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에 멸종한 고대 인류가 만든 30만년 전의 정교한 창 8자루가 독일에서 발견돼 인류 최고(最古)의 무기 기록을 새로 쓰게 됐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7일 보도했다.
지난 2008년부터 독일 중북부 쇠닝겐 지역의 노천 갈탄광에서 발굴 작업을 해 온 튀빙겐대학 고고학 연구진은 각종 동물 뼈와 함께 지극히 잘 보존된 창 등 석기들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 석기 유물들이 매우 정교해 이를 만들고 사냥에 이용한 사람들이 환경에 잘 적응해 고도의 기술을 가졌으며 현생인류와 마찬가지로 추상적인 사고와 복잡한 계획 능력을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들은 발굴 현장에서 사람의 유골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런 무기를 제작한 사람이 하이델베르크인(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갈탄광에는 코끼리와 코뿔소, 말, 사자 등 대형 포유동물들의 뼈와 함께 양서류, 파충류, 조개류, 심지어 딱정벌레류까지 잘 보존돼 있었고 식물로는 소나무와 전나무, 오리나무 등이 솔방울과 함께 완벽한 상태로 보존돼 있었다.
이밖에 나뭇잎과 꽃가루, 씨앗 등 주변 식물들도 잘 보존된 상태로 발굴됐다. 이 지역은 약 30년 전 갈탄 채굴이 시작되기 전까지 수분이 많은 토양 밑에 묻혀 있었던 곳인데 학자들은 여러 분야 학문의 기법을 응용해 연중 쉬지 않고 작업을 계속하지만 매일 무언가 새로운 것이 발견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년간 이곳에서 발굴된 유물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사람의 거주지 추정 지역에 살았던 물소와 거의 완벽하게 보존된 오로크스(큰 고대 야생 소), 석기 유물과 뼈, 나무 등이 밀집한 몇 개 지역 등이다.
이런 유물들이 계속 발굴되자 학자들은 한 곳에 그치지 않고 쇠닝겐 지역 전체를 고고학뿐 아니라 제4기(약 170만년 전~현재) 생태학과 기후 연구의 흥미있는 참고 지역으로 연구하고 있다.
쇠닝겐 지역에는 오는 2013년 연구센터 겸 박물관인 `팔레온’이 개관해 진행중인 작업에 관해 일반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60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암에 걸렸거나 걸렸던 사람이 하루 30분을 걷거나 요가를 하면 신체의 피로도가 줄어 암세포의 확산이나 암의 재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신부가 대기오염물질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뇌전증이 생길 위험이 최대 3배 이상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박규희(소아청소년과)·최윤지(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2016∼2018년)에 등록된 산모 84만3천134명을 대상으로 임신 중 대기오염물질 노출이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3일 밝혔다. 이 결과 임신 기간에 대기오염물질과 중금속 노출이 많았던 임신부일수록 아이한테 자폐스펙트럼과 뇌전증(간질)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를 누그러뜨릴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지 않고 대기질을 개선하지 않으면 지표 근처에 고농도 오존이 발생할 수 있는 날이 1개월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기상청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고농도 오존 발생일 전망을 7일 공개했다.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기상조건이 갖춰지는 날은 현재(53.3±24.6일)보다 34.2±9.5일 많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폐경 때 나타나는 갱년기 장애 치료를 위해 경구용 에스트로겐을 사용하면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