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산업계 동향] 세계 신산업창조 현장(185)
미국 내쉬빌(Nashville)에 소재하고 있는 액셀러레이터 ‘프로젝트 뮤직(Project Music)’이 초기 단계에 있는 스타트업 8개사를 선정한 후 창업 지원 활동을 시작했다고 음악·IT 전문 블로그인 하이프봇(Hypebot)이 19일 보도했다.
새내기 스타트업들은 창업을 위해 각각 3만 달러(한화 약 3300만원)씩 초기 자금을 지원받고 14주간 일정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중이다.
‘프로젝트 뮤직’은 이 프로그램을 진행을 위해 ‘내쉬빌 기업가센터(Nashville Entrepreneur Center)’와 ‘컨츄리 뮤직 협회(Country Musci Association)’과 업무협약을 맺고 재원 및 교육 콘텐츠를 공급받고 있는 중이다.
음반회사 업무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대행
관계자들은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장르의 음악 관련 사업이 탄생해 음반 사업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고급 헤드폰을 모바일 앱과 연결해 최상위급 음질을 공급하고 있는 스타트업 ‘이어 Q’ 웹사이트. 최근 음악의 도시 내쉬빌에 창업 자금이 몰리고 있는 가운데 ‘이어 Q’와 같은 스타트업들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http://www.earq.com/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은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보이고 있다. ‘온 더 리스트(On The List)’는 음악 공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공연 관람 횟수를 개인별로 분석해 파격적인 대우를 해주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스타트업 ‘다트(DART)’는 작곡자들이 만든 플랫폼이다. 특히 클래식 뮤직을 중심으로 무명의 작곡자들이 자신의 작품을 세상에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많은 작곡자들이 이 플랫폼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음반 회사 업무를 대행해주는 스타트업도 등장했다. ‘잼버(Jammber)’에서는 아이트스 앤 레퍼토리(Artist and Repertoire), 즉 아티스트의 발굴과 계약, 그리고 육성과 함께 새로운 스타 탄생을 위한 악곡의 발굴, 계약, 제작까지 대행해주는 솔루션을 선보였다.
잼버 관계자는 “가수 지망생들이 가장 쉬운 방법으로 음악인들과 접촉할 수 있으며, 또한 그들과 협력해 원하는 음악 활동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지망생들이 쉽게 접촉할 수 있는 ‘jammber.com’을 운용하고 있는 중이다.
‘하이볼륨 미디어(HiVolume Media)’는 음악을 주제로 모바일 앱을 개발했다. 음반에서부터 비디오, 가라오케, 클럽, 이벤트 뮤직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의 음악을 총망라해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소셜 뮤직 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 Q(Ear Q)’는 앱과 연계해 고급 헤드폰을 판매하고 있다. 이 헤드폰을 ‘이어 Q’ 앱에 연결할 경우 놀라운 음질의 음악을 들을 수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 음질을 조절해서 들을 수 있다. 좋은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개별 상담도 병행하고 있다.
음반시장 창업자에 벤처자금 대거 몰려
‘리플 뮤직(Ripple Music)’은 크라우드 기반의 SNS다. 음악 혹은 소리(sound)를 판매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유료화 기술 모델을 공급하고 있다. 음악인들의 고민 사항인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고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있도록 기술적인 부문을 대행해주고 있다.
‘왓츠 허빈(What’s Hubbin)’은 음악 애호가들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이다. 음악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들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현장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공연 실황을 직접 볼 수도 있다.
‘RMXHTZ’은 디지털 인터페이스(interface) 플랫폼이다. 사용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자신의 움악을 레코팅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해 새로운 음악을 창출할 수도 있다. 움반 시장의 또 다른 ‘유튜브’가 등장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내쉬빌 음반시장에 벤처 자금이 대거 투입되고 있는 중이다.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벤처스(Digital Entertainment Ventures)’는 현재 초기 자금을 모으고 있는데 많은 투자사들이 참여하고 있다.
구글, 크리에이티브 아티스츠 에이전시(Creative Artists Agency), 리맨 하스피탤러티 파트너스(Ryman Hospitality Partners), 유니버셜 뮤직(Universal Music), 데브디지털(DevDigital), 레드 라이트 매니지먼트(Red Light Management, 갈란테 엔터테인먼트(alante Entertainment) 등이 투자에 참여하고 있다.
음악은 예술 중에서도 특별한 분야다. 음악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없을 만큼 많은 사람들이 음악 듣기를 즐기고 있다. 그러나 산업 측면에서는 가장 낙후된 분야이기도 하다. 공급자와 수요자가 구분돼 일방적으로 주고받는 유통구조를 지속해왔다.
그러나 최근 ICT 영향으로 음악 산업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존의 일방향 유통구조에서 쌍방향 유통구조로, 단순 공연에서 시청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사회 융합 형 공연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이끌고 있는 것이 새로 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이다. 세계 음악시장 관계자들은 스타트업들의 창업을 비켜보며 산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9993)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온도 감응 색 변화 염료를 나노섬유 멤브레인(얇은 막)에 적용해 체온 변화를 맨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고감도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필름 타입 색 변화 멤브레인보다 체온 범위 온도에서 색 변화 민감도를 최대 5배 이상 높일 수 있다.
인류가 만든 우주망원경 중 최강을 자부해온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내달 12일 첫 이미지 공개를 앞두고 29일(현지시간) 분위기 띄우기에 나섰다. 웹 망원경을 운영할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에서 브리핑을 갖고 우주에 대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는 역사적인 순간이 될 것임을 예고했다. CNN 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과학프로그램 책임자로 이 이미지 중 일부를 본 토마스 주부큰 부국장은 웹 망원경이 공개할 첫 이미지가 과학자들에게 감격적인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판다는 거의 대나무만 먹는 까다로운 입맛을 갖고 있다. 배가 고플 땐 곤충이나 설치류도 잡아먹는다고 하지만 대나무가 먹이의 99%를 차지하고 있다. 원래 식육목 곰과 동물이다 보니 이런 식성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생긴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화석을 통해 적어도 600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는 새로운 증거가 나왔다. 대나무를 잡는 데 이용하는 여섯 번째 손가락과 같은 독특한 가짜 엄지가 고대 화석에서도 발견됐다는 것이다.
췌장암은 5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한 치명적인 암 중 하나다. 췌장암이 이렇게 위험한 건 무엇보다 다른 부위로 걷잡을 수 없게 전이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다행히도 췌장암의 전이 속도를 늦추거나 전이 자체를 중단시킬 수 있는 '분자 경로'가 발견됐다. 문제를 일으키는 건 단백질 내 아미노산의 산화 손상을 복구하는 일명 '지우개 효소'(eraser enzyme)였다.
여성은 남성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률이 높다. 이는 폐경 때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는 뇌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신경 퇴행 질환 센터 인구 보건 과학 실장 모니크 브레텔러 박사 연구팀이 남녀 3천410명(평균연령 54세, 여성 58%)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30일 보도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