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에너지효율향상기술·미래수소원천기술 개발 등 신규 추진
정부가 ‘2050 탄소중립 추진 전략’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도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에 올해보다 12.9% 많은 1501억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한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과 ‘미래 수소 원천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2021년도 기후·환경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내년 기후·환경 연구개발 분야 투자는 올해 1천328억8천500만원에서 1천500억7천300만원으로 171억8천800만원(12.9%) 늘어난다. 과기부는 이 중 30개 신규 과제(약 85억원)를 1분기 안에 모두 공고해 추진할 계획이다.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부문에는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개발’ 신규 과제에 36억원, ‘에너지클라우드 기술 개발’에 36억원 등 72억원이 투입된다.
시행계획에는 ▲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개발 ▲ 수소 및 연료전지 원천기술개발 ▲ 탄소 저장·전환 기술개발 및 실증연구 ▲ 재생에너지 원천기술개발 등이 담겼다.
수소 및 연료전지 원천기술 개발 부분에는 저온수전해·화학저장을 연구하는 기존 ‘수소에너지혁신기술개발’ 사업에 141억원, 고온수전해·광분해·열분해 등 차세대 그린수소 연구에 33억원을 새로 지원하고, 연료전지 관련 핵심 요소기술 개발에 114억원을 지원한다.
탄소 저장·전환 기술개발 및 실증 연구 부분에는 ‘C1가스 리파이너리’ 사업에 210억원,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탄소 to X 기술개발’에 115억원, ‘차세대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사업에 98억원, ‘플라스마 활용 탄소자원화’ 사업에 43억원 등을 투입한다.
재생에너지 원천기술 개발 부문에는 태양전지, 바이오에너지, 이차전지 등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사업에 총 346억원, ‘기후변화영향 최소화 기술개발’ 등에 68억원, 개도국 기후변화대응 지원을 위한 ‘기후기술협력기반조성’ 사업에 6억원을 지원한다.
또 천리안2B호를 활용한 미세먼지 입체 관측 강화 및 동북아 지역 국가 연구자 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미세먼지 생성 과정, 물리ㆍ화학적 특성 규명 등에 75억원을 지원하고, 주요 발생원별 원인규명 고도화 및 저감 기술 실증에 180억원을 지원한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 3월 ‘탄소중립 R&D 전략’을 수립하고 새로운 R&D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23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자의 공격에 맞서 초식동물이 군집행동을 하는 것과 같은 집단지능의 비밀을 뇌과학적으로 밝혀내기 위한 새로운 군집 뇌연구 시스템을 개발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화 가스를 활용해 올해부터 전기를 생산한다고 14일 밝혔다.
친환경차 분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정비된다. 현재 생산되지 않는 저속전기자동차 대신 초소형전기자동차 항목이 신설되고, 1회 충전 주행거리와 최고속도 기준은 최신 기술 수준에 부합하도록 상향된다.
2027년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총 1조원 규모의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가핵심기술에 반도체 분야 기술 2개가 새로 지정된다. 기술 보유기관이 지켜야 하는 핵심기술 보호지침도 구체적으로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공공혁신플랫폼 구축 사업에 54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측정 정확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