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돌에도 귀가 있다?
러시아 공군 사관학교에서 개발한 정찰 로봇 ‘스파이 스톤’ ⓒ즈베즈다 TV 방송 캡처
눈 내리는 들판에 한 병사가 돌을 하나 가져다 놓는다. 잠시 후 돌은 살아 움직이기 시작한다. 위로는 잠망경 모양의 카메라를 내밀더니, 아래쪽으로는 작은 궤도도 내민다. 그리고 마치 전차처럼 궤도를 돌려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목적지에 도착한 이 돌은 자세를 낮추고, 잠망경 카메라만 내놓고 주변을 살피기 시작한다.
이는 무슨 공상과학 영화 속에 나오는 장비가 아니다. 러시아의 주코프스키-가가린 공군 사관학교 산하 군사 교육 과학 본부에서 사관생도들이 3년간의 연구 끝에 개발한 정찰 로봇, 이른바 ‘스파이 스톤’의 활동 모습이다. 스타워즈의 R2-D2 로봇, 원격 조종식 장난감 전차, 그리고 야전에서 너무나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돌을 합쳐 놓은 듯한 모습이다.
아직은 시제품만 존재하는 ‘스파이 스톤’이지만, 실전에서의 실용성은 꽤 높다고 평가되고 있다. 동영상과 음성 녹화가 최대 15시간 동안 가능하고, 이렇게 수집한 데이터를 최대 2km 떨어진 원격 조종사에게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는 모션 센서에 의해 작동되므로, 쓸 데 없는 데이터 녹화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녹화 시작 전 약 24시간의 휴지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개발자들에 따르면 이 로봇은 전선이 고착되고 참호를 비롯한 고정식 방어 시설이 늘어나는 저강도 분쟁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정찰 수단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양군 사이의 무인지대나, 적의 참호 속으로까지 침투해 적정을 살피고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크기와 소음이 작고, 외형도 돌과 같아 정찰기(유무인을 막론하고)보다 위장 효과도 높다. 마침 현재 러시아 국방부는 참호전 및 시가전 역량 배양에 열을 올리고 있다.
또한, 러시아는 실전에 로봇을 투입한 경험이 이미 풍부하다. 러시아군은 투척식 정찰로봇 ‘스페라’ 등을 이미 운용하고 있다. ‘스파이 스톤’의 개발에는 그러한 경험이 많이 녹아들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파이 스톤’의 단점으로는 야외에서 마주칠 수 있는 다양한 장애물을 극복하기에는 너무 작은 궤도와 비교적 짧은 전파 통달거리 등이 있다. 2km 정도의 통달거리면 적 박격포의 유효 사거리 내에 위치한다. 게다가, 적에게 발각될 경우 매우 쉽게 격파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고 실용화된다면 적에게 상당한 심리적 타격까지 안길 수 있는 장비가 될 수 있다. 돌은 자연세계에 얼마든지 존재하고, 병사들이 모든 돌이 적의 스파이 장비라고 생각하게 된다면 그만큼 주의가 분산되기 때문이다.
(2042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
2차 발사일이 잠정적으로 6월 15일로 잡혀 있는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완벽 성공'에 재도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등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이번 주에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누리호의 발사일과 시간을 확정한다. 기상 변수 등을 고려해 발사일 전후 약 1주가 예비발사 기간으로 함께 지정될 예정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우리나라 주요 산림 수종 14개의 무게를 쉽게 측정할 '입목중량표'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입목중량표는 나무의 키와 가슴높이의 굵기만 알면 누구나 쉽게 무게를 알 수 있도록 표로 제시한 것으로, 부피 단위인 재적표와 함께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산림 경영기준표다.
양자암호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TF QKD'의 실험 검증에 한국 연구진이 세계에서 두번째로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22일 한상욱 양자정보연구단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작년 겨울 'TF(Twin-field) 양자키 분배(QKD, Quantum Key Distribution)'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이달 초 양자정보학 분야의 온라인 오픈액세스 저널인 'npj Quantum Information'에 게재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석으로 방사성 물질인 세슘을 분리하는 '자성 분리 기술을 이용한 방사성 오염 토양 정화 방법'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방사성 오염 토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세슘은 지름 0.002㎜ 이하의 미세한 흙입자(점토)와 강하게 결합하는데, 점토는 표면이 음전하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