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지에 발표된 연구를 홍보하는 트윗 ©트위터
박쥐와 고래를 포함한 몇몇 포유류는 초음파 신호를 내보내고 이것이 근처 물체에 부딪혀 다시 돌아오는 것을 감지해 주변 물체의 형태나 거리를 파악한다. 밤이나 어두운 바닷속과 같이 빛이 충분치 않아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환경에서 눈을 대신해 주변 환경을 살필 수 있는 이들의 생존 방식이다. 이는 ‘반향 위치 측정’ 또는 ‘에콜로케이션(echolocation)’이라고도 불린다. 심지어는 시력을 잃은 사람 중에서도 이 같은 능력이 보고된 바가 있다.
최근 ‘사이언스’에 발표된 논문은 나무 쥐의 일종인 soft-furred tree mouse(Typhlomys chapensis)를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같은 에콜로케이션 능력은 귀 뼈의 형태와 청력과 관련된 유전자들에 변화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어두운 환경에 사는 다양한 포유류들에게서 ‘수렴 진화(convergence evolution)’의 형태로 나타난다고 밝혔다. 서로 계통이 다른 종들이 비슷한 환경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응했다는 의미다.
나무 쥐들은 에콜로케이션으로 적응했을까?
연구에서 분석된 soft-furred tree mouse는 길을 찾을 때 초음파를 내고, 시력이 거의 없어 에콜로케이션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추측되어 오던 종이였다. 그러나 아직 증거가 확인된 바 없었다. 같은 속(genus)에 속한 몇몇 종들도 이들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어쩌면 이 속에 속한 종들 모두에게 에콜로케이션 능력이 있을 것으로 제시된 바 있기도 하다.
연구진은 이를 연구하기 위해, T. chapensis와 함께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할 것으로 추측되는 다른 세 종(T. cinereus, T. daloushanensis, T. nanus)의 야생 soft-furred tree mice를 2017년에서 2019년 사이 중국에서 포획했다. 이들에 대해 특수 마이크를 이용해 소리를 녹음하는 한편, 각 개체들의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한 마리씩 닫힌 우리에 넣은 채로 그냥 돌아다니는 움직임과 우리 안에 구조물을 넣고 그 주위를 다니는 움직임을 카메라와 녹음기로 함께 기록했다.
또한, 조직학적 관찰을 위해 이들 종 일부의 후두(larynx) 부위를 고정시켜 일반 실험실 쥐와 비교하고, 이들의 근육과 간 조직 등에서 DNA를 추출해 유전체(genome) 시퀀싱을 해 분석했다. 이 쥐들이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하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그와 연관된 행동학적, 형태학적, 유전체학적, 그리고 그 분자생물학 수준의 기능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위키커먼스
초음파를 발산하는 양상과 형태학적 구조가 서로 유사해
분석 결과, 먼저 연구진은 이 네 종의 쥐가 모두 초음파를 발산하며, 그 광대역과 최고 주파수 등이 종마다 달랐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쥐들이 열린 공간에서 발산하는 초음파의 양상과 구조물이 있는 공간에서 길을 찾아 움직일 때 발산하는 초음파의 양상 사이에서도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구조물이 있는 공간에서 길을 찾을 때 이들의 초음파 양상은 더 복잡해지고 빈도가 높아졌다. 흔히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하는 다른 육지동물들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실험 방식을 사용해도 결과는 같았다. 대조군인 실험실의 쥐들과 확연히 대비되는 결과로, 이 나무 쥐들이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하도록 진화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한편, 이들의 후두부에 있는 갑상연골을 분석한 결과, 이들에게는 실험실의 집쥐와는 달리 돌출된 부위가 모두에게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전 연구들에서 초음파를 내는 설치류들에게서 발견한 것과 같은 구조였다. 이것은 에콜로케이션이 수렴 진화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증거인데, 이를 다시 유전자 수준에서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나무 쥐들의 유전체 정보를 17종의 다른 포유류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이 쥐들에게서 특히 청력과 관련된 유전자에 다른 유전자들에 비해 공통적인 변이들이 더 많이 일어났음을 확인하고, 청력과 관련된 유전자에 생긴 변이가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다른 종들에 비해 이 쥐들에게 더 많이 일어났음을 확인했다.
유전학적 변이도 수렴 진화를 암시해
이 같은 유전적 변이는 SLC26A5, PCDH15, OTOF와 같은 유전자상에 나타났는데, 특히, SLC26A5은 이전의 연구에서 작은 박쥐류(microbats)와 이빨고래(toothed whales) 등에서 공통으로 유전 변이가 확인된 유전자이기도 했다.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나무 쥐들에게서 확인한 이 유전자상의 변이가 실제로 기능상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계통분류학적으로 서로 먼 동물들이 각자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으로 에콜로케이션을 사용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이들에게 매우 유사한 유전학적, 형태학적, 행동학적 변화가 일어났음을 확인했다. 자연에서 같은 환경압이 복잡한 적응 기작을 여러 종에 걸쳐 반복으로 일으킨다는 것은 흥미진진한 일이다.
(187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붉은 행성'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 흔적을 확인하기 위해 로버가 활동 중이지만 이를 찾아내는 것이 예상보다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로버들은 약 5㎝를 드릴로 뚫고 토양과 암석 시료를 채취하는데, 화성 표면에 내리쬐는 우주선(線)으로 고대 생명체 흔적이 있었다고 해도 모두 분해돼 적어도 2m 이상 파고들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의 알렉산더 파블로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화성 환경 조건을 만들어 고대 생명체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아미노산의 분해를 실험한 결과를 과학저널 '우주생물학'(Astrobiology)에 발표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억제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상 오르면 절정을 찍고 다시 떨어진다고 해도 이후에도 수십년에 걸쳐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지구촌이 합의한 기온 상승 억제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해도 중간 과정에서 이를 넘어서면 파괴적 영향이 이어지는 만큼 일시적으로라도 이를 넘어서지 않도록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과학종합캠프인 '제1회 청소년과학대장정'에 참가할 중학생 100명을 28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모집한다고 27일 밝혔다. 과학대장정은 우주·항공 분야와 기후·에너지 분야 등 2개 주제로 진행되며, 학생들은 8월 9일부터 13일까지 4박 5일간 전국 출연연, 대학, 기업, 과학관, 공공기관 등을 탐방한다.
전남대학교는 허민 교수(지구환경과학부·한국공룡연구센터장)연구팀이 익룡의 군집 생활을 증명해 주는 발자국 화석을 세계 최초로 발굴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최근 중생대 백악기에 만들어진 전남 화순군 서유리 공룡 화석지에서 2∼6㎝ 크기의 익룡 발자국 350여개가 무더기로 남아있는 화석들을 발견했다. 발견 당시 익룡 발자국들은 거의 빈틈이 없을 정도로 빽빽하게 밀집돼 있으며, 앞·뒷발이 선명하게 보일 만큼 보존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북서쪽으로 약 40㎞ 떨어진 '스테르크폰테인(Sterkfontein) 동굴'은 인류의 공통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屬) 화석이 가장 많이 발굴돼 '인류의 요람'으로 알려져 있다. 1936년 첫 발굴이후 '미시즈 플레스'(Mrs. Ples)와 '리틀 풋'(Little Foot) 등 인류사 연구에 중요한 단서가 된 화석들이 잇달아 나왔으며 199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잉여 영양분을 세포 안에 축적해 살이 찌게 하는 '백색 지방세포'를 영양분을 태워 없애는 '갈색 지방세포'로 바꾸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고명곤 교수팀이 전북대 안정은 교수팀과 공동으로 TET(Ten-eleven translocation) 단백질을 억제하면 백색 지방세포가 갈색 지방세포화 되고, 기존 갈색 지방세포는 더 활성화돼 열량 소비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6일 밝혔다.
'유유상종'(類類相從)이라는 말처럼 몸에서 나는 냄새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알아보고 친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과학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친구를 맺은 사람들이 낯선 사람들보다 체취가 비슷할 가능성이 높으며, 냄새 판별 기기인 전자코(eNose)를 통해 체취를 확인하면 서로 낯선 두 사람이 친구가 될 수 있는지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케미가 맞는다'라는 말을 많이 해왔는데 실제로 후각 차원에서 화학(chemistry)이 작용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