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으로 인한 대기 오염이 심해지면 꽃가루받이를 하는 곤충들이 꽃향기를 잘 맡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오존에 의해 향기가 변하면 박각시과 나방(tobacco hawkmoth, 학명 : Manduca sexta)들은 평소 좋아하던 담배꽃의 향기에 대한 매력을 상실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꽃가루받이는 주로 곤충들에 의해 수행되는 생태계의 중요한 작용이다. 꽃은 향기를 이용해 곤충을 유인하는데, 거기에는 꽃가루받이 곤충들이 선천적으로 선호하는 화학적 신호가 담겨 있다. 이는 수백만 년에 걸쳐 이루어진 꽃과 곤충 사이의 공진화 관계의 결과물이다.
박각시과 나방이 담배꽃에 앉아 꿀을 빨아먹고 있는 모습. © Anna Schroll
하지만 최근까지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이 같은 생물 간의 화학적 소통을 촉진하는 자연 향기 분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독일 막스플랑크 화학생태연구소와 미국 버지니아대학의 공동 연구진은 공기 중의 오존 오염이 꽃가루받이 곤충인 박각시과 나방이 선호하는 꽃의 향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오존은 인간에게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반응성이 매우 높은 화학물질이자 오염물질이다.
연구진이 박각시과 나방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이 나방들이 꽃향기에 이끌리기도 하지만 시각을 이용해 꽃을 찾기도 하기 때문이다. 즉, 후각을 사용할 수 없으면 시각이 대체할 수 있는지 실험하기에 적합한 모델인 셈이다.
이번 연구를 이끈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마르쿠스 크나덴 박사는 “박각시과 나방을 유인하는 꽃은 특정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밝은 흰색으로 인해 시각적으로 눈에 띄기 쉽다”고 말했다.
오존 농도 높으면 담배꽃 찾아가지 않아
연구진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오존 함량의 증감에 따른 꽃향기의 정확한 성분과 개별 향기 성분의 농도를 파악했다. 또한 꽃향기에 영향을 주는 오존 정도를 알기 위해 더운 날에 박각시과 나방의 자연 서식지에서 측정할 수 있는 오존 농도를 이용했다.
그 후 나방이 원래의 꽃 냄새와 오존에 오염된 꽃 냄새를 모두 맡도록 하면서 풍동 장치로 나방의 반응을 시험했다. 그 결과 오존 농도가 올라가면 나방들이 담배꽃 냄새에 대한 선천적인 매력을 완전히 상실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럼 나방들은 과연 오존 때문에 식욕을 상실한 것일까 아니면 오존으로 인해 꽃향기를 맡지 못한 것일까.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박각시과 나방들에게 설탕물을 주면서 오존에 오염된 꽃향기를 맡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식욕을 상실한 것이 아니라면 오염된 꽃향기라도 그것을 음식으로 받아들이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나방들은 오존으로 오염된 꽃향기라도 설탕물이 있으면 잘 찾아가 식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지어 꽃이 아니라 대롱 형태여도 설탕물만 있다면 오존의 오염 여부에 상관없이 주둥이를 내밀었다.
이에 대해 공동 저자로 참여한 버지니아대학의 브린 쿡 박사는 “우리가 박각시과 나방에서 발견한 사실은 곤충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학습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것은 이 같은 나방들의 행동 변화가 진화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급격히 증가하는 곤충 사망률
이번 연구는 곤충들이 대기오염으로 변질된 꽃향기라도 학습을 통해 재빨리 먹이를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하지만 대기오염은 여전히 식물과 꽃가루받이 곤충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곤충들이 대기오염으로 처음부터 아예 꽃을 찾지 못하게 되면 그 같은 학습조차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곤충들의 경우 박각시과 나방들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냄새에 대한 학습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곤충 페로몬 관련 전문 국제학술지인 ‘화학생태학회지((Journal of Chemical Ecology)’ 2020년 9월 호에 게재됐다.
브린 쿡 박사는 “우리의 연구는 이제 시작점에 불과하다”며 “현장 연구를 통해 앞으로 어떤 꽃과 곤충이 어떤 오염물질에 대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으며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혀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는 자연 생태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지만, 우리는 여전히 이 같은 변화가 식물과 곤충 간의 화학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한다. 사실 대기오염은 꽃향기뿐만 아니라 암컷 곤충들이 수컷을 유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성 페로몬도 변화시킨다.
최근 들어 곤충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전 세계의 과학자들은 그 원인을 밝혀내기 위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289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