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더 이상 인구가 늘지 않는 ‘인구 절벽’에 다가서고 있으나, 세계 인구는 10여 년마다 10억 명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문제는 기후 변화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이렇게 늘어나는 인구를 먹여 살릴 식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 세계 전문가들은 인류와 가축의 식량 공급을 위협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CSHL) 연구팀은 그 해결책으로 차세대 농업혁명을 이룩할 수 있는 기존의 지식과 도구를 새롭게 환기시켰다.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연구원이기도 한 자크 리프먼(Zach Lippman) CSHL 교수는 최근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식물 발달 전문가인 유발 에쉐드(Yuval Eshed) 박사와 팀을 이뤄 식물 과학과 농업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상황을 요약해 발표했다.
50년간의 농업혁명 사례 분석
이들은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게재된 리뷰(Revolutions in agriculture chart a course for targeted breeding of old and new crops, 9월 5일)에서 지난 50년간의 생물학적 연구 사례를 인용해 과거 농업혁명의 불을 지핀 주요 유전적 돌연변이와 변형 결과를 부각시켰다.
여기에는 식물의 개화 신호를 조절해 수확량을 조정하고, 더 많은 비료와 다른 기후 상황도 견딜 수 있는 식물을 만들어내는 한편, 성장을 향상시키고 질병에 저항성을 보이는 하이브리드 종자 도입 등이 포함돼 있다.
이 같은 유익한 변화는 처음에는 우연히 발견되었으나, 현대의 유전체학을 통해 대부분의 이런 변화가 두 가지 핵심적인 호르몬 시스템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나는 개화를 조절하는 플로리겐(Florigen)이며, 다른 하나는 식물 줄기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베렐린(Gibberrellin)이 그것이다.
연구팀은 현대에 이르러 유전자 편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음의 농업혁명을 위해 예전처럼 우연한 발견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고 제안했다.
그 대신, 이런 핵심 시스템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도입함으로써 오늘날 마주하는 많은 도전들을 극복할 수 있는 준비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식물 줄기 높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베렐린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이전에는 밀의 줄기가 너무 높게 자라거나, 줄기가 무거운 낟알을 지탱하지 못해 꺾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 wikimedia / Akshay.paramatmuni1987
식물 키 줄이기와 개화력 혁명
연구팀은 요점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녹색 혁명(Green Revolution)과 같은 농업사의 주요 순간들에 중점을 둔 연구들을 검토했다.
1960년대 이전에는 밀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비료를 많이 준 결과 밀의 키가 너무 웃자라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 낟알이 커져서 무거워지자 줄기가 꺾이고 썩어버려서 오히려 수확량이 줄어들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의 농학자 노먼 볼로그(Norman Borlaug) 박사가 지베렐린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를 연구하기 시작한 다음에서야 밀은 오늘날과 같은 키가 좀더 작고 신뢰할 수 있는 작물이 되었다.
볼로그의 작물 왜소화 연구는 쌀에도 적용돼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폭풍우가 불면 벼가 쓰러져 재앙을 가져오는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같이 똑같은 기술을 재적용 할 수 있다는 것은 핵심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음을 암시했다.
연구팀이 언급한 더욱 최근의 사례로는 중국의 면화 작물에 가해진 변화를 들 수 있다. 중국 재배자들은 정상적으로 번식하는 남부의 농장 식물을 중국 북부 기후에 맞춰 좀 더 작고 빨리 개화하는 품종으로 바꿨다.
그렇게 하기 위해 개화를 촉진하는 플로리겐과 그 반대 기능을 하는 안티플로리겐에 영향을 미치는 돌연변이를 이용했다.
이런 종류의 변화는 리프먼 교수의 작업과 관련이 있다. 종종 토마토를 대상으로 연구 작업을 하는 그는 토마토의 안티플로리겐 돌연변이가 지중해 포도 작물을 오늘날 전 세계 농장에서 재배하는 알이 큰 포도로 변형시킨 촉매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놀랍게도 면화는 어떤 토마토와도 다르다고 한다. 그는 “이들은 식물 계통 발생 측면에서 진화적으로 매우 다르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물로서 잎과 꽃을 생성하는 것은 동일하고 이 핵심 프로그램이 깊숙이 보존돼 있다”고 말했다.
토마토의 가지가 자연적으로 말라 떨어지는 자연낙지(sp) 돌연변이(오른쪽)는, 고전 식물(왼쪽)이 지속적으로 불확실한(indeterminate) 포도나무같이 성장하는데 비해 몸체가 작은 확실한(determinate) 성장 습관을 가지고 있다. 면화의 sp 돌연변이(Gbsp)는 ‘면화 씨가 든 꼬투리가 다발을 이룬(clustered boll)’ 특성을 보이는 확실한 싹을 지니고 있다. 이 두 돌연변이체는 다중 작물 생산 적응으로 키가 더 작다. ⓒ Eshed, Lippman, T. Zhang
농업혁명의 미세 조정
리뷰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이는 무엇이 농업혁명을 가져다주는지를 정의하고 있다. 지레렐린이나 플로리겐 모두 핵심 시스템으로서 돌연변이에 의해 영향을 받아 어떤 유용한 특성을 표출한다. 그리고 이런 특성을 나타내는 식물들은 우연히 발견된다.
그런 다음 수 년 간의 인고의 양육 기간을 거쳐 지속 가능하고 적합한 농업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돌연변이 강도가 조절된다. 이는 마치 악기가 완벽한 음을 낼 수 있을 때까지 조율하는 것과 같다.
리프먼과 에쉐드 박사는 CRISPR 유전자 편집이 이런 조율 과정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들은 유전자 편집을 최고도로 응용하는 것은 기존의 혁명적인 돌연변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돌연변이를 식별하거나 도입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리프먼 교수는 “과거의 조정이 두 가지 핵심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유전적 변이를 창출했다면, 우리는 이 시스템 안에서 더 많은 다양성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조정에 필요한 노력의 양을 줄이고, 작물 생산성을 더욱 높이거나 새로운 조건에 작물을 더 빨리 적응시키는 놀라운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후 변화에 따라 가뭄과 폭우, 질병 등에 저항성을 지니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작물 개발이 과제가 되고 있다. 가뭄 저항성을 높인 우크라이나의 콩밭 모습. ⓒ wikimedia / Інститут рослинництва ім. В. Я. Юр’єва
유전적 다양성 창출로 농업 혜택 늘려야
더 많은 유전적 다양성은 또한 새로운 농업혁명의 무대를 만들 수 있다. 대부분의 농업혁명을 정의한 이 두 가지 핵심 시스템에 유전자 변이를 도입함으로써 작농가들은 우연히 우수한 품종이 돌연변이로 탄생하기를 기다리는 게임을 건너뛸 수 있다.
리프먼 교수는 “우리에게는 가뭄 환경과 같은 한계 지대에서 적응 생존력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더 많은 유전자 다양성을 창출할 수 있는 여지가 아직도 많다”고 말했다.
가뭄에 대한 저항성은 현재로선 효용성이 낮은 작물들에서 볼 수 있는 이점의 하나다. 과거의 농업혁명은 결실을 더 많게 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지역에서도 자랄 수 있게 했다.
이런 혁명이 더 많은 작물에서 더욱 빈도 높게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것은 붐비고 굶주리며 도시화된 세계에 이익을 가져다줄 것이다.
연구팀은 “과거에 플로리겐/안티플로리겐과 지베렐린/델라(DELLA)의 드문 돌연변이가 다양한 혁명을 일으켰던 것을 감안할 때, 이 두 가지 호르몬 시스템에서 새로운 다양성을 창출하면 더욱 큰 농업적 이익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 맺었다.
(245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12일 국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협력단이 발표한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블랙홀의 실제 이미지 포착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진도 참여해온 EHT 프로젝트를 통해 거둔 획기적인 성과다. 블랙홀이라고 하면 대부분 영어 단어 뜻 그대로 해석해 '검은 구멍'을 떠올리지만 블랙홀은 빛조차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성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으로 파괴되는 병이다. 이렇게 베타세포가 손상되면 인슐린 부족으로 혈당치가 급격히 치솟아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아프리카나 중동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북위 37.7도인 우리나라 파주시에도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인 푸른아시아실잠자리가 경기 파주시에서 관찰되기 시작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과 건양대 문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혈액 검사로 초기 알츠하이머병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억 상실·인지 장애를 동반하는 노인성 치매인 알츠하이머병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없어 정확한 조기 진단으로 증상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이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환자 혈액에서 마이크로RNA(miRNA)의 일종인 miR-574가 매우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검출할 수 있는 진단시스템을 개발했다.
북한은 평양 강동군 구석기 동굴에서 2만여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인류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주장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 연구팀은 최근 강동군 임경노동자구 구석기 동굴을 탐사하던 중 2층 문화층에서 인류 화석 7점, 짐승 뼈 화석 9종에 300여점, 포분화석 274개를 발굴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들과 학부생들이 질병 치료에 중요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11일 서울대는 의과대학 한범·정기훈 교수팀이 세포 분류를 선행하지 않고 신약개발 타깃 '마커 유전자'를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는 AI 알고리즘 '마르코폴로'를 개발했다고 전했다.
국내 연구진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검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한 OLED 비파괴 검사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OLED 디스플레이 제작 과정에서 결함을 확인하고 수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