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과학자들이 창이 5호가 달에서 가져온 암석 표본을 분석한 결과, 달이 지금까지 생각해 왔던 것과는 다른 열적·화학적 진화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밝혀졌다.
달 표면에서 채취한 현무암의 일종인 이 화산암 표본은 직접 연대를 측정한 것 가운데 가장 최근의 것으로, 약 20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현무암을 분석하면 달의 구성과 수분 함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 수 있으며, 이는 달의 지질학적 및 지화학적 진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 19일 자에 세 편의 논문으로 발표됐다.
발사된 뒤 CZ-5 로켓을 분리하는 중국의 창이5호 달 탐사선 © WikiCommons / China News Service
창이 5호가 가져온 달 표본 분석, 3편의 논문으로 발표
지난 해 11월 23일 중국 하이난 섬 웬창 우주기지에서 발사된 무인 달 탐사선 창이5호(嫦娥五号)는 12월 17일 약 1.73kg의 달 물질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했다. 이는 미국 아폴로 계획과 소련의 루나 달 탐사 임무를 통해 달 물질을 지구로 가져온 지 40여 년 만에 이뤄진 세 번째 성과다.
창이5호의 달 착륙 지점은 조성 연대가 가장 ‘젊은’ 어두운(mare) 현무암 지대 중 한 곳으로, 화산 폭발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 화산암들을 분석하면 여기에 기록된 달의 열적(thermal), 화학적 진화 역사를 알 수 있다.
이전의 달 표본에 대한 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결과는 대부분의 달 화산 활동이 약 29억~28억 년 전에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었다.
행성 표면의 나이를 계산하는 다른 방법인 분화구-계산 연대(crater-counting chronology) 측정으로는 30억~10억 년 전 사이에 달의 화산 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달의 화산 활동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랫동안 지속됐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보정(calibration)을 해볼 수 있는 회수된 표본이 없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달 ‘폭풍의 바다’ 서안에서 지각 활동이 있었을 때를 상상해 그린 그림 © NASA/Colorado School of Mines/MIT/JPL/GSFC
“달의 화산 활동, 8억~9억 년 더 오래 지속돼”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과학원 지리학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IGG) 리 샹화(LI Xianhua) 박사팀은 이번에 가져온 달 표본 분석을 통해 이 표본이 20억 3000만 년 전 것이며, 따라서 달의 화산 활동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8억~9억 년 더 오래 지속됐고, 이는 달의 내부가 약 20억 년 전에도 여전히 진화하고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리 박사팀이 추정한 현무암의 연대는 정확도 높게 측정됐고, 같은 지역에서 나온 표본에 대한 최근의 분석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기록됐다.
리 박사는 “이번 발견은 달의 내부가 계속 진화하고 있던 시간을 약 40억 년 전에서 20억 년 전으로 앞당겼다”고 밝혔다. 달 현무암의 이 새로운 연대는 또한 분화구-계산 연대 모델을 잘 보정함으로써 태양계 안 다른 행성 표면의 나이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21년 9월 중국 에어쇼에서 전시된, 창이5호가 달에서 채취해 온 토양 표본 © WikiCommons / China News Service
“달의 열적 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 탐구에 기여”
‘네이처’ 지의 두 번째 논문에서는 IGG의 후 센(HU Sen) 박사팀이 현무암 표본의 물 조성을 분석해 발표했다. 달 내부의 물 분포는 화산 활동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됐는지와 함께, 맨틀 형성과 화산 활동을 일으킨 과정에 대한 단서를 포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창이 5호가 가져온 20억 년 된 현무암의 모 마그마(parent magma)가 40억~28억 년 전에 분출된 더 오래된 화산 지역의 현무암 표본들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더 젊은 현무암의 모 마그마가 장기간 지속된 화산 활동 중에 탈수됐고, 이는 달의 화산 활동이 적어도 20억 년 전까지 지속됐다는 개념과 일치한다고 제안했다.
리 박사와 후 박사팀 그리고 양 웨이(YANG Wei) 박사팀은 또한 ‘젊은’ 현무암의 원천이 예상보다 낮은 수준의 열 생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발견은 달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천천히 냉각돼 맨틀 역학에 영향을 미쳤음을 가리킨다. 양 박사팀의 이런 연구 결과는 달의 열적 진화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탐구하는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324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사 풀림 위험을 감지하거나 내·외부 물리적 변형 요인을 구분할 수 있는 지능형 금속 부품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공학과 정임두 교수 연구팀은 3D 프린팅 적층제조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인지 가능한 스테인리스 금속 부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인공지능 기술과 증강현실 융합기술로 금속 부품 단위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했다.
원자력발전소의 배기가스나 산업체·병원 등에서 유출될 수 있는 극위험물질 '방사성 요오드'를 고습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영규·홍도영 박사 연구팀은 현재 쓰이는 탄소계 흡착제보다 280배 높은 방사성 요오드 제거 성능을 보이는 다공성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절단된 신경을 수술용 봉합실 없이 홍합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용해 이어붙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정호균 박사 연구팀과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과 주계일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성형외과 전영준 교수·이종원 교수·재활의학과 이종인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의료용 하이드로젤 접착제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김용현 교수 연구팀이 수천 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난제 가운데 하나인 마찰전기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물질을 마찰시킬 때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전하가 이동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마찰전기의 작동원리를 찾아냈다. 마찰전기와 관련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현상이 마찰열과 전기적 성질을 띠는 대전현상인데, 연구팀은 마찰전기를 '마찰열에 따른 대전현상'으로 설명하기 위해 미시적 열전효과(열과 전기의 상관 현상)에 주목했다.
한국의 첫 지구 관측용 민간 위성인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 그룹의 '세종1호'(Sejong-1)가 한국 시간 26일 오전에 궤도에 안착하는 데 성공했다. 한컴에 따르면 세종1호는 발사 후 예정된 궤도에 안착했으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11분에 지상국과의 교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궤도 진입의 성공이 확인됐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