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 창조 현장 (171)
전자상거래 패션 업체가 등장했다. 지난 주 미국 보스톤에서 사업을 시작한 ‘크레인 & 라이온(Crane & Lion)’. 이 업체에서는 워크아웃(workout), 그리고 캐주얼(casual) 웨어 들을 다양하게 선보이고 있는 중이다.
존 위델슨(John Udelson) 창업자는 “여성이 매우 편안하게 입을 수 있는 다기능 크로스 오버 의류를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스톤 비즈니스 저널에 따르면 그는 창업자금으로 125만 달러를 투자했다.
현재 웹사이트를 통해 팔고 있는 옷들은 김 오텐그렌(Kim Ortengren)이 디자인한 것이다. 그는 이전에 뉴욕에서 ‘도나 카란(Donna Karan)’, 콜로라도 주에서 스키복 브랜드 ‘스파이더(Spyder)’ 론칭에 참여한 바 있다. 모두 성공한 브랜드들이다.
“신체에 대해 이해도 높은 기술 개발 중”
판매하고 있는 의류는 타이완과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크레인 & 라이온’에서는 해외에서 생산한 의류를 보스톤에 있는 스튜디오와 의류 전문점 스파(SPA)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하와이에서도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판매망을 세계로 확대할 계획이다.
패션 의류를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이 한창이다. 사진은 사람마다 다른 체형, 동작‧자세 패턴, 취향 등을 모두 체크해 3D 영상으로 재현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 보디 랩의 웹사이트. 고객용 아바타 모습이 이색적이다. ⓒhttp://www.bodylabs.com/
패션 제품의 경우 사람마다 다른 체형, 동작‧자세 패턴, 취향 등으로 인해 전자상거래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크레인 & 라이온’이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세계를 대상으로 온라인 상거래 망을 넓일 수 있는 것은 고객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솔루션이 점차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패션 분야 온라인 상거래에 초점을 맞춘 솔루션 개발 속도는 놀라울 정도다. 스타트업 보디 랩(Body Labs)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회사는 2013년 3월 미국 뉴욕에서 설립한 업체다.
그동안 사람의 체형, 동작, 자세와 관련해 데이터를 수집, 디지털 정보로 전환시킬 수 있는 ‘디지털 체형 플랫폼’을 개발해왔다. 보디 랩에서는 이 기술을 브라운 대학과 막스 프랑크 연구소와 공동 개발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인간 신체에 대해 세계에서 가장 이해도가 높은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이 이 회사의 목표다. 제품을 보고 구매를 요청하는 단순한 형태가 아닌 소비자 취향에 맞는 맞춤형 패션 의류를 판매하겠다는 것인데 이 솔루션을 위해 첨단 기술이 총동원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기술 가운데 ‘CAD(Computer-Aided Design)’이 있다. 고객의 신체 사이즈를 컴퓨터로 체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가상현실 속에서 고객이 원하고 있는 의류를 착용해볼 수 있는 3D 영상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애플의 ‘맞춤형 3D 쇼핑 아바타’ 특허 승인
보디 랩은 지난 11월16일 투자회사인 퍼스트마크 캐피털(FirstiMark Capital), 뉴욕 엔젤스(New York Angels)로부터 220만 달러의 창업 자금을 투자받았다. 많은 캐피털 회사가 투자를 원하고 있지만 조건이 좋은 쪽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까지 ‘가상 피팅룸(Fitting Room)’ 솔루션은 아바타를 활용하고 있었다. 아바타를 선택해 고객이 원하고 있는 의류를 착용시켜보는 방식이다. 그러나 보디 랩에서는 실제 사람의 사이즈 등을 스캔해 그 위에 다양한 의류를 입혀보는 방식이다.
패션 의류를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는 솔루션과 관련, 특허도 이어지고 있다. kt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8월26일 미국 특허청은 애플이 개발한 ‘온라인 쇼핑을 위한 개인 맞춤형 3D 쇼핑 아바타(Pesonalized Shopping Avatar)’ 특허를 승인했다.
이는 보디 랩이 설명하는 것처럼 패션 의류를 고객 신체에 적용해 3D 영상으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패션의류 시장이 새로 형성됨에 따라 향후 전체 의류 시장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에서 외국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한국 상품은 단연 의류다. 요즘은 한국의 여성복에 이어 남성복까지 인기 상품 반열에 올라섰다. 그러나 상품 사이즈를 비롯해 세부적으로 신경을 써야 할 요소들 때문에 많은 기업들이 애를 먹고 있다는 소식이다.
A 업체 대표는 “디자인은 동일하더라도 동양인이나 서양인의 체격 차이가 큰 만큼 해외용 사이즈를 별도로 갖추고 있는 업체가 있다면 판매 경쟁에서 한결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컴퓨터를 통해 정확한 신체 사이즈를 측정하고, 자신이 원하는 패션 의류를 입어볼 수 있는 맞춤형 전자상거래 솔루션이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이유다.
(607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