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2013년 국내에서 개발한 ‘도담쌀’이 비만·당뇨 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도담쌀은 국립식량과학원이 2013년 개발한 쌀 품종으로, 저항전분 함량이 일반 쌀보다 10배 이상 높다.
농진청은 연구를 통해 도담쌀의 전분이 일반 쌀과는 다른 구조의 ‘C타입 저항전분’으로 혈당지수가 낮은 건강소재임을 밝혀냈다.
연구팀이 당뇨 쥐에 5주간 도담쌀 사료를 먹였더니 지방세포의 크기와 유리지방산 농도가 감소했다. 또 체지방을 분해하는 미생물군 비율이 증가하고, 비만을 유발하는 장내 미생물이 감소했다.
농진청은 “도담쌀은 쌀의 새로운 용도 창출과 산업화를 가능하게 한 성공 사례”라며 “앞으로 기능성 쌀의 효능을 밝히는 연구에 매진해 쌀이 건강 소재 원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38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