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0만 년 전 동남아시아의 초원이 열대우림으로 바뀌면서 거대 동물을 비롯한 고인류까지 멸종됐다는 연구가 나왔다.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MPI-SHH)와 호주 그리피스대 인류 진화 센터 연구팀은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7일 자에 고대 동남아 포유류에 대한 안정 동위원소 분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초기 홍적세(Pleistocene) 때의 열대우림이 중기 홍적세 때 사바나 초원으로 바뀌고 이 초원이 말기 홍적세 때 다시 열대우림으로 뒤덮이면서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거대 동물과 호모 에렉투스는 멸종하고, 적응에 성공한 종들과 호모 사피엔스가 오늘날까지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호주 그리피스대 척추동물 고생물학자인 줄리언 루이스(Julien Louys) 부교수는 “동남아시아는 그동안 전 세계의 거대 동물 멸종 논의에서 종종 간과돼 왔다”고 지적하고, “한때 동남아시아는 지금은 모두 멸종된 거대 동물들이 번성했던, 매우 풍성한 포유류 공동체가 존재했었다”고 밝혔다.
중기 홍적세 때 동남아 사바나 초원에 거대 동물들이 서식하던 모습을 그린 상상화. 당시에는 호모 에렉투스를 비롯해 지금의 코끼리와 비슷한 스테고돈과 하이에나, 아시아 코뿔소와 물소 등 거대 동물들이 번성했다. © Peter Schouten
포유류 이빨 동위원소 분석해 식생과 기후 재구성
연구팀은 현대의 포유류와 화석화된 옛 포유류 이빨에 대한 안정 동위원소 기록을 조사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과거의 동물들이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풀이나 나뭇잎을 먹었는지의 여부와 이 동물들이 살았던 당시의 기후 조건을 재구성했다.
논문 교신저자 중 한 사람인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사연구소 패트릭 로버츠(Patrick Roberts) 박사는 “이런 종류의 분석은 연구 대상 동물 종들이 주로 먹었던 먹이와 서식 환경에 대한 독자적이고 비교할 수 없는 일종의 스냅 사진을 제시해 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난 260만 년 동안의 홍적세 화석 발굴지의 동위원소 자료를 수집하는 한편, 전에는 한 번도 시도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종을 대표하는 동남아시아 현대 포유류에 대한 250개의 새로운 측정치를 추가했다.
동남아시아 고유 종 포유류의 두개골 모음. © Julien Louys
열대우림 한때 초지로 바뀌었다 다시 열대우림으로
연구 결과 이들은 홍적세 초기에 미얀마에서 인도네시아까지 열대우림이 번성했으나, 점차 초지(grassland)가 더 많은 환경으로 바뀌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변화는 약 100만 년 전에 정점에 이르렀고, 지금의 코끼리 비슷한 스테고돈(stegodon) 같은 거대 초식 동물군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됐다. 아울러 이로 인해 현생인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 인류족(hominin)들이 번성하는 계기가 됐다는 것이다.
그러나 생태계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일부 종에게는 유익했으나, 지구에 생존했던 가장 큰 유인원인 기간토피테쿠스(Gigantopithecus) 같은 다른 동물들의 멸종을 초래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듯이, 이런 변화는 영구적이지 않았다. 약 10만 년 전 열대우림이 다시 우거지기 시작했고, 오늘날 이 지역 생태계 스타인 전형적인 열대우림 동물군이 등장하게 됐다.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수많은 거대 동물군이 사라진 것은 이와 같이 열대우림이 들어서고 대신 사바나 초원이 없어진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찬가지로, 한때 이 지역에 살았던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와 같은 고인류도 숲이 재확장되는 환경에 적응할 수가 없었다고 연구팀은 보고 있다.
오늘날의 동남아시아 열대우림 모습. 도시 확장과 삼림 벌채, 동물 남획 등으로 거대 동물을 비롯한 많은 동물 종들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Julien Louys
호모 사피엔스만이 열대우림에 적응
로버츠 박사는 “열대우림 환경을 성공적으로 이용하고 번성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가졌을 것으로 보이는 종은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뿐이었다”고 말하고, “다른 모든 고인류종은 명백하게 이런 역동적이고 극한적인 환경에 적응할 수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세계의 열대지역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인간들의 활동으로 인해 이제 열대우림 거대 동물들이 가장 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아울러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다른 많은 종들도 심각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루이스 교수는 “동남아시아의 포유류들은 지난 수천 년 동안 열대우림 확장으로 이익을 얻는 게 아니라, 인간의 활동으로 전례 없는 위협을 받고 있다”고 지적하고, “인간은 도시 확장과 삼림 벌채 및 과도한 사냥 등을 통해 광대한 열대우림을 황폐화시킴으로써 마지막 남은 몇몇 거대 동물군마저 잃을 위기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163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