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고대하고 있는 가운데 세계적으로 10여 개 후보물질이 마지막 시험 단계인 임상 3상에 들어가 있다.
미국에서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존슨앤드존슨(J&J) 등 4개 제약사에서, 영국에서는 노바백스 사에서,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국가 차원에서 각각 4개와 2개 후보물질을 시험 중이다.
그러나 시험 중인 백신이 일반인에게 접종되기 위해서는 그 효능이 입증돼야 한다. 백신과 관련 세계 기준이 되고 있는 미 식품의약국(FDA)은 그 예방 효과가 최소한 50%에 도달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제약사들은 내년 1월 일반인 접종을 목표로 최종 임상 시험 단계를 밟고 있다. 어떤 백신이 등장할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게티이미지뱅크
4개 제약사의 접종 목표 시기는 내년 1월
5일 ‘사이언스 뉴스’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도 기준을 설정해놓고 있다.
FDA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예방효과가 50%에 도달해야 하며, 임상시험을 통한 사전 효능 검사에서 최소한 70%를 넘어야 한다는 것.
일부 국가들을 중심으로 3상 시험에 대한 보도가 잇따르고 있지만 WHO 기준대로 70%의 사전 효능을 입증한 후보물질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은 백신 개발에 있어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미국의 제약사들이다.
현재 임상 3상에 들어가 있는 존슨앤드존슨, 모더나, 파이자, 아스트라제네카 사는 미국 국가 차원의 백신 개발 프로젝트인 ‘오퍼레이션 워프 스피드(Operation Warp Speed)’와 협력해 최종 단계를 밟고 있는 중이다.
이들 제약사들은 시험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자원자들을 크게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쪽에서는 실제 백신 후보물질을 통해 접종 효과를, 다른 한쪽에서는 가짜 후보물질을 통한 플래시보(placebo) 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일반인 접종을 시작하기 위해 목표로 정한 시기는 내년 1월이다.
그러나 4개 제약사 중 어느 곳에서 가장 먼저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게 될지, 그래서 FDA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빠르면 이달 초 일부 제약사에서 임상 3상과 관련된 사전 결과(preliminary results)를 발표할 계획으로 있는데 어떤 내용이 포함되는지에 따라 일반인 대상의 백신 접종이 언제 이루어질지 추정이 가능해진다.
완벽 차단은 불가능…마스크 계속 착용해야
보건당국으로부터 사용승인을 받았다 하더라도 검증 과정이 다 끝난 것은 아니다.
실제 접종에서 의료계가 기대하는 예방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코로나19 감염자와 접촉했다 하더라도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시키지 말아야 한다. 일반인 접종이 시작된다 하더라도 효능이 나타난 사람의 수가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 수가 미미할 경우 백신으로서의 자격이 미달돼 접종이 중단될 수 있다.
삶의 환경에 따라 인종, 국가, 민족 간의 백신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백신이 최종적으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독감, 홍역 등의 다른 백신들처럼 그 효능이 이런 차이들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연령에 따른 효능의 차이도 백신 완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노령자의 경우 젊은이들처럼 백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65세를 기준으로 연령에 따라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FDA는 인종, 특히 소수민족 등을 포함할 수 있는 3상 시험을 독려하고 있는 중이다. FDA는 또 65세 이상 고령층을 포함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효능이 있는 백신을 개발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관계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내년 초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하더라도 백신 개발과 관련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완벽하게 충족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적으로 사망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서고 감염 확산세가 수그러들지 않는 상황에서 FDA와 같은 보건당국 역시 이런 세부적인 사항들을 다 충족할 수 있는 백신을 요구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미국 베일러 의과대학의 백신학자 마리아 보타지(Maria Bottazzi) 교수는“다른 백신 개발 때처럼 완벽한 검증을 하기에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타지 교수는 “백신 접종이 시작된다 하더라도 사람들은 이전에 했던 것처럼 마스크를 착용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해야 한다.”며, 조만간 일반인에게 접종될 백신에 대해 전문가적인 우려감을 표명했다.
중국, 러시아 등에서도 백신 개발과 관련된 발표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4종 개발에 착수해, 현지 임상시험 마지막 단계인 3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백신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전 세계에 제공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자료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181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