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하 특구재단)이 손잡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외국인 투자지역 활성화에 나선다.
양 기관은 11일 과학벨트 거점지구 육성·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단지형으로 관리될 과학벨트 내 외국인 투자지역에 디지털·그린 뉴딜 관련 첨단기업 투자를 유치할 방침이다. 고부가가치 첨단기술기업 육성 등과 관련한 각종 사업·지원 정책도 발굴한다.
단지형 외국인 투자지역은 외국인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저렴한 임대료로 부지를 제공하도록 시·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곳이다.
시는 과학벨트 둔곡지구 내 8만3566㎡ 부지에 국비 231억원과 시비 154억원 등 총 385억원을 들여 단지형 외국인 투자지역을 조성할 계획이다.
외국인 투자 기업은 12개 내외로, 이들 기업은 장기임대 형태로 부지를 받는다.
시는 연료전지, 의료용 의약품, 바이오, 반도체 분야 등 외국인 투자 기업 유치로 4800만 달러(약 570억원) 이상의 외국인 직접투자와 향후 5년간 생산유발효과 2075억원, 부가가치유발 749억원, 고용 1300명 등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