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소금’이라는 말은 얼마전까지 예능 프로그램에서 아주 훌륭한 게스트를 두고 쓰이던 말이다. 빛과 소금처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인데, 실제로 소금은 소중하고, 고귀하고, 꼭 필요한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할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소금은 실제로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서도 아주 중요한 물질이다. 소금 없이 살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물론 소금 섭취를 자제해야 하는 환자들은 종종 의사의 지시에 따라 중단하기도 하지만, 생리적으로 우리 몸은 소금을 필요로 한다.
그럼에도 이제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니 소금을 적게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미디어에서는 이야기 하고 있다. 실제로 소금 섭취가 몸에 얼마나 해로운지를 보여주는 연구는 수도 없이 발표되었다. 지난 3월 15일 미국심장학회 저널(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를 통해 발표된 연구도 이와 궤를 같이 한다. (원문링크)
연구의 핵심은 소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압상승과는 무관하게 혈관, 심장, 신장 기능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소금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압이 상승하고, 고혈압이 되면서 혈관과 심장 등의 기능을 떨어뜨린다는 인식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소금의 섭취로 인한 혈압 상승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에 따라 소금의 과다섭취로 혈압이 높아지는 나트륨 민감성(salt-sensitive) 체질과 그렇지 않은 나트륨 저항성(salt-resistant) 체질이 있지만, 이것은 관련이 없었다.
소금을 과다하게 섭취하면 혈관 안쪽을 둘러싼 혈관내피의 기능이 떨어진다. 혈관내피세포는 혈액의 응고, 혈소판 부착, 면역기능 등 다양한 과정에 관여하게 된다. 또한 심실비대를 가지고 올 수도 있다. 혈액을 온몸에 펌프질해서 내보내는 좌심실의 근육조직이 비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단순히 혈관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다. 뇌까지도 영향을 미쳐, 교감신경계를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만약 교감신경이 민감해지면 근육수축 증 각종 자극에 대해 필요 이상으로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의사와는 관계없이 신체기관 활동을 조절하는 교감신경계가 고장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선행된 연구와 마찬가지로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혈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건강을 생각한다면 가능한 한 ‘덜 짜게’ 먹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소금을 줄여야 할까.
소금, 두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소금 섭취를 아예 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체내 나트륨이 부족하면 체액 평형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무기력증과 현기증이 발생할 수 있다. 소금이 귀했던 과거에는 소금이 질병 예방에 활용되기도 했다.
지난 3일 요나단 얀취(Jonathan Jantsch) 레겐스부르크대학(Universitätsklinikum Erlangen)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소금이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한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세균이 감염된 부위로 나트륨이 이동해 저장된 뒤, 세균을 없애는 것이다. (원문링크)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소금 섭취가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하던 중, 상처난 피부에서 고농도 소금이 축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후, 일산화질소를 분비하여 몸에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는 대식세포를 소금에서 배양하였고 그 과정에서 살균 능력이 높아지는 것도 확인하였다.
소금 섭취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저염식을 한 쥐에 비해서 세균 감염에서 빨리 회복되었다. 소금이 몸에 나쁘다는 일반적인 상식과는 조금 다른 연구 결과이다. 물론 소금을 많이 먹는다고 해서 면역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과거부터 소금을 많이 먹고 적게 먹고가 면역력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어느정도 신빙성 있었음이 드러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지금도 현대인은 충분히 소금을 섭취하고 있다. 따라서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소금을 더 섭취한다면 오히려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에 손상 입히기도
소금은 우리 몸에 들어와서 나트륨과 염소 이온으로 분리되고 그 다음 세포 속으로 들어간다. 세포 안으로 나트륨이 들어가게 되면, 세포는 평형을 맞추기 위해서 수분을 흡수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막이 팽창하고, 근처에 있는 혈관을 압박한다. 그래서 소금 섭취가 많으면, 혈관계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입힌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 지난해 11월 14일, 학술지 ‘화학적 의사소통'(chemical Communications)를 통해 발표된 레아 팬디스시아(Leah A. Pandiscia), 레인하드 슈웨이저-스테너(Reinhard Schweitzer-Stenner) 드렉셀 대학(Drexel University, USA) 교수의 연구이다.(원문링크)
미토콘드리아는 세포가 활동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관이다. 그래서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이 생기면, 활성산소가 분비되면서 몸에 여러 질병이 발생할 수 있다. 소금 섭취를 줄여야 하는 이유를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연구이다.
인간에게 소금은 생존상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그래서 소금을 얻기 위한 노력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루어졌다. 원시시대에는 조류나 물고기를 잡아먹으면서 염분을 섭취했지만, 지금은 어디서나 쉽게 소금을 구할 수 있다. 섭취량이 자연적으로 늘게 되었다.
어떻게 소금을 섭취해야 도움이 될까. 뻔한 대답이지만 좋은 소금을 적당히 조절하여 먹어야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유아기에 소금의 함량이 높은 식품에 길들여지면, 어른이 되어서도 각종 성인병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어른만큼 아이들의 소금 섭취를 조금 더 신중하게 생각하고 판단해야 한다.
(1586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5일(이하 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달로 가는 1차 관문을 통과한 다누리는 올해 12월 31일 달 상공의 임무 궤도에 안착하기 위해 5개월간 항해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이날 오전 8시 8분 48초 미국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의 팰컨 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이화여대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완화하는 새로운 면역세포를 발견했다. 4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박성호 교수와 이화여대 오구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을 막는 신종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발견하고 세포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 미세아교세포는 원래 뇌를 비롯한 중추신경계에만 분포하면서 병원균, 죽은 세포 등을 먹어 치우는 면역 담당 세포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한국시간 5일 오전 8시 8분(미국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께 우주로 발사됐다. 다누리는 발사 40여분간에 걸쳐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을 마치고 우주공간에 놓였으며, 발사 후 초기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누리가 발사 이후 궤적 진입부터 올해 말 목표궤도 안착까지 까다로운 항행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우리나라는 달 탐사선을 보내는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바이러스는 인간뿐 아니라 박테리아도 공격한다. 실제로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ㆍ약칭 '파지')는 여러 유형이 있다. 수십억 년 동안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생존을 위한 진화적 '군비 경쟁'(arms race)을 벌여 왔다. 이 과정에서 양쪽 모두에 수많은 혁신적 진화와 반대 적응(counter-adaptation)이 일어났다.
1970년대 이후로 주춤했던 달 탐사에 다시 전 세계가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1992년 발사한 뒤 30년을 숨 가쁘게 달려 5일 첫 달 탐사선 '다누리'를 발사하면서 달 탐사 열풍에 가세했다. 미국과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과 비교하면 늦은 출발이었지만, 이번 다누리 발사를 계기로 달 탐사에 성공한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태양광 패널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임무 수행 차질이 우려됐던 미국의 목성 궤도 소행성 탐사선 '루시'가 반년여만에 문제를 해결하고 첫 지구 근접비행을 준비 중인 것으로 발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문제가 됐던 루시호의 태양광 패널은 완전하게 펼쳐진 것은 아니지만 과학 임무를 계획대로 수행할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다.
섭식장애(eating disorder)는 빠르면 9살부터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섭식장애는 거식증(anorexia nervosa)과 폭식증(bulimia nervosa)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거식증은 살찌는 것이 너무나 무서워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두려워하는 병적인 섭식장애로 자신이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고 생각한다. 먹은 뒤 인위적으로 토하는 등의 행동을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