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한국형 그린뉴딜을 선도할 ‘녹색 융합기술 특성화대학원’으로 총 10개 대학 11개 과정을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환경부는 올해 8∼9월 공모를 통해 사업 신청서를 제출한 대학 중에서 두 달간 분야별 평가위원회를 거쳐 사업계획 및 성과목표 등 평가 결과가 우수한 10개 대학 11개 과정을 최종 선정했다.
‘녹색 융합기술 특성화대학원’ 4대 분야는 생물소재, 녹색복원, 탈 플라스틱, 녹색금융으로 구성됐다.
생물소재 분야에서는 국민대·동아대가, 녹색복원 분야에서는 동아대·부산대·상명대가 선정됐다.
탈 플라스틱 분야는 서울과학기술대·서울시립대·한양대가, 녹색금융 분야는 연세대·인하대·한국과학기술원이 지원 대상이 됐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녹색금융 분야는 대학별로 3년간 총 15억 원 내외를, 나머지 분야는 대학별로 3년간 총 30억 원 내외를 지원한다.
각 대학은 환경공학 등 1개 이상의 학과 융합 학위과정 또는 트랙 과정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체와 연계해 맞춤형 석·박사 학위과정을 운영한다.
올해 11월부터 학생을 모집하고, 내년 3월부터 사업계획에 따라 대학원을 운영한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새롭게 열리거나 확대되는 녹색융합기술 분야에 맞춤형 전문인력을 양성해 양성 인력이 유망 환경기업에 취업하고, 우리나라 환경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12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