 보면 팔다리, 복강 후벽, 내장, 체강, 두경부 순으로 자주 발생한다. 희소 암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미국의 경우 한 해 5천 명 넘는 환자가 연조직 육종으로 사망한다. 특히 활막 육종은 폐로 많이 전이해 예후가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