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한 현대예술의 가장 큰 변화와 특징은 창작자와 작품, 그리고 관객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개념의 예술에서는 작품과 관람자 간의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를 전제로 하지만, 60년대 이후 형성되기 시작한 현대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에서는 이러한 ‘거리’가 사라지고, 양방형 인터랙션 및 관객의 직접적 개입과 경험이 강조되기 시작한다.
일본의 디자인 집단 ‘팀랩(teamLab)’은 디지털 영상 및 프로젝션 매핑 작품을 통해 이러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신세계를 창조하고 있는 대표적인 선두 그룹으로, 2001년 도쿄 대학교 재학 중이던 공학도 이노코 토시유키(Inoko Toshiyuki, 1977~)에 의해 작은 벤처 기업으로 시작되었다.
그 후 ‘팀랩’은 과학기술을 초월하는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Ultra-Technologists)’ 그룹으로 급성장하였고, 현재 미술가, 애니메이터, 프로그래머, 수학자, 그래픽 디자이너, 엔지니어, 건축가, 조명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400여 명의 전문가들이 함께 집단적인 공동 작업을 수행하면서, 과학과 예술, 작품과 관객, 인간과 자연, 물질과 비물질, 그리고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경계를 넘나들며 새롭고 혁신적인 ‘빛의 예술’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리고 2018년 도쿄 오다이바에 ‘모리 빌딩 디지털 아트 뮤지엄: 팀랩 보더리스(MORI Building DIGITALART MUSEUM : teamLab Borderless)’가 개관했다. ‘Borderless’라는 명칭이 말해주듯이 이곳은 ‘경계 없는 미술관’으로, 관객들은 곳곳의 거대한 영상 작품과 하나가 되어 직접 만지고 체험하고 느끼고 즐기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체험형 디지털 미술관 ‘팀랩 보더리스’는 1만 제곱미터의 거대한 뮤지엄 공간에서 500여 대의 컴퓨터와 프로젝터 470여 대로 60여 점의 디지털 영상을 컨트롤하며, 경계 없는 세계(Borderless World), 운동의 숲(Athletics Forest), 미래 공원(Future Park), 램프의 숲(Forest of Lamps), 엔 티 하우스(En Tea House) 등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계 없는 세계’ 공간에서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로 웅장한 대자연을 구현하고 사람들의 탐색과 체험을 강조하며, ‘운동의 숲’에서는 신체적 운동을 통해 공간적 인식력과 창의력을 일깨우고, ‘미래 자연’ 공간은 어린이를 위한 디지털 놀이터를 제공하며, ‘램프의 숲’에서는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수백 개의 램프가 색을 바꾸는 황홀경을 제공한다.
‘팀랩 보더리스’ 공간 중 특히 ‘퓨처 랜드’는 공동적인 창조성을 콘셉트로 하는 공간으로, 어린이·청소년들의 창조와 체험을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꼬마 요정이 사는 테이블(A Table where Little People Live)’, ‘그림 수족관(Sketch Aquarium)’, ‘슬라이딩 후르츠 필드(Sliding through the Fruit Field) 등의 작품이 설치되어 있으며, 어린이·청소년들이 그린 그림들은 디지털라이징(Digitalizing) 되어 디지털 영상의 작품 속으로 들어가 결합되고 재창조되어 운동한다.
‘팀랩’의 설립자 이노코 토시유키는 “집단적인 창조야말로 우리의 근간이다. ‘팀랩’이 원하는 예술은 기술을 자랑하는 게 아니라, 가치를 전하고 느끼게 해주고 싶고, 관객은 내재된 창의성을 발견하고 즐기면 좋겠다. 우리의 작품을 통해 인류가 한층 창조적이고 지적으로 진화하기 바라며, 서로 소통하며 평화롭게 공존하기 바란다. 우리의 목표는 예술을 통해 그런 세계를 만드는 것이다.”라고 말한 바 있다.
이렇듯 ‘경계 없는 학제간 예술 그룹(Interdisciplinary Group of Artists)’으로 불리는 ‘팀랩’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각 분야 전문가들 간의 집단적인 창조의 힘으로 예술의 형식뿐만 아니라, 작품과 관객 간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도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감성인간공학을 바탕으로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예술의 긍정적 가치를 선도적으로 구현해나가고 있다.
(450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대한민국의 내일을 바꿀 발명 기술 1위로 '인공지능'(AI) 이 선정됐다. 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을 앞두고 국민이 뽑은 '대한민국 내일을 바꿀 10대 발명 기술'을 18일 발표했다. 인공지능 기술에 이어 2위는 로봇, 3위는 미래차가 차지했으며 수소(4위), 에너지(5위) 등이 뒤를 이었다.
라오스 고대 동굴서 화석 인류인 데니소바인 소녀에게서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어금니가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네안데르탈인의 사촌 격인 데니소바인은 화석이 드문데다 동남아 열대 지역 거주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호주 플린더스대학과 외신 등에 따르면 코펜하겐대학 고인류학자 파브리세 데메테르 박사 등이 참여한 국제 연구팀은 라오스 북동부 안남산맥의 석회암 동굴 '탐 은구 하오(Tam Ngu Hao) 2'에서 발굴한 어금니 화석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천식 치료제 알부테롤(albuterol)과 부데소니드(albuterol)를 병행 투여하면 천식 발작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천식 발작은 천식이 악화해 호흡이 빠르고 숨을 내쉬기 힘들게 되는 상태로 응급실 이송이나 입원이 필요하게 된다. 심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기관지 확장제인 알부테롤은 속효성(short-acting) 베타-2 항진제로 기도에 있는 베타 수용체와 결합, 평활근을 이완시켜 천식 발작을 억제한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