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극에서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상황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그동안 유지돼온 생태계 먹이사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대표적인 피해 그룹이 동물 플랑크톤(zooplankton)이다.
이 작은 생물체는 그동안 바다에 떠다니는 해빙(sea ice) 표면에 있는 조류를 먹고살았는데 해빙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이를 먹고살던 먹이 사실이 큰 위협을 받고 있다는 보고서가 과학자들에 의해 발표됐다.
해수 온도가 상승하면서 장수거북이 온도가 낮은 산란지를 찾기 위해 필사적인 여행을 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은 장수거북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 ⓒworldwildlife.org
장수거북 산란지 못 찾아 방황
스코틀랜드 해양과학협회(Scottish Association for Marine Science)는 동물 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새우-어류-바다표범-북극곰으로 이어지는 해양 생태계 먹이사슬이 지금 무너지고 있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19일 ‘가디언’ 지에 따르면 지난주 프랑스 HCI(Hubert Curien Institute)는 장수거북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수 온도가 올라가고 조류의 방향이 바뀌면서 장수거북(leatherback turtles)의 산란을 위한 필사적인 여행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
연구팀은 “프랑스 해변에 살고 있는 장수거북의 산란 여행을 추적한 결과 어미들이 온도가 올라간 해안을 피해 낮은 수온의 해변을 찾고 있으며, 이런 움직임 속에서 도착지가 북대서양, 심지어 캐나다 북동부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산란을 위해 서늘한 물속에 사는 먹이를 필요로 하는 장수거북에 있어 높은 수온은 곧 죽음을 의미한다. HCI는 “어떤 경우 장수거북이 다른 곳에서 산란지를 찾지 못하고 원래 살고 있던 프랑스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발견됐다.”고 전했다.
동물들의 수난은 바다가 아닌 산악 지역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북아메리카 고산지역에 사는 새앙토끼(pika)가 대표적인 경우. 지구온난화로 급격히 사라지고 있는 중이다.
햄스터 크기로 작고 귀여운 외모를 지닌 이 새앙토끼는 수풀과 인접한 고산지대에 살고 있었는데 그동안 날씨가 고온 건조해지고 눈이 거의 오지 않으면서 지금은 서식지를 모두 떠나 있는 상태다.
관련 논문은 최근 ‘포유동물 저널(Journal of Mammology)’에 게재됐으며, 논문 제목은 ‘Pika (Ochotona princeps) losses from two isolated regions reflect temperature and water balance, but reflect habitat area in a mainland region’이다.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그동안 지구온난화에 관심이 집중된 나머지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 간과해왔다며, 온도 상승으로 인해 새앙토끼와 같은 작은 동물들이 소리도 없이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모나크 나비 월동 못해 개체소 급감
지구온난화로 모나크 나비(Monarch butterflies)도 멸종사태를 맞고 있다.
캐나다 남부와 미국 동북부에 서식하는 모나크 나비(일명 제왕 나비)는 기온이 떨어지는 가을이 되면 3000km 이상 떨어진 멕시코 중부지방으로 서식지를 옮긴다.
온도 상승으로 월동할 지역을 찾지 못한 모나크 나비의 95%가 지난 20년간 멸종됐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5%에 불과한 나비들 역시 그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중이다. ⓒworldwildlife.org
그리고 겨울이 지나면 원 서식지로 돌아오는 여행을 반복해왔는데 최근 컬럼비아 대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쪽으로의 이주가 6개월 정도 지연되고 있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꿀을 생산하는 식물의 개화시기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살 곳을 찾지 못한 모나크 나비의 95%가 지난 20년간 멸종됐으며, 5%에 불과한 나비들 역시 그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중이다. 논문 제목은 ‘Monarch butterfly population decline in North America: identifying the threatening processes’이다.
북아메리카 북동쪽 대서양 연안 해역 메인만(Gulf of Maine)에 살고 있는 바다오리 퍼핀(puffins)은 대구류의 일종인 헤이크(hake)와 청어를 먹고산다.
그러나 해수 온도가 높아지면서 페이크와 청어들이 북쪽으로 서식지를 이전했다. 어쩔 수 없이 퍼핀은 은대구(butterfish)를 먹기 시작했으나 크기가 너무 커서 삼킬 수가 없었다. 살아남기 위해 새끼 은대구를 먹이로 삼았지만 개체수가 적어 생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 태어난 퍼핀은 대부분 살아남지 못했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존율이 2.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근 발생한 호주 산불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수많은 동물들을 멸종으로 몰아넣은 최악의 멸종 사태 중 하나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약 4억 8000만 마리의 호주 야생동물이 죽거나 심하게 다친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은 기후변화가 호주 산불 사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 역학 관계를 추적하고 있는 중이다.
지금까지 나타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9년 9월, 10월, 11월이 기온, 강우량, 습도, 풍속 등에 있어 산불이 발생할 수 있는 사상 최악의 상태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산불 원인이 지구온난화와 무관하지 않음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지구 온도가 계속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가 사랑했던 동물 생태계가 무너지면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변화가 이어지고 있다.
(893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자체 기술로 2031년 달 표면에 우주선을 보내 착륙시킨다는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이를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최근 이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11일 과기정통부와 전문가 등의 설명을 종합하면 2030년에 차세대 발사체 성능 검증을 위한 발사가, 2031년에 달 착륙선을 보내기 위한 발사가 각각 예정돼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꽃향기가 분비되는 것을 실시간 측정해 가시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기계공학과 유체 및 계면 연구실 김형수 교수와 생명과학과 생태학 연구실 김상규 교수 연구팀은 레이저 간섭계로 휘발성 유기물 증기(VOCs)의 상대 굴절률을 측정해 백합에서 나오는 꽃향기를 직접 측정해 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3월 제76차 유엔총회에서 매해 5월 12일이 '세계 식물건강의 날'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가 회원국인 식물검역 국제기구 '국제식물보호협약'(IPPC)이 2020년부터 세계 식물건강의 날의 유엔 지정을 추진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