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9일 ‘6차 평가 보고서(AR6) 제1 실무그룹 보고서’를 공개했다.
지구 온도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는 내용이다. 3년 전 IPCC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경우 2050년에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1.5도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는 당시 예측 시점보다 최대 12년 앞당겨진 시점에 지구 온도가 1.5도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 폭염 등 극한 고온 현상이 이 기간에 산업화 이전보다 8.6배 늘어날 것이라며, 즉각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최근 지구 평균온도 상승과 기상이변과의 연관관계를 지목하며, 더 큰 재난을 막기 위해 빠른 대처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은 캐나다에서 발생한 산불 현장. ⓒWikipedia
남극 등 지구 전역에서 최고 기온 갱신
보고서의 비관적인 내용이 공개된 후 사람들의 관심은 온도 상승과 기후변화 사이의 연관성에 쏠리고 있다.
최근 지구촌에 이어지고 있는 폭염, 이에 따른 산불, 또 다른 곳에서 이어지고 있는 대규모 홍수 등 극심한 기상이변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는 소식에 많은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세계 주요 언론들은 기온 상승이 어떤 과정을 거쳐 기상이변을 일으키고 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최근 북미를 비롯 세계 곳곳에서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폭염이 대표적인 경우다. ‘BBC’는 영국 기상청 최근 데이터를 인용, 열돔 현상(heat dome)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뜨거운 열기가 야구장의 돔처럼 특정 지역 대기를 감싸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서부 캐나다와 미국의 기록적인 폭염은 이 열돔 현상에 의해 더 길고 더 강렬해졌다는 것. 수 주 전 평년보다 높은 해수 온도로 인해 태평양 폭풍(Pacific storm)이 하늘 위의 공기흐름인 제트기류를 방해했다.
그 결과 모든 흐름이 급격히 느려지고 고기압 지역에서는 뜨거운 공기가 아래로 밀려 내려와 제자리에 갇히면서 온도가 급격히 치솟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캐나다 서부 리턴(Lytton)의 기온은 섭씨 49.6도로 이전 기록보다 5도나 상승했다.
‘세계 기상 원인 분석(WWA)’ (World Weather Attribution)‘ 네트워크에 따르면 이러한 강렬한 폭염은 기후변화 없이는 불가능한 것이다. 북극의 더 높은 온도로 인해 제트기류가 느려지면서 열돔 현상을 가속화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근 이례적인 더위는 북미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러시아에서는 기온이 1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북아일랜드는 같은 주에서 세 번이나 기록을 갱신했으며 남극 대륙 역시 최고 기온을 갈아치우고 있는 중이다.
극단적 가뭄‧홍수‧폭풍 등에 대비해야
문제는 폭염이 더 강해지고 길어질수록 가뭄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지구 곳곳에서 폭염이 이어지면 비가 적게 내리게 되고 그 결과 지상의 수분이 고갈돼 지하수 량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지면이 가열되면서 더 강렬한 열을 발생시키고, 그 위에 있는 공기가 더워지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그 결과 과거에 볼 수 없었던 극도의(extreme) 예외적인(exceptional) 가뭄이 지금 현실이 되고 있다.
더구나 최근 산불은 땅과 그곳에 사는 식물들로부터 점점 더 많은 수분을 이끌어내고 있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건조한 상황은 또 다른 산불을 불러오면서 놀라운 속도로 그 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양상은 산불이 폭발적으로 확산되면서 ‘적란운( pyrocumulonimbus clouds)’을 형성하며 자체적인 기상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구름으로 인해 더 많은 번개가 치고 더 많은 불을 지피고 있다.
실제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대규모 산불 빈도는 계속해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그룹인 클라이메이트 센트럴(Climate Central)에 따르면 미 서부 40 제곱킬로미터 이상 지역에서 산불 빈도가 1970년 대비 7배 이상 늘어났다.
한편 지구 다른 곳에서는 더 많은 수분을 떨어드리는 극심한 강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번 IPCC 보고서는 계절풍에 따름 몬순(monsoon) 폭우가 향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서아프리카 등에서 향후 수년 동안 파괴적일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한 허리케인과 태풍 사이클론이 더욱 강력해지고 최고 풍속이 증가하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범람이 더욱 광범위해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이는 해안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극심한 피해를 의미한다.
올 여름은 세계적으로 지구 대기 속에 응축돼 있던 열이 한꺼번에 분출한 해로 기록되고 있다. 고르지 않게 축적돼 있던 에너지가 극단적으로 폭발하면서 최근 벌어지고 있는 기상이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지 않으면 앞으로 더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파괴적인 주기가 계속되지 않도록 능동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334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