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우리 감각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암호화해서 저장했다 필요할 때 끄집어낸다. 기억이 바로 그것이다.
전문가들은 우리가 환경을 인지하고 그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는 감각 신호가 뇌에 저장된 과거 경험과 개인이 가진 현재의 목표라는 맥락에서 해석돼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의대 교수 겸 막스플랑크 뇌연구소 연구그룹 리더인 요하네스 레츠쿠스(Johannes Letzkus) 교수팀이 이런 경험 의존성 ‘하향식(top-down)’ 정보의 핵심 원천을 확인한 연구를 내놓았다.
이 연구는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 13일 자에 발표됐다.
신피질의 가장 바깥층에서 기억 관련 정보가 시상 시냅스(오렌지색)에 의해 전달되고, 이는 다시 지역 ‘문지기(gatekeeper)’ 뉴런(파란색)에 의해 제어된다. © M. Belén Pardi
상향식과 하향식 정보 흐름
우리 이마 안쪽 뇌에 접혀져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신피질(neocortex)은 인간 두뇌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영역으로 알려진다. 운동이나 시각, 청각 등의 감각을 비롯해 고도의 정신작용을 관장한다.
신피질의 모든 중요한 인지 기능은 두 가지 별개의 정보 스트림이 융합해서 이루어진다. 즉,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내는 ‘상향식(bottom-up)’ 스트림과, 과거 경험 및 현재 목표에 대해 내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전송하는 하향식 스트림이 수렴되는 것이다.
레츠쿠스 교수는, 이렇게 내부적으로 생성된 하향식 정보가 정확히 어디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는 지금까지 거의 탐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런 의문이 연구팀으로 하여금 이 하향식 신호의 원천이 무엇인지를 탐구토록 동기를 부여했다는 것.
이들 연구팀은 전뇌 안 깊숙이 위치해 있는 시상(thalamus) 영역이 이런 내부 정보를 관장하는 핵심 후보 영역임을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전뇌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시상(thalamus). © Life Science Databases(LSDB)
시상 시냅스가 학습 기억 유지
레츠쿠스 연구실의 박사후연구원인 벨렌 파르디(M. Belén Pardi) 박사는 이 발견을 바탕으로 실험용 쥐에게 학습을 시키기 전과 후에 쥐의 신피질에 있는 개별 시상 시냅스의 반응이 어떻게 나오는지를 측정하는 실험 전략을 개발했다.
파르디 박사는 “관련성이 없는 중립적인 자극이 가해지면 이 경로에서 작고 일시적인 반응으로 암호화되는 반면, 어떤 일을 학습하는 것은 시냅스 활동을 강력하게 촉진해 더 빠르고 시간이 지나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신호를 생성했다”고 설명했다.
레츠쿠스 교수는 “습득된 기억의 강도를 시상 활동에서의 변화와 비교했을 때 강력한 포지티브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이는 시상으로부터의 입력이 자극을 통해 학습된 행동 관련성을 상당히 두드러지게 암호화한다는 것을 가리킨다”고 말했다.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 13일 자에 발표된 논문. © AAAS/ Science
“자폐증과 조현병 이해에 도움”
연구팀은 베를린 과학기술대 헤닝 슈프리클러(Henning Sprekeler) 박사팀과 함께 수행한 추가적인 실험과 모델링에서 이 정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이전에는 안 알려진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아울러 신피질의 가장 바깥 층에 있는 특화된 형태의 뉴런이 이런 하향식 신호 흐름을 동적으로 제어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같은 실험 결과는 감각을 관장하는 신피질에 대한 시상의 투사(thalamus’ projections)가 감각 자극과 관련된 이전 경험 정보의 핵심 원천으로 작용한다는 연구팀의 가정을 확인해 준다.
레츠쿠스 교수는 “이런 하향식 신호는 자폐증과 조현병 같은 여러 가지 뇌 질환에서 방해를 받는다”고 설명하고, “이번 연구 결과가 이런 심각한 상태의 근본적인 부적응 변화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362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과 이화여대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을 완화하는 새로운 면역세포를 발견했다. 4일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박성호 교수와 이화여대 오구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뇌졸중으로 인한 손상을 막는 신종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발견하고 세포 발생 원리를 규명했다. 미세아교세포는 원래 뇌를 비롯한 중추신경계에만 분포하면서 병원균, 죽은 세포 등을 먹어 치우는 면역 담당 세포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한국시간 5일 오전 8시 8분(미국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께 우주로 발사됐다. 다누리는 발사 40여분간에 걸쳐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을 마치고 우주공간에 놓였으며, 발사 후 초기 과정이 순조롭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다누리가 발사 이후 궤적 진입부터 올해 말 목표궤도 안착까지 까다로운 항행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다면, 우리나라는 달 탐사선을 보내는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의 지위를 굳히게 된다.
바이러스는 인간뿐 아니라 박테리아도 공격한다. 실제로 박테리아에 감염하는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ㆍ약칭 '파지')는 여러 유형이 있다. 수십억 년 동안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는 생존을 위한 진화적 '군비 경쟁'(arms race)을 벌여 왔다. 이 과정에서 양쪽 모두에 수많은 혁신적 진화와 반대 적응(counter-adaptation)이 일어났다.
1970년대 이후로 주춤했던 달 탐사에 다시 전 세계가 뛰어들고 있다. 우리나라는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1992년 발사한 뒤 30년을 숨 가쁘게 달려 5일 첫 달 탐사선 '다누리'를 발사하면서 달 탐사 열풍에 가세했다. 미국과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과 비교하면 늦은 출발이었지만, 이번 다누리 발사를 계기로 달 탐사에 성공한 세계 7번째 나라가 되면서 우주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태양광 패널이 제대로 펼쳐지지 않아 임무 수행 차질이 우려됐던 미국의 목성 궤도 소행성 탐사선 '루시'가 반년여만에 문제를 해결하고 첫 지구 근접비행을 준비 중인 것으로 발표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문제가 됐던 루시호의 태양광 패널은 완전하게 펼쳐진 것은 아니지만 과학 임무를 계획대로 수행할 만큼 충분히 안정적이다.
섭식장애(eating disorder)는 빠르면 9살부터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섭식장애는 거식증(anorexia nervosa)과 폭식증(bulimia nervosa)이 대표적인 유형이다. 거식증은 살찌는 것이 너무나 무서워 먹는 것을 거부하거나 두려워하는 병적인 섭식장애로 자신이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이라고 생각한다. 먹은 뒤 인위적으로 토하는 등의 행동을 하기도 한다.
한국의 첫 달 탐사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가 내일 우주로 향한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다누리는 한국시간 5일 오전 8시 8분(미국 동부시간 4일 오후 7시 8분)께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사의 팰콘9 발사체에 실려 발사된다.