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통화 내용을 문자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스타트업이 16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동안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는 서비스는 많이 선을 보였지만, 통화하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는 이번이 처음이다.
통화 내용을 문자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의 가치가 이 정도인데, 하물며 생각을 문자로 표현해 주는 서비스가 상용화된다면 얼마나 많은 투자금이 몰리게 될까. 아마도 돈으로 환산하기 어려울 정도의 가치를 인정받게 될 것이다.
환자의 의사표현을 문자로 해독하는 기술인 BCI 시스템 @ Shenoy lab & Erika Woodrum
그런데 최근 들어 미국의 과학자들이 사지가 마비된 환자의 의사표현을 문자로 해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일종의 뇌 임플란트인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거짓말탐지기 같은 장비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상대방이 머릿속에서 생각하는 것을 컴퓨터가 바로 해독하면 되기 때문이다.
사지마비 환자의 의사표현을 문자로 해독
사지가 마비된 환자의 의사표현을 문자로 해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곳은 미 캘리포니아 대 소속의 과학자들이다. 이들은 사고로 사지가 마비된 30대 환자를 대상으로 말하지 않아도 어떤 생각을 하는지를 바로 파악할 수 있는 ‘BCI(Brain Computer Interface)’ 시스템을 개발했다.
BCI는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표현하기 어려운 사지마비 환자가 스스로 의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뇌에 전극을 삽입한 채 특정한 철자를 떠올리면 전기적 신호를 감지해서 컴퓨터가 인식하도록 만드는 시스템이다.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이 워낙 어려운 개념이라서 지금도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BCI의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50여 년 전인 지난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역사가 깊다. 아직도 초기 단계이기는 하지만, 엄청난 잠재력을 지닌 기술로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생각하는 바를 실시간으로 문자로 표현하거나 명령을 내릴 수 있으면, 사지마비 환자나 말을 하지 못하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각만으로도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BCI의 수준은 느린 속도로 간신히 철자를 타이핑을 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었다.
사지마비 환자의 생각을 하나의 문장으로 나타내주는 BCI 시스템이 개발됐다 @ UCSF
그런데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개발한 BCI 시스템은 사지마비 환자의 생각을 철자로 타이핑하는 정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하는 수준으로까지 향상시켰다. 예를 들어 과거의 BCI가 ‘좋다’나 ‘슬프다’라는 단어 정도를 해독했다면,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개발한 BCI는 ‘나는 지금 매우 슬프다’라는 문장을 해독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구진은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이 새로운 BCI 시스템을 삽입한 후, 환자가 수개월에 걸쳐서 생활 속 단어를 떠올리도록 훈련을 시켰다. 그리고 이를 컴퓨터 알고리즘이 학습하도록 시스템을 개발했다.
그 결과 컴퓨터는 환자가 떠올린 50개 정도의 단어를 문장으로 바꿔주는 수준으로까지 진화했다. 가령 현재의 감정을 나타낼 때 떠올리는 단어가 좋다(good)이면, 컴퓨터는 이를 인지하여 30초 내외로 “I am very good”이라는 문장을 문자로 표현하는 것이다.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밝힌 BCI의 해독 능력은 분당 최대 18단어 정도이고, 정확도는 75% 정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서는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지만, 조만간 개선되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생각을 문장으로 해독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할 것이라고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
뉴런 신호를 포착하는 BCI 시스템도 개발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스탠포드대 연구진도 캘리포니아대와 유사한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나 화제가 되고 있다. 이들 연구진 역시 치아용 임플란트처럼 뇌에 심어 뉴런(neuron) 신호를 포착하는 BCI 시스템을 개발했다.
뉴런은 신경세포의 하나다.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이는 정보는 뇌로 전달되고, 이를 뇌에서 판단하여 명령을 내리게 되는데 이런 일련의 과정은 뉴런을 통해 일어난다.
연구진은 뉴런 신호를 포착하는 BCI 시스템을 척추 손상으로 사지가 마비된 65세의 남성 환자 뇌에 삽입했다. BCI가 삽입된 부위는 손과 팔의 움직임을 맡는 뇌의 한 부분이었다. 환자는 실제로 손과 팔을 움직일 수는 없지만, 뇌의 영역만큼은 정상이었다.
환자는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모두 26개의 알파벳을 머릿속에서 떠올렸다. 그리고 그 중에서 일부 알파벳을 머릿속에서 생각했는데, 그 신호를 해독한 컴퓨터가 이를 즉시 알파벳으로 바꿔줬다. 그 결과 컴퓨터는 분당 90개의 알파벳을 타이핑 할 수 있었다.
뉴런 신호를 포착하여 문장으로 전환해 주는 BCI 시스템 @ braingate.org
한편 스탠포드대의 또 다른 연구진은 브라운대의 과학자들과 함께 ‘브레인게이트(brain gate) 컨소시엄’이라는 공동 연구진을 구성하여 무선 BCI 시스템 개발에 도전했다.
이들 공동 연구진은 척수 손상으로 사지가 마비된 35세 및 63세의 남성 환자의 머리에 송신 기능이 탑재된 무선 BCI 시스템, 즉 브레인게이트를 장착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유선으로 된 시스템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그 결과 2명의 환자들은 모두 무선 송신기가 장착된 브레인게이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하고, 작동하는데도 성공했다. 유선 시스템과 거의 차이 없이 문자를 전송했으며 가상키보드를 사용한 타이핑도 정확하게 실행했다.
특히 놀라운 점은 무선 시스템이다 보니 환자들은 BCI 연구가 이루어지는 대학교의 실험실이 아니라 자신들의 집에서 시스템을 사용하여 문자를 전송하고, 데이터를 입력했다는 점이다.
(196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유방암은 흔한 암 유형 가운데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는 사람이 약 230만 명에 달한다. 유방암도 초기에 찾아내면 대체로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다른 부위로 전이된 상태에서 발견되면 훨씬 더 치료하기 어렵다. 암의 전이는, 원발 암에서 떨어져 나온 '순환 종양 세포' 클러스터(CTCs)가 혈류를 타고 다른 기관으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화성 탐사 후발주자인 중국이 미국보다 2년 앞서 화성 암석시료를 지구로 가져올 것이라고 중국 우주탐사 관계자가 밝혔다. UPI 통신과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 등에 따르면 중국의 화성탐사 미션 '톈원(天問)1'을 설계한 쑨쯔어저우 연구원은 지난 20일 난징대학 개교 120주년 세미나에 참석해 우주선 두 대를 활용해 화성 암석 시료를 지구로 가져오는 '톈원3호'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가 주류시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미래혁신기술 15개를 도출했다. 선정된 기술은 완전자율 비행체·주행차, 맞춤형 백신, 수소에너지, 초개인화된 인공지능(AI), 생체칩, 복합재난 대응시스템, 양자암호통신기술 등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3일 제40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안 등을 심의·보고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이 100㎚(나노미터) 두께 단일 소자에서 인간 뇌의 뉴런과 시냅스를 동시에 모사하는 뉴로모픽 메모리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뉴런은 신경계를 이루는 기본적인 단위세포이고, 시냅스는 뉴런 간 접합 부위를 뜻한다. 1천억개 뉴런과 100조개 시냅스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인간 뇌는 그 기능과 구조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외부 환경에 따라서 유연하게 변한다.
올해 하반기부터 자율주행차 실증 구간이 기존 7개 지구에서 14개 지구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통해 서울 강남과 청계천, 강원도 강릉 등 7개 신규지구 선정과 광주광역시 등 기존 3개 지구 확장에 대한 평가를 마쳤다면서 24일에 시범운행지구를 확정·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숨소리 빼곤 다 거짓말'이라는 비유적 표현이 있는데, 인간이 내쉬는 날숨도 개인마다 달라 지문이나 홍채 등처럼 생체인증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규슈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재료화학공학연구소 과학자들이 도쿄대학과 함께 날숨에 섞여 있는 화합물을 분석해 개인을 식별, 인증할 수 있는 인공코 시스템을 개발한 결과를 과학 저널 '케미컬 커뮤니케이션스'(Chemical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연조직 육종(soft-tissue sarcoma)은 근육, 결합조직, 지방, 혈관, 신경, 힘줄, 관절 활막(joint lining) 등에 생기는 암이다. 신체 부위별로 보면 팔다리, 복강 후벽, 내장, 체강, 두경부 순으로 자주 발생한다. 희소 암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미국의 경우 한 해 5천 명 넘는 환자가 연조직 육종으로 사망한다. 특히 활막 육종은 폐로 많이 전이해 예후가 좋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